• 제목/요약/키워드: eelgrass

검색결과 96건 처리시간 0.023초

거제도 거제만 잘피밭의 어류 종조성 (Species Composition of Fishes in Eelgrass Bed of Geoje Bay on Geoje Island, Korea)

  • 이대희;김태진;최병언;이소정;곽우석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79-185
    • /
    • 2010
  • 경남 거제시 거제만 잘피밭에서 어류의 종조성을 조사하기 위해 2006년 6월부터 2007년 5월까지 인력을 이용하는 surf net으로 어류를 매월 사리때 간조시 1회 채집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어류는 총 5목 12과 26종, 1,825 개체, 4,483.1 g이 채집되었다. 줄망둑이 290개체 (15.9%)로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실비늘치, 살망둑, 그물코쥐치, 점망둑, 꾹저구, 실고기, 일곱동갈망둑, 민베도라치, 복섬, 우베도라치가 많이 채집되었으며, 이들 10종은 총 개체수의 74.7%를 차지하였다. 생체량 면에서는 전체 생체량의 76.2%를 차지하였다. 잘피밭 어류 군집은 수온에 따라 뚜렷한 계절 변화를 보여 3월부터 어종이 증가하기 시작했으며 9월에는 채집된 종수와 개체수 모두 최대를 기록하였고 생체량은 3월부터 증가하여 5월에 절정에 달한 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한편 종다양도지수는 12월에 가장 높았다.

Identification of Two Novel Amalgaviruses in the Common Eelgrass (Zostera marina) and in Silico Analysis of the Amalgavirus +1 Programmed Ribosomal Frameshifting Sites

  • Park, Dongbin;Goh, Chul Jun;Kim, Hyein;Hahn, Yoonsoo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4권2호
    • /
    • pp.150-156
    • /
    • 2018
  • The genome sequences of two novel monopartite RNA viruses were identified in a common eelgrass (Zostera marina) transcriptome dataset. Sequence comparison and phylogenetic analyses revealed that these two novel viruses belong to the genus Amalgavirus in the family Amalgaviridae. They were named Zostera marina amalgavirus 1 (ZmAV1) and Zostera marina amalgavirus 2 (ZmAV2). Genomes of both ZmAV1 and ZmAV2 contain two overlapping open reading frames (ORFs). ORF1 encodes a putative replication factory matrix-like protein, while ORF2 encodes a RNA-dependent RNA polymerase (RdRp) domain. The fusion protein (ORF1+2) of ORF1 and ORF2, which mediates RNA replication, was produced using the +1 programmed ribosomal frameshifting (PRF) mechanism. The +1 PRF motif sequence, UUU_CGN, which is highly conserved among known amalgaviruses, was also found in ZmAV1 and ZmAV2. Multiple sequence alignment of the ORF1+2 fusion proteins from 24 amalgaviruses revealed that +1 PRF occurred only at three different positions within the 13-amino acid-long segment, which was surrounded by highly conserved regions on both sides. This suggested that the +1 PRF may be constrained by the structure of fusion proteins. Genome sequences of ZmAV1 and ZmAV2, which are the first viruses to be identified in common eelgrass, will serve as useful resources for studying evolution and diversity of amalgaviruses.

RAPD 방법을 이용한 거제도, 개도, 제도해역에서 채집한 말잘피 개체분석 (Population analysis of eelgrass, Zostera marina L. in Geojedo, Gaedo, and Jedo on the southern coastal water of Korea using RAPD-PCR)

  • 조은섭;이상용;김정배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455-461
    • /
    • 2007
  • 본 연구는 말잘피 군집의 유전적 구조 및 다양성 분석은 잘피 관리를 위해서 시행했다. 거제도, 개도, 제도연안에 서식하는 잘피를 대상으로 RAPD분석에 따른 유전적 다양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거제도는 개도 및 제도와는 100 km 이상 떨어진 지역에 서식하는 잘피의 유전적 거리는 0.16으로 나타난 반면에,개도와 제도의 유전적 거리는 0.08정도로 보이고 있다. 거제도에 서식하는 잘피의 개체내 유전적 유사도는 70% 이상으로 나타났으나, 개도와 제도에 비하면 낮은 유사도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남해안에 서식하고 있는 잘피의 개체는 지역적 거리에 따라 유전적으로 상이한 집단을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원인은 시스트 확산 및 유전자 이동률 제한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광양만 잘피밭에 서식하는 붕장어 (Conger myriaster)의 식성 (Feeding Habits of Conger myriaster in the Eelgrass (Zostera marina) Bed in Kwangyang Bay)

