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dible leaf

검색결과 103건 처리시간 0.026초

Canna edulis Leaf Extract-Mediated Preparation of Stabilized Silver Nanoparticles: Characterization, Antimicrobial Activity, and Toxicity Studies

  • Otari, S.V.;Pawar, S.H.;Patel, Sanjay K.S.;Singh, Raushan K.;Kim, Sang-Yong;Lee, Jai Hyo;Zhang, Liaoyuan;Lee, Jung-Kul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7권4호
    • /
    • pp.731-738
    • /
    • 2017
  • A novel approach to synthesize silver nanoparticles (AgNPs) using leaf extract of Canna edulis Ker-Gawl. (CELE) under ambient conditions is reported here. The as-prepared AgNPs were analyzed by UV-visible spectroscopy, transmission emission microscopy, X-ray diffraction, Fourier transform-infrared spectroscopy, energy-dispersive analysis of X-ray spectroscopy, zeta potential, and dynamic light scattering. The AgNPs showed excellent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various pathogens, including bacteria and various fungi. The biocompatibility of the AgNPs was analyzed in the L929 cell line using NRU and MTT assays. Acridine orange/ethidium bromide staining was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 AgNPs had necrotic or apoptotic effects on L929 cells. The concentration of AgNPs required for 50% inhibition of growth of mammalian cells is far more than that required for inhibition of pathogenic microorganisms. Thus, CELE is a candidate for the eco-friendly, clean, cost-effective, and nontoxic synthesis of AgNPs.

유산균으로 발효한 황기 잎 추출물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 from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Leaf Fermented with Lactic Acid Bacteria)

  • 송빛나;이다빈;이성현;박보람;최지호;김용석;박신영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428-434
    • /
    • 2020
  • Background: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leaf (AMBL) fermented with lactic acid bacteria and the applicability of its biologically active compounds. Methods and Results: An assessment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such as pH, total acidity, free sugars, and isoflavonoid (calycosin-7-o-β-d-glucoside, ononin, calycosin, and formononetin) was conducted. Furthermore, the levels of antioxidant compounds, including polyphenols and flavonoids, and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the extracts using 2,2-Diphenyl-1-picryl-hydrazyl-hydrate and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were investigated. The calycosin content in the water extract of AMBL fermented with Leuconostoc mesenteroides increased by approximately twice as much as the control. Conclusion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L. mesenteroides can be used to improve biological activity through fermentation, and that AMBL can be used as a functional materials and edible resource in industrial areas.

잎의 외형을 이용한 산나물 자동인식 시스템 (Automatic Recognition System for Wild edible greens using Leaf External Form)

  • 김성중;주휘윤;김현정;원일용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980-983
    • /
    • 2014
  • 본 논문은 잎의 외형을 이용한 산나물 자동 인식 시스템을 제안한다. 더 나은 산나물 자동 인식 시스템을 위해 잎의 외형 추출뿐만 아니라 방향벡터를 이용하여 정확도를 향상시켰다. 이를 위해 BP와 HMM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개선하였고, 외형 특징점을 추출하여 표현하였다. 제안하는 시스템의 성능은 실험으로 증명하였으며, 어느 정도 의미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임간재배 시 병풍쌈 유묘의 차광처리별 생장 및 생리 반응 (The Growth and Physiological Responses of Cacalia firma Seedlings by Shading Conditions in Forest Farming)

  • 윤준혁;전권석;송기선;박용배;문용선;이도형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3권1호
    • /
    • pp.65-71
    • /
    • 2014
  • 병풍쌈(Cacalia firma)은 병풍취라고도 하며 초롱꽃목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로 한국, 중국, 일본에 분포되어있다. 웰빙 삶을 위한 생활식습관의 변화에 따라 기능성 식품과 유기농 채소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병풍쌈 임간재배를 위한 적정 광조건을 구명하기 위해 1년생 병풍쌈에 대해 차광망을 이용하여 4가지 광조건 25%, 55%, 75%와 95% 차광처리(전광의 50%, 30%, 20%, 10% 상대광도)와 대조구(전광)에서 생육 후 초기 생장과 생리적 반응을 조사 분석하였다. 75% 차광처리구는 대조구와 비슷한 초장, 뿌리생육과 함수율을 보였으나, 잎의 길이, 폭과 면적이 증가하여 엽 건중량과 총 건중량이 증가하였다. 특히 95% 차광처리구에서는 대조구에 비해 근원경과 뿌리길이는 감소하였으며 총 건중량도 감소하였으나, 초장이 약 40% 증가 하였으며 엽 생육과 함수량 또한 증가하였다. 엽면적비(specific leaf area; SLA)와 엽면적률(leaf area ratio; LAR)은 통계적 유의성을 보이며 대조구에 비해 매우 높게 나타나 잎의 두께가 얇고 수광면적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병풍쌈은 낮은 광조건에서도 원활한 탄소동화작용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병풍쌈의 임간재배를 통한 적정 광요구는 차광처리 75~95%(상대광도 10~20%)로 조사되었으며, 산채류로써의 상품성을 고려할 때 임간지역에서 75% 이상 차광재배 함으로써 식감과 생산량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 연구결과는 병풍쌈의 임간재배 가능성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電氣刺戟 處理時間이 赤丸20일 무의 收量形質 및 可食部內 $NO_3^-$含量에 미치는 影響 (The Effects of the length of Electrical Stimulation Treatment Time on the Yield Components and $NO_3^-$ Content in Edible Parts in 2 Cherry Type Radishes(Raphanus salivas L.).)

