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cotourism

검색결과 140건 처리시간 0.033초

Valuing Ecotourism in Palutungan Resort, Gunung Ciremai National Park, Indonesia

  • Adi, Saputra Nur;Lee, Don Koo;Park, Joowon;Lee, Yohan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2권4호
    • /
    • pp.344-352
    • /
    • 2016
  • In this paper, we conducted an empirical study on the economic value of Palutungan Resort, Gunung Ciremai National Park (Indonesia), using an individual travel cost method. Gunung Ciremai is the highest mountain in West Java Province which has high biodiversity and constitutes the home range of the endangered species, Nisaetus bartelsi and leopards. Using the individual travel cost method, we estimated the annual consumer surplus of ecotourism for Palutungan Resort to be approximately $19, while its total economic value was $0.23 million. However, Palutungan Resort does not benefit exclusively, because the total economic value is divided diversely among the central government (non-tax revenue), local government (taxes), and local communities, while the transportation agencies, retailers, and gas station companies also reap some valuable benefits. In regard to the benefit allocation, all of the associated parties should participate in the conservation and preservation of natural resources in Palutungan Resort to improve the ecotourism services.

Ecotourism Carrying Capacity and the Potentiality of the Safari Park of Bangladesh

  • Masum, Kazi Mohammad;Al Mamun, Abdullah;Rahman, Zahed Mohammad Malekur;Rahman, Md. Motlubur;Newaz, Md. Shah;Redowan, Mohammad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9권4호
    • /
    • pp.292-299
    • /
    • 2013
  • The study was undertaken to assess the tourist's carrying capacity and to explore ecotourism potential of Bangabandhu Sheikh Mujib Safari Park, the only safari park of Bangladesh. Carrying capacity was assessed both from physical and social aspect. On the other hand, 250 visitors were interviewed with semi structured questionnaire for ecotourism prospect evaluation along with some secondary data. The total daily-allowed visit was 17,300 with rotation coefficient of 3.46. Maximum daily average numbers of tourists were relatively below the physical carrying capacity of the Park (5,000). The social carrying capacity was 4.38 persons per day. As there are different categories of visitors, their choice of encounters and number of expected encounters also varied. Each year, the total tourist's number varied significantly ($p{\leq}0.05$). That proved the safari park had immense tourist prospect. 85 percent visitors were from lower and middle class family as entrance fees and other fees inside were very cheap in relation to other private amusement place. The ecological perspective of the park will remain unaltered if the carrying capacities of the area are followed with sustainability. Therefore, it is the proper time for taking appropriate decision.

Ecotourism and Protected Area Conservation in Bangladesh: a Case Study on Understanding the Visitors Views on Prospects and Development

  • Rahman, Md. Habibur;Roy, Bishwajit;Anik, Sawon Istiak;Fardusi, Most. Jannatul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9권1호
    • /
    • pp.15-28
    • /
    • 2013
  • Protected area based ecotourism is now the most interesting topic to the nature lover and policy maker throughout the world because of its linkage with economic benefits, protected area management and biodiversity conservation. Based on this premise our study explores the visitors' perception on the recreational potential of Kaptai National park and its potentiality in ecotourism development in Bangladesh. The field survey was carried out both in holidays and non-holidays of the week from the late winter season in 2009 to the spring season in 2010. A total of 118 visitors were interviewed with the help of a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Study findings revealed that about 62% male constitute the visitors group with the maximum number of visitors in the age of between 15-25 years (35.59%). The tourists were very much attracted by boat riding (93.22%) followed by scenic beauty of Rampahar-Sitapahar (85.59%). A major portion of about 57.14% tourists wished to visit the park within a year because they got a lot of pleasure from Natural and green environment (86.44%) followed by boating on Kaptai Lake (85.59%). Most of the visitors (36%) were happy about existing facilities but defined some problems such as tour guiding facility, food and drinking water supply, etc. About 71% and 66% respondents perceived that Kaptai National Park made them to be concerned and protective of nature and supports and sustains local ecosystem respectively and 43% respondents agreed that Kaptai National Park ensures the social equity and involve local people in ecotourism which are the most important elements of sustainable ecotourism. The present study results also predict that the park might be a good recreational area for enjoying with family members and group of friends through proper management and promoting the relationships among tourism, local people and biodiversity conservation.

