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ducational & cultural program

검색결과 196건 처리시간 0.03초

스마트 미디어 기반의 온라인 미술관 예술 감상 프로그램 콘텐츠 개발 사례 연구 (The Case Study of Contents Development for Online Museum Art Appreciation based on Smart Media)

  • 양연경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39-162
    • /
    • 2017
  • Museums contain a significant meaning as a place that reflects empirical knowledge that have been accumulated socially and scientifically in overall life of the public and provides the opportunity to enjoy prestigious culture, while serving as the extended place of education. The first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crease the accessibility of general public through the development of online museum programs as service contents and to present the ultimate direction the development of in art appreciation contents that can effectively expand the infrastructure of culture and art. Second, the effectiveness of online art appreciation programs by registered private museums, which continuously develop smart media-based online museum contents and systemization of archive as the distribution rate of smart devices is increased due to generalization of digital environments, was analyzed by each case to examine the objective distinctions strategies. Third, in terms of museum visitors and smart contents users, this study examines the expected effects of popular distribution by seeking various ways that can enhance the desired exhibit appreciation and autonomous utilization of educational programs, while not being restricted by the physical accessibility and limitation of space at the museums. The subjects of this study included cases of BoroomSan Museum, Savina Museum of Contemporary Art, Imageroot, Sangwon Museum of Art, Hello Museum, etc. and the online smarts contents art appreciation educational programs by registered private museums were analyzed. Results expected to achieve from such processes are as follows. First, the possibility to expand cultural participation in museum exhibition appreciation and museum education infrastructure became widen. Second, the educational program resources can be utilized as the culture and art asset that strengthens the museums' responsibilities in their social role. Third, museum archive can be constructed in more systematic way, and the efficiency of museum archive system can be enhanced to maintain the museum collection database in a consistent format. Fourth, the museum's smart contents users' continued access to museum's online contents may induce the exhibition effect of the site and voluntary participation in education, and can also expect an economic synergy effect as the users become potential visitors that may actually visit the museum in the future.

브릿지 모델 지역학습센터(르완다) 설계 모형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of Bridge Model Community Learning Center(CLC))

  • 정재용;박훈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4권1호
    • /
    • pp.83-94
    • /
    • 2018
  • UNESCO has continued to work in Africa, especially in the six southern sub-Saharan countries, and Asia, where international cooperation is needed. The CLC (Rwanda Community Learning Center) covered in this study aims to create a regional learning center in Rwanda and to recover local communities and provide learning environment. During the course of this study, we conducted field trips for actual planning and reviewed the current state of educational and cultural facilities that recently opened and are operated, and found implications. In consultation with the Rwandan Educational Commission, the site for CLC was decided, the building was designed, and the construction is about to star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addition to the efforts of the activists in the village, which can be considered the smallest unit of a local community, the approach for establishing an architectural space and active education and community environment can be evaluated as a result of experimental efforts. Second, we can pay attention to the attempts to realize local communities. The bridge business is based on the multi-purposes such as early childhood education, technical education for adults, and community restoration of local residents and it reflects space and program plans for this purposes. It also reflects detailed plans such as differentiating the flow planning depending on users' time of use. Third, we can explain the characteristics of architectural planning considering local characteristics such as active use of local material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a developing country, there were significant considerations on maintenance, and to this end, the plan included plans for the environment and use of materials that are easily maintained. In addition, the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in the process of establishment was suggested as a possibility to serve an educational role.

공과대학 신입생의 핵심역량 인식수준을 통한 공학교육방향 연구 (The Study on Proper Way for Engineering University Education: Based on the Perception of Current Competencies and Expected Competencies of Engineering Freshmen)