  • 허성회;곽석남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665-672
    • /
    • 1998
  • 1994년 1월부터 1994년 12월까지 광양만 대도주변 잘 피밭에서 채집된 붕장어의 식성을 조사하였다. 붕장어의 주요 먹이는 어류, 새우류 및 게류였다. 그밖에 옆새우류, 복족류, 두족류, 갯지렁이류, 곤쟁이류, 쿠마류, 등각류 등이 위내용물 중 발견되었다. 붕장어가 성장함에 따라 먹이생물의 조성이 점차 변하였다. 체장이 작은 붕장어는 새우류, 어류, 게류 그리고 옆새우류를 고르게 먹었으나, 체장이 증가하면서 옆새우류와 새우류의 점유율은 점차 감소하였고, 어류의 점유율은 점차 증가하였다. 붕장어는 계절에 따른 환경 생물의 조성과는 관계없이 특정 생물을 먹이로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어류는 다른 환경 생물에 비해 잘피밭 환경에서 출현량이 많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연중 지속적으로 선택되는 먹이생물이었다.

  • PDF

경남 통영 민양마을 잘피밭의 어류 종조성 (Species Composition of Fishes in Eelgrass Bed of Minyang in Tongyeong, Korea)

  • 김준섭;최정윤;이유진;곽우석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8권4호
    • /
    • pp.227-233
    • /
    • 2013
  • 경남 통영시 민양 잘피밭에 서식하는 어류의 종조성 및 계절 변동을 조사하기 위해 2011년 5월부터 2012년 4월까지 예인망(surf net)을 이용하여 매월 어류를 채집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총 25종 3,880개체 3,145.1 g의 어류가 채집되었다. 조사기간 동안 채집된 어류는 대부분 소형어나 유어들이었고, 그 중 우점종은 1,970개체가 채집된 살망둑(Gymnogobius heptacanthus)이였으며, 그물코쥐치(Rudarius ercodes), 베도라치(Pholis nebulosa), 별망둑(Chaenogobius gulosus), 날망둑(Gymnogobius castaneus) 순으로 채집되어 총 개체수의 89.1%를 차지하였다. 잘피밭 출현 어류는 수온이 대체적으로 높은 6-9월 사이 다수의 개체가 출현하였고, 수온이 낮은 1-2월에 개체수와 종수가 적게 나타나 수온의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종 다양도지수(H')는 2012년 4월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광양만 잘피밭에 서식하는 게류 군집의 계절 변동 (Seasonal Variation of Crab (Crustacea : Decapoda) Community in the Eelgrass (Zostera marina) bed in Kwangyang Bay, Korea)

  • 허성회;안용락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535-544
    • /
    • 1998
  • 광양만 잘피밭에 서식하는 게류 군집의 종조성과 계절 변동을 알아보기 위해 1994년 1월부터 1994년 12월까지 1년간 소형 저인망을 이용하여 대도 주변의 잘피밭에서 게류를 매월 채집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잘피밭에서 채집된 게류는 12과 21종이었다. 우점종은 Charybdis Japonica, Telmessus acutidens, Hemigrapsus penicillatus, Pugettia quadridens로 나타났다. C. japonica와 T. acutidens 를 제외한 대부분의 게류는 갑각폭이 25mm 이하의 작은 크기 였다. 출현 종수의 계절 변동을 보면, 겨울에는 적은 종수가 출현하였으나, 나머지 계절에는 비교적 많은 종수가 출현하였다. 채집 개체수 및 생체량의 경우 수온이 높은 시기에 많은 출현량을 보인 반면, 수온이 낮은 시기에는 적은 출현량을 보였다. 잘피밭에서 채집된 게류는 출현 양상에 따라 주거종, 계절종 및 일시방문종으로 나눌 수 있었다. 주간 채집과 야간 채집을 비교한 결과, 야간에 더욱 다양하고 많은 게류가 출현하였다.