생태관광지역 자연자원 관리를 위한 수용력 기반 관리모델 개선방향 : Getz, LAC, VIM, VERP 관리모델을 중심으로 (Direction for Improving Management Model based on Carrying Capacity for Managing natural resources in ecotourism area : Focused on Getz, LAC, VIM and VERP)

  • 박홍철;오충현
    • 환경정책연구
    • /
    • 제13권4호
    • /
    • pp.107-133
    • /
    • 2014
  • 생태관광은 이용과 보전 사이에서 다양한 문제점을 낳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대상지에 대한 수용력 파악과 적절한 탐방객 수 조절 등의 과학적인 관리기법의 도입이 필요한 상황이다. Getz, LAC, VIM, VERP 관리모델은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개발되었으며, 국내에서도 도입 및 적용하기 위해 연구되었던 수용력 기반의 관리모델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생태관광 특성 및 현황, 목적에 적합한 관리모델로의 수정 보완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기존의 관리모델을 비교 검토하여 문제점을 파악하였으며, 크게 3가지 개선항목을 제시하였다. 첫째는 수용력과 관리목표의 상호의존적 연계 시스템 개선이며, 둘째는 관광기회분포모형의 개선이다. 셋째는 단계적 관리체계의 개선이다. 이를 통해 최소의 노력과 비용으로 생태관광지역의 탐방객 영향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제주도를 방문한 대안관광객의 차별적 여행특성 규명 (Identification of Alternative Tourists' Distinctive Characteristics by Comparing with Mass Tourists in Jeju Island)

  • 강미희;박찬우;이영주;김성일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5권6호
    • /
    • pp.759-767
    • /
    • 2006
  • 이 연구는 제주도를 찾는 관광객을 대안관광객과 대중관광객으로 구분하고, 친환경여행에 대한 태도와 생태관광 관련 인식, 그리고 기타 여행특성을 이용하여 대안관광객의 차별적 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생태관광도입이 추진되고 있는 제주시험림에 대한 제주관광객의 인지도와 시험림 방문의도를 조사하여 제주시험림이 대안관광의 한 대상지로 이용될 수 있을지의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대안관광객은 대중관광객에 비해 보다 자연과 문화 지향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으며, 생태관광 인지도와 참여의도가 높고, 제주시험림으로의 생태관광 참여의도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안관광객은 보다 능동적이며, 자연친화적인 활동 참여율 역시 상대적으로 높으며, 스스로를 문화 및 자연 지향적인 관광객으로 평가하였다. 대안관광객의 차별적 특성을 이해하고 이를 다양한 형태의 대안관광 개발 및 관리 계획에 반영하여 제주 대안관광시장의 지속가능성을 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Visitors' Perceptions to Ecotourism Goals and Satisfaction : The Case of Muju Firefly Festival

  • Jeong Gang-Hoan;Roh Yong-Ho;Yhang Wii-Joo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73-377
    • /
    • 2005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ecotourism goals which are providing educational tourism, generating environmental conservation, and residents' economic benefits based on the 7th Muju Firefly festival. The sample was 243 visitors from August 23rd to 30th, 2003.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visitors showed high satisfaction for the educational tourism program. Experiencing educational 'Mysterious Firefly Field Trips' contributed to the tourists' educational satisfaction. It was found that these experience programs were very popular. Second, residents' and domestic visitors' satisfaction was high with 5.50 on Likert 7 points concerning environmental conservation. Third, foreigners showed high satisfaction for visiting tourism sites and understanding regional culture in terms of understanding region and economic benefits. The average economic effect was decreased compared to 2002. So there should be more diverse strategy to increase economic effect. Also more festival related products, diverse and unique foods and beverages based on regional products should be developed.