  • 이경희;권혁홍;이정례;이성진
    • 공학교육연구
    • /
    • 제13권6호
    • /
    • pp.57-71
    • /
    • 2010
  • 본 연구는 대학교육을 통하여 획득해야 하는 핵심역량들을 추출하여 공과대학 신입생들이 인식하는 현재의 역량수준과 기대하는 역량수준을 조사하고 공과대학 교육의 방향성을 탐색해 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핵심역량에 대한 문헌분석을 통해서, '전공능력', '교양능력', '외국어능력', '기초수학능력', '인간소통능력'의 5가지를 공학교육의 목표와 내용이 되어야 할 핵심 역량으로 추출하였다. 이를 연구도구화 한 뒤, C대학교 공과대학 신입생 584명을 대상으로 핵심역량에 대한 현재인식수준과 기대인식수준을 조사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신입생들은 모든 역량에서 현재 역량수준이 낮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특히 '외국어 역량'에 대한 인식수준이 가장 낮았다. 기대인식수준에 대한 교육요구도 '외국어능력'이 가장 높았고, '전공능력'은 두 번째로 높았다. 둘째, 신입생들의 하위특성을 성별, 고등학교 계열별, 출신고등학교의 지역별, 대학입학전형 유형별, 수능 수리유형별로 차이검증을 실시한 결과, 하위특성별로 현재인식수준과 기대인식수준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공과대학 교육의 방향으로 외국어(영어)교육의 강화, 학습자의 하위 특성에 따른 개인차 해소를 위한 다양한 교육프로그램 설계 및 실행, 전공능력뿐 아니라 교양능력 및 인간소통능력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제고와 관련 프로그램의 강화, 교수-학습과정에 대한 피드백 자료 축적을 통한 공학 교육프로그램의 지속적인 수정 보완작업, 공학교육과정과 특별프로그램을 통한 진로교육의 활성화를 제언하였다.

  • PDF

중학교 동아리활동을 위한 STEAM 기반 프로젝트 교육 프로그램 개발: '지구사진 촬영' 주제를 중심으로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 of STEAM-based Project for Circle Activities in Middle School: Focused on the Theme of "Photography of Earth")

  • 김현정;김영민;김진연;허혜연;김종남;김기수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95-217
    • /
    • 2013
  • 이 연구의 목적은 창의적 체험활동의 동아리활동을 위한 '지구사진 촬영'을 주제로 개발된 STEAM 기반 프로젝트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과학 및 기술교과 자기효능감과 공학 태도의 변화를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충청남도 천안 소재의 C중학교 STEAM 동아리 학생 21명에게 9차시 수업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아리활동을 위한 STEAM 프로그램은 준비, 설계, 개발, 실행, 평가의 5단계의 설계 모형을 통해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내용을 선정하고, 차시별 계획과 교수학습지도안, STEAM-Story, 학생 활동지 등을 융합적 관점에서 개발하고 4개월에 걸쳐 창의적 체험활동의 동아리활동에 적용하였다. 둘째, 개발된 STEAM 프로그램은 과학 및 기술교과 자기효능감 측정 도구와 공학 태도측정 도구를 활용하여 사전, 사후 검사한 결과, 과학 및 기술 교과 자기효능감과 공학 태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동아리 활동을 위한 '지구사진 촬영'을 주제로 개발된 STEAM 기반 프로젝트가 중학생의 과학 및 기술교과 자기 효능감과 공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이 효과적임을 검증하였다.

유아교육진흥원 역할과 운영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 견해 분석 (Comparison of the Perceptions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on the Role and Oper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Development Institute)

  • 이혜정;이인회;이지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0호
    • /
    • pp.6743-6750
    • /
    • 2015
  • 본 연구는 세종시 유아교육진흥원의 역할과 운영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교사 58명, 학부모 10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와 학부모의 96% 이상이 세종시 유아교육진흥원 설립이 반드시 필요하며, 주된 역할은 유아체험활동지원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유아교육진흥원 프로그램운영은 유아의 흥미유발과 창의성 신장을 중심으로 누리과정과 연계될 필요가 있고, 주말체험프로그램은 문화 예술체험프로그램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원지원은 교사들의 전문성 및 공감능력 향상을 위한 지원이, 학부모지원은 자녀와의 의사소통방법과 유아발달단계이해를 위한 지원에 대한 요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세종시 유아교육진흥원의 설립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요구도가 상당히 높고, 역할 및 운영에 관한 대부분의 문항에서 교사와 학부모의 의견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의견의 일치도가 상당히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사찰건물의 관광 및 교육문화를 위한 상생발전 연구 - 영월지역을 중심으로 - (Study on the Coexistent Development of the Touristic and Educational Cultures of Temples - Focused on Youngwol region -)