  • 권오달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65-74
    • /
    • 2002
  • 電氣刺戟의 處理時間이 赤丸20일 무의 收量形質과 可食部 內 窒酸含量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며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電氣刺戟 2시간처리가 葉長生長과 根徑肥大를 촉진시키는데 효과적이었으며, 'Comet'와 'Sakuranbo'의 根徑은 무처리구에서 보다 각각 14.7%와 12.8% 증가하였다. 2. 根生體重에서 'Comet'는 2시간구가, 'Sakuran'는 8시간구가 가장 높았고, 이것은 무처리구 보다 각각 39%이상 높은 것이었다. 3. 모든 電氣처리구의 뿌리 내 질酸含量은 무처리구 보다 높았다. 그리고 뿌리의 窒酸含量은 根徑, 機重, 그리고 總重量과도 높은 正의 相關關係를 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갯기름나물의 체세포배 분화와 기관 분화를 통한 재분화 (Plant Regeneration via Somatic Embryogenesis and Organogenesis from Peucedanum japonicum $T_HUNB$)

  • 김옥태;김광수;안준철;황백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21-24
    • /
    • 2001
  • 식용 및 약용으로 사용되는 갯기름나물의 기내배양을 통한 재분화율을 조사하였다. 캘러스는 잎과 엽병의 절편체에서 발생하였고 0∼5 mg/L의 NAA와 0∼10 mg/L BA가 첨가된 MS 기본배지에 치상하여 암배양 결과 자발적인 배 분화와 기관 분화를 보여주었으며 2.5 mg/L NAA와 10 mg/L BA의 조건에서 재분화율이 가장 높았다. 체세포 배의 발생양상은 구형, 심장형, 어뢰형을 거쳐 자엽 단계로 발달하여 전형적인 접합자 배의 모습으로 발달하였다. 배 발생한 일차 체세포배를 0.2 mg/L의 NAA가 첨가된 배지에서 배양하였을 때, 이차 체세포배가 발생하였으며 주로 일차 체세포배의 배축과 하배축에서 많이 발생하였고 그 다음으로 자엽이나 뿌리 부분에서 발생하였다.

  • PDF

경상남도 지역의 민속식물 이용현황 (The Usage of Regional Folk Plants in Gyeongsangnam-do)

  • 임형탁;홍행화;손현덕;박명순;남보미;권보경;이철호;정규영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419-429
    • /
    • 2011
  • 본 연구는 경상남도 지역에서 이용되는 민속식물을 파악하기 위하여 2009년 3월부터 11월까지 수행되었다. 17개시(광역시) 군지역의 52개소에서 주민 60명을 대상으로 수집한 조사야장 293장의 설문조사를 분석한 결과, 경상남도 지역에서 파악되고 수집된 민속식물은 총 73과 157속 168종 2아종 11변종 1품종의 총 182분류군으로 정리되었다. 식용 129종류, 약용 41종류, 염료 3종류, 향료 2종류, 향신료 2종류, 관상용 2종류, 섬유 6종류, 유지 2종류, 기타 25 종류로서 식용으로의 이용 빈도가 가장 높았으며, 이용 부위로는 잎, 전체, 열매, 뿌리 순으로 나타났다.

고사리 산업화를 위한 인공종자 개발 및 생산 (Synthetic Seed Development and Production for Industrialization of Eastern Bracken)

  • 장보국;조주성;이철희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1-11
    • /
    • 2021
  • Ferns have been consumed as food in many countries for centuries. As rich sources of protein, fiber, minerals, vitamins, essential amino acids, and fatty acids, ferns provide important nutrients to humans. Eastern bracken (Pteridium aquilinum var. latiusculum (Desv.) Underw. ex A. Heller) is the most popular edible fern in South Korea where, additionally, it has long been used as an edible wild leaf vegetable. Recently, the production of eastern brackens in South Korea (2018) has reached 14,032 tons, for an annual revenue of 83.5 billion won, and even more eastern brackens are marketed if imports are taken into account as well. Most of the common ferns can be propagated using spores. However, fern farmers cultivate seedlings through traditional propagation methods, such as root pruning or rhizome division. These propagation methods exhibit limitations in forming roots and growing-points and are labor intensive. Quality seedlings of eastern bracken can be obtained through spore propagation, but the spores are fine and difficult to handle in the field. In addition, it would require appropriate environmental control. The production of synthetic seeds using encapsulation technology is easy to establish and it can be used to achieve high productivity at low cost. Synthetic seeds contain explants embedded into a seed foam, and they overcome the limitations of micropropagation and offer the possibility of using plug seedlings. Synthetic seed matrix, such as sodium alginate, has the advantages of low cost, low toxicity, and gel stability. The present study aimed to develop and produce synthetic seeds for the commercial exploitation of eastern bracken. Furthermore, we verified spore germination and the extent of gametophyte and sporophyte development achieved with our new synthetic seeds, whose production was intended to solve current problems with the handling, storage, and transportation of eastern bracken.