생태관광객의 지각된 가치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환경친화적 태도의 조절효과 - (Perceived Value Influencing Loyalty in Ecotourist - Moderating Effects of Environmental Friendly Attitude -)

  • 정하영;박덕병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30권2호
    • /
    • pp.83-101
    • /
    • 2023
  •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environmental friendly attitudes between perceived value and loyalty in ecotourists. A total of 210 vali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visitors to Saemangeum and Sihwaho during 7 days. The functional value, social value, and emotional value were identified as dimensions of perceived value from factor analysis. Results from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emotional value and social value positively influenced loyalty. Moreover, environmental friendly attitudes were found to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loyalty and emotional and social values. The findings suggest that policy makers and practitioners consider environmental friendly attitude and perceived values in making ecotourism programs to sustain ecotourism destinations.

남태평양제도의 환경친화적 관광특성 -피지(Fiji)의 생태관광을 사례로- (The Characteristics of Environmental Friendly Tourism in the South Pacific Islands: A Case Study of Ecotourism in Fiji Islands)

  • 최재우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24-141
    • /
    • 2006
  • 피지는 남태평양의 해양 및 항공교통의 중앙에 위치함으로서 남태평양의 허브로 간주된다. 세계경제 내에서 가장 급속하게 성장하는 관광은 이미 피지 내에서도 잘 정착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해외지역연구로서 피지의 생태관광 특성에 대해 탐구한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피지에 관한 문헌조사 후 Suva의 Raintree 로지, Kula 생태공원, Sigatoka 사구국립공원 그리고 Nadi 부근 Nalesutale 피지 원주민마을에 현지답사를 수행하였다. 관광시설과 프로그램의 대부분은 환경적, 경제적 및 교육적 효과를 위해 개발되었다. 피지의 사례연구들은 한국에서 생태관광과 환경보전이 성공할 수 있는 좋은 모델을 보여주고 있으며, 환경친화적 관광산업을 위한 효과적인 지역정책수립에 일조를 기할 것이다.

  • PDF

산촌지역 생태 관광 개발에 대한 주민의식과 참여에 관한 연구 -경기도 남양주시 운길산 지역과 강원도 원주시 황둔리 지역을 중심으로- (A Study on a Residents' Consciousness and a Attitude toward Participation for Development of Ecotourism in a Mountain Villages -Focused on the Mt. Ungil on Namyangju and Hwangdun-ri in Wonju-)

  • 윤화영;김동석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80-288
    • /
    • 2008
  • 본 연구는 생태관광 개발과 지속적인 발전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인 주민참여 부분에 대한 연구로서 지역 생태관광 개발에 있어 우선 고려되어야 할 주민참여 방법과 선행 해결과제들을 조사 분석하였다. 조사는 국내 산촌지역으로 자연환경이 우수하고 접근성이 좋아 개발가능성이 높은 지역을 선정하여 현지 방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장기 부재중인 주민을 제외하고 각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190명의 주민을 대상으로 조사 분석한 결과 지역주민들은 생태관광 개발에 대해 긍정적이며, 관광개발계획 수립단계부터 적극적인 참여를 원했다. 또한 생태관광 개발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자연환경보전을 전제로 한 지역경제 및 개인소득의 증대로서 이를 위해서는 가장 먼저 관련 법 제도적 정비와 함께 지역주민에 대한 교육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나타났다.

우포늪 따오기 종복원을 활용한 생태관광 (The Ecotourism with the Restoration of the Crested ibis at Upo Wetland)

  • 노용호;임채관;박희천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417-427
    • /
    • 2010
  • 본 연구는 멸종위기종인 따오기의 종복원을 통한 생태관광의 가능성을 분석하고자, 우포늪을 방문한 방문객을 대상으로 따오기 관련 정보원과 종복원 목적에 대한 인식도를 조사하였다. 또한 따오기와 환경에 대한 관심과 지역사회에 대한 관심, 따오기 종복원에 대한 인지도 및 응답자의 행동의도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첫째, 따오기 관련 정보는 주로 대중매체와 인터넷에서 얻고 있으며, 따오기의 종복원의 목적은 멸종된 종의 복원이라는 응답이 많았다. 둘째, 따오기와 환경, 따오기와 지역사회에 대한 관심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환경에 대한 관심도와 행동의도 간에도 유의적인 영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지역사회에 대한 관심은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