  • 조원섭;오승하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178-187
    • /
    • 2014
  • 본 연구는 사찰건물의 관광 및 교육문화를 위한 상생발전의 방안을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2014년 6월 13일부터 11월7일까지 영월군의 사찰을 대상으로 실태 및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척도문항을 중심으로 현장조사, 건물소유자와 관리자 면접을 실시하였고, 통계처리는 SPSSWIN 18.0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첫째, 역사적 배경에서 문화재적 가치로 매우 귀중한 지역의 문화자산 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주요건물에서는 일반적인 사찰에서 보기 드문 다양한 특색을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어 지역의 특화된 관광자원화가 요구된다. 셋째, 관광 및 교육문화자원화가 아직은 미흡한 실정으로 파악 되므로 이에 대한 대책이 절실하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전통사찰건물 문화의 계승과 현대적 재해석이 필요하며, 이를 토대로 전통사찰문화와 현대문화를 아우르는 디지털관광으로의 발상전환이 시급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아시아 문화유산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ODA 현황과 과제 (Situations and Challenges of ODA for Sustainability of Asian Cultural Heritage)

  • 유재은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9권3호
    • /
    • pp.270-285
    • /
    • 2016
  • 2015년 9월 UN 개발정상회의에서 Post 2015 개발의제로 '지속가능개발목표(SDGs)'가 채택됨에 따라 '지속가능성'을 문화유산과 연계한 다양한 의견과 토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굳이 SDGs를 내세우지 않아도 문화유산 보존 자체가 문화유산이 가지는 자국 문화의 독자성, 특성, 다양성 등을 영구히 유지한다는 지속가능성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이런 관점에서 정책이나 이론적 접근이 아닌 실제적인 문화유산 ODA 사업을 파악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본고에서는 아시아 문화유산 ODA와 관련한 국내외 현황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문제점과 향후의 방향성, 과제에 대해 언급하였다. 먼저 ODA 사업이 시작된 배경이나 개념을 알아보고, 동남아시아의 대표적인 문화유산 ODA 수행국가인 일본과 중국의 사업 내용을 알아보았다. 한국의 문화유산 ODA는 라오스, 캄보디아 유적 복원을 중심으로 비교적 최근에 시작되어 아직 규모나 내용면에서 미비한 수준이다. 문화유산 ODA의 발전을 위한 과제로 다음 몇 가지 사항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로 아시아 문화유산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ODA 사업의 장기 마스터플랜 설정이 필요할 것이다. 둘째로 여러 국가를 대상으로 하는 나열식의 단기간 사업 대신 장기적 관점에서의 선택과 집중이 필요할 것이다. 이미 잘 알려진 사업이 아닌 한국만이 할 수 있는 한국형 문화유산 ODA 모델이 필요하다. 다음으로 지속가능성과의 연계인데, 문화유산 보존은 결국 현지 관광 활성화와 같은 경제 활성화의 원동력이 되면서 현지인에게 그 혜택이 주어져야 한다. 이를 위한 가장 좋은 대안으로 현지전문가 양성을 위한 교육과 역량 강화를 제안한다. 자국의 문화유산은 자국 문화의 고유한 독자성과 특성이 반영된 산물로 자국민에 의한 복원이 최상이다. 이런 점에서 국립문화재연구소에서 실시하고 있는 ACPCS 사업은 한국 고유의 특화된 프로그램으로 역할을 담당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문화유산 ODA의 컨트롤 타워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정보공유와 협력체계 구축, 중복사업 방지 등을 위한 것으로, 일본의 '문화유산 국제협력 컨소시엄'은 참고할 수 있는 사례가 될 것이다.