  • PDF

Effects of the Loess Coating on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s of the Eelgrass, Zostera marina

  • Park, Jung-Im;Lee, Kun-Seop
    • ALGAE
    • /
    • 제22권2호
    • /
    • pp.141-146
    • /
    • 2007
  • Seagrass bed is an important component in coastal and estuarine ecosystems, providing food and habitats to a wide variety of marine organisms. Recently, seagrass coverage has declined significantly due to anthropogenic impacts such as cultural eutrophication and reclamation, and thus efforts are under way to prevent further losses and restore disturbed seagrass habitats worldwide. Seagrass transplantation techniques for habitat restoration include vegetative and seed-based methods. Seagrass seeds can be collected easily, and sowing seeds is an economically effective method for large-scale restoration. However, large numbers of seed can be lost by seed predation and physical disturbance in the planting areas. In the present study, Zostera marina seeds were coated with loess to reduce seed loss by predation and sweeping away by the water currents, and germination rates of coated seeds and seedling growth were examined to assess the feasibility of the seed-coating method for large-scale restoration. Germination rate of the coated seeds with loes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uncoated seeds. Additionally, seedling growth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coated and the uncoated seeds.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ating of eelgrass seeds with loess enhances success of seed germintion with no harmful effects on seedling growth. Therefore, the seed coating method using loess may be an effective and applicable seedbased transplanting technique for large-scale restoration.

광양만 잘피밭에 서식하는 감성돔(Acanthopagrus schlegeli) 유어의 식성 (Feeding habits of juvenile Acanthopagrus schlegeli in the eelgrass(Zostera marina) bed in Kwangyang Bay)

  • 허성회;곽석남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68-175
    • /
    • 1998
  • 광양만 대도주변 잘피밭에서 채집된 감성돔 유어의 식성을 조사하였다. 감성돔(1~7cm SL)의 주요 먹이생물은 단각류(옆새우류 및 카프렐라류), 게류 및 새우류였으며, 그 외 복족류, 갯지렁이류, 히드라류, 주걱벌레붙이류, 요각류, 등각류 등이 소량씩 위내용물 중 발견되었다. 감성돔은 성장함에 따라 먹이생물의 조성이 정차 변하였다. 체장이 작은 감성돔은 옆새우류, 카프렐라류, 갯지렁이류 및 복족류를 주로 먹었으나, 체장이 중가하면서 옆새우류, 갯지렁이류 및 복족류의 비율은 점차 낮아진 반면, 게류 및 새우류가 차지하는 비율은 증가하였다.

  • PDF

광양만 잘피밭에 서식하는 복섬 (Takifug niphobles) 유어의 식성 (Feeding Habits of Juvenile TakifugU niphobles in the Eelgrass (Zostera marina) bed in Kwangyang Bay)

  • 허성회;곽석남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806-812
    • /
    • 1998
  • 광양만 대도주변 잘피밭에서 채집된 복섬 유어의 식성을 조사하였다. 복섬 (2$\~$8 cm SL)의 주요 먹이생물은 단각류 (옆새우류 및 카프렐라류), 게류 및 새우류 둥의 갑각류와 복족류였다. 그 외 갯지렁이류, 요각류, 주걱벌레붙이류, 등각류 등이 소량씩 위내용물 중 발견되었다. 복섬이 성장함에 따라 먹이생물의 조성이 점차 변하였다. 체장이 작은 복섬은 옆새우류, 카프렐라류 및 복족류를 주로 먹었으나, 체장이 증가하면서 옆새우류 및 복족류의 비율은 점차 낮아진 반면, 게류 및 새우류가 위내용물 중 차지하는 비율은 증가하였다.

  • PDF

광양만 잘피밭에 서식하는 실고기 (Syngnathus schlegeli)의 식성 (Feeding Habits of Syngnathus schlegeli in Eelgrass (Zostera marina) Bed in Kwangyang Bay)

  • 허성회;곽석남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896-902
    • /
    • 1997
  • 1994년 1월부터 1994년 12월까지 광양만 대도주변 잘피밭에서 채집된 실고기의 식성을 조사하였다. 실고기는 요각류 (Copepoda)와 잘피의 엽상체에 부착하여 서식하는 단각류 (Amphipoda)의 일종인 옆새우류 (Gammaridea)를 주로 섭이하였으며, 그 외, 카프렐라류 (Caprellidea), 주걱벌레붙이류 (Tanaidacea), 곤쟁이류 (Mysidacea) 등을 소량 섭이하였다. 실고기는 성장함에 따라 섭이된 먹이생물 조성의 변동이 뚜렷하였다. 어린 실고기는 요각류를 주로 섭이하였으나, 체장이 증가하면서 옆새우류를 주로 섭이하였다. 먹이생물의 조성은 계절에 따라 변화되었는데, 봄철에는 요각류가, 여름철과 가을철에는 옆새우류가 주로 섭이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