  • PDF

수종식물의 MCF-7 세포에 대한 세포사 및 항ㆍ증식효과 (Apoptotic Effects of Some Plants on MCF-7 Mammary Gland Adenocarcinoma Cells)

  • 정용자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61-66
    • /
    • 2004
  • 식용식물 Capsicum annuum L., Lactucs dentata Makino., Sedum sarmentosum Bunge, Perilla frutescens Brit., Agastache rugosa Kuntz, Equisetum arvense L., Chrysanthemum coronarium, Arctium lappa, Cinnamomum camphora Sibe.들의 MCF-7 mammary gland adenocarcinoma cell line에 대한 증식억제효과를 관찰하기 위해 MTT 비색정량법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Cupsicum annuum L. 추출시료를 첨가한 경우에 MCF-7세포의 성장은 현저한 감소를 보였으며, 결과에서 분명한 항암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 특히 Capsicum annuum L. leaf은 1 $\mul/ml$ 첨가에서 35,3%의 증식억제효과를 보였고, 2.5 $\mul/ml$에서 42.9%, 7.5 $\mul/ml$에서 94.8%의 세포성장억제를 관찰할 수 있었다. Capsicum annuum L. fruit unripen 추출물 10 $\mul/ml$에서 75%, 25 $\mul/ml$에서 80%의 성장억제률을 보였다. Equisetum arvense L. 와 Lactuca dentata Makino. var. flaviflora Makino에서도 세포성장이 억제됨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Lactuca dentata Makino. var. flaviflora Makino추출시료 첨가군에서는 10 $\mul/ml$ 첨가에서 30%, 25 $\mul/ml$에서 52%의 성장억제률을 보였다. Equisetum arvense L.은 10 $\mul/ml$ 첨가군에서 11%, 25 $\mul/ml$에서 25%의 성장억제률을 보였다. 배양세포의 형태변화를 관찰해 본 결과에서도, 첨가시료가 Capsicum annuum L. leaf인 경우 착상이 어렵고 3일부터는 세포탈락과 세포파괴가 일어나기 시작하여 6일째엔 거의 모든 세포에서 세포사현상이 관찰되었다. 그리고 Capsicum annuum L. fruit unripen와 Lactuca dentata Makino. var. flaviflora Makino 추출액을 첨가한 경우에도 배양4일에 세포의 변형과 성장지연이 관찰되었으며, 8일째에 파괴되기 시작하여 배양14일과 19일에 많은 세포사현상의 파편들이 관찰되었다. Equisetum arvense L.는 배양4일에 세포성장은 지연되었으나 여전히 잘 자랐으며 일부세포에서 변형이 관찰되었다. 12일째에도 성장은 계속되었고 일부세포만이 변형을 보였으며 18일째에도 비슷한 결과로 관찰되었다.

담액 수경재배시 근권제한이 엽채류의 생육 및 식물 영양소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oot Zone Restriction on the Growth Response and Phytonutrients Contents of Leafy Vegetables Grown in a DFT System)

  • 서태철;이한철;윤형권;전창후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8권3호
    • /
    • pp.415-422
    • /
    • 2010
  • 상추 2종, 쑥갓, 청경채, 엔디브, 그리고 치커리의 엽채류담액 수경 재배 시 높이 100mm, 직경 20, 25, 30mm의 원통형의 플라스틱 튜브를 이용하여 근권제한 처리를 한 후 생육과 식물영양소를 조사하였다. 근권제한은 용기 크기에 따라 엽채류의 지상부 생체중이 25-95% 범위에서 감소하였으며, 쑥갓과 청경채가 가장 영향을 많이 받았고 엔디브나 치커리는 적게 받았다. 건물률, C/N율 및 총비타민C와 총안토시아닌의 함량은 근권제한에 의해 증가하였다. 무기성분 중 P와 K함량은 근권제한에 의해 모든 작물에서 감소하였지만, Mg, Fe, Mn, Zn 등은 작물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식물 영양적 가치를 증가시키고 생육 억제를 감소하기 위한 적절한 근권 용적은 엽채류 종류에 따라 달랐다. 치커리, 엔디브, 그리고 상추는 ${\Phi}25mm{\times}100mm$, 쑥갓과 청경채는 ${\Phi}30mm{\times}100mm$ 튜브 처리에서 각각 가장 좋은 결과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 수경재배 시 원통형의 플라스틱 튜브를 이용한 근권제한 처리가 엽채류의 영양적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