실행연구 방법론을 통한 예술기업가정신 함양 연구 (Cultivating Arts Entrepreneurship : Action Research on Entrepreneurship in the Arts)

  • 박신의;장웅조;민정아
    • 문화경제연구
    • /
    • 제20권2호
    • /
    • pp.19-45
    • /
    • 2017
  • 본 연구는 한국에서 이제 막 논의가 시작된 예술기업가정신과 관련하여 예술단체 및 예술기업가를 대상으로 그들이 얼마만큼 예술기업가정신을 인식하고 실제로 구현할 수 있을 지를 점검하고, 이를 토대로 추후 필요한 예술기업가정신 교육과 관련한 전망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으로 실행연구(Action Research)를 채택하여, 두 차례의 워크숍을 중심으로 세부 연구 설계에 따른 사전 설문조사와 참가자들의 발표 및 자가진단, 토론, 사전/사후 심층 인터뷰 등을 진행하였다. 특별히 설문조사는 이들이 갖는 예술기업가의 자질 및 특성에 대한 수준을 점검하기 위한 것으로, 역량 이론에 근거하여 설문을 구성하였다. 워크숍의 결과로, 이들에게는 열정에 기반한 도전적 측면과 예술을 통한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확신은 충분히 드러났으나, 새로운 환경 변화에 대한 대응과 관련하여 기술의 인식과 활용 부분에서, 그리고 예술기업가정신에서 요구하는 혁신에 대한 이해와 시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기술과 예술 자체에 대한 혁신적 접근이 필요함을 확인하였고, 추후 예술기업가정신의 실천을 위해 혁신적 사고를 키울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질 경우, 이러한 부분이 강조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백두대간 생태 복원을 위한 시민참여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articipatory Ecological Restoration Program for BaigDooDaeGahn)

  • 김찬국;안동만;김인호;이재영;김성진;채혜성;이영;이재원;김민우;신민종;박효인;조경준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23권2호
    • /
    • pp.1-15
    • /
    • 2010
  • Ecological restoration aims to reverse the degradation of ecosystems that occurred as humans have affected landscape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part of a larger project to develop participatory ecological restoration procedures for disturbed areas in Baigdoodaegahn which is a major mountain range in the Korean Peninsula. The case of alpine farmland at Kangwon-do was selected to apply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participatory restoration since the nutrient contents in alpine solid under vegetable cultivation degrade water quality in the watershed while farmers in the region are economically struggling due to imports of vegetables from China. The reciprocal model of restoration was applied to cope with interactions between human and ecosystem needs in ecological restoration. A series of environmental education and eco-tourism programs were developed and incorporated into the participatory restoration project to rebuild social-cultural aspects of the community as well as to restore the biophysically disturbed area while meeting both ecological needs and human needs. This study suggests that participatory projects will be more successful when experts support the local residents and citizens in restoration process, when leadership are developed through social learning, and when ecological, financial and social factors of restoration are integratedly considered.

  • PDF

초등교사를 위한 환경교육 연수 교육 과정 개발 (Curriculum Development of Elementary Teacher In-Service Training Program for Environmental Education)

  • 정영란;성효현;우애자;박진주;신예진;안미경;이은희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21권3호
    • /
    • pp.66-78
    • /
    • 2008
  • Since Environmenta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is taught separately in various subject area, a well-founded and organized curriculum in integrated Environmental Education is needed to educate teachers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In this research, a curriculum for elementary teacher in-service training program was developed in order to improve both environmental and educational competenci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curriculum was based on the needs analysis on Environmental Education training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Also it was based on international and updated perspectives on Environmental Education,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he curriculum consists of the introduction and the particular perspectives. The particular is made of 60 hours, which covers 6 perspectives on environment. They are ecological perspective, environmental ethics perspective, social-cultural perspective, economic perspective, environmental hygienic perspective, and environmental policy. Environmental policies of Korea and the world were included so that teachers will understand efforts made at national level and participate more to environmental action in their schools. Lesson objectives were specified for teachers to apply this curriculum to their classroom easily. Related elementary curriculum and textbook were indicated at the end of each lesson so teachers can link their training setting with their classroom setting. Especially, in this curriculum various teaching and teaming methods for each lesson are introduced. Thus, this re- search is very practical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are planning to teach environment in their classroo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