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conomic space

검색결과 1,262건 처리시간 0.027초

경부고속도로: 이동성과 구획화의 정치경제지리 (Gyeongbu Highway: Political Economic Geography of Mobility and Demarcation)

  • 최병두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312-334
    • /
    • 2010
  • 이 논문은 1960년대 박정희 대통령에 의해 추진된 경부고속도로의 건설에 내재된 이동성과 구획화의 정치에 초점을 두고, 이를 정치경제학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경부고속도로는 첫째 교통로를 통한 이동성의 창출로 권위주의적 정치권력을 강화하고 사회공간적 통합을 이루어내는 중요한 힘이었으며, 둘째 '비장소'로서 새로운 '기계공간'의 확충을 통해 국토공간의 물리적 경관과 국민들의 일상생활의 리듬을 바꾸어 놓는 위력을 가졌고, 셋째 시공간적 압축을 통해 자본의 회전시간을 단축하여 자본주의 경제가 발전할 수 있는 물적 토대를 제공했다. 그러나 경부고속도로는 이에 포섭된 지역(수도권과 동남임해지역)과 배제된 지역(즉 호남지역과 강원지역)간 불균등발전을 틀지웠을 뿐만 아니라, 결국 이에 포섭된 지역들 내에서도 불균등발전을 심화시켜 수도권과 그 외 지역들 간을 구획화하는 정치경제적 균열화를 초래했다. 경부고속도로는 또한 이동성의 심화에 따른 장소 소외와 건설 운영과정에서 생태적 문제를 유발하였다. 이러한 '고속도로의 비극'을 해소하고 고속도로가 진정한 균형과 통합의 길로 거듭나기 위하여 '지속가능한 정치'가 요구된다.

  • PDF

팬데믹 시대의 도시 씬 요소 변화 (Changes in Urban Scene Elements in the Pandemic)

  • 구선아;장원호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62-275
    • /
    • 2020
  • 코로나19에 의한 팬데믹으로 세계 도시는 변화를 맞이했다. 글로벌 경제체계가 약해짐에 따라 상품 생산 및 유통 체계에도 지역화가 강화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또한, 지역화가 강화된 도시에서는 소비 형태가 변화했고 이에 따라 물리적 장소를 소비하는 방식도 변하고 있다. 대형 다중이용시설 소비는 대폭 감소했고, 온오프라인 경계가 허물어지는 속도가 빨라졌으며, 취향 공유를 위한 어메니티 소비는 더욱 세분화, 전문화되고, 프라이빗(private)해졌다. 도시 어메니티의 집중으로 파악되는 도시 씬에도 큰 변화가 나타났다. 도시 씬에서 로컬 스케일과 로컬리티가 중요해졌고, 공감성이라는 새로운 도시 씬 요소가 등장하였다. 공감성은 개인이 도시 어메니티를 소비함에 있어 사회적, 정서적 연결을 목적으로 하며, 연결성, 취향 소비, 노스탤지어를 추구한다. 본 연구는 공감성에 기반하며 문화 소비하는 공간을 공감적 공간이라 명명하고 그 개념을 설명하였으며, 향후 포스트코로나 상황에서 도시 씬에서의 공감적 공간의 중요성을 제시하였다.

제주국제자유도시, 신자유주의 예외공간, 그리고 개발자치도 (Jeju Free International City and Neoliberal Space of Exception)

  • 이승욱;조성찬;박배균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69-287
    • /
    • 2017
  • 제주국제자유도시는 세계화 시대 경제위기 극복과 새로운 국가경쟁력 확보 등의 당위성을 바탕으로 지방의 적극적인 추진의지와 중앙의 정책적 제도적 지원을 통해 '21세기 동북아 중심도시'를 목표로 야심차게 출범하였다. 그러나 국제자유도시 추진이 결정된지 약 20년이 지난 현 시점에서 이러한 발전 비전은 사실상 상실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이상적 자유시장 경제모델'을 표방한 제주국제자유도시가 발전주의 국가모델의 유산이 여전히 작동하는 한국 경제체제에서 예외적으로 급진적인 신자유주의 개방경제공간을 지향하였고 각종 신자유주의 탈규제 정책의 실험장으로서의 역할을 자임하였지만, 환경과 사회경제적 모순 격화로 인한 지역사회 갈등의 심화, 중앙정부의 형평성 논리 및 제한된 자치권으로 인하여 사실상 실패하였다고 주장한다. 이를 위해 예외공간으로서의 경제특구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기반으로 제주국제자유도시 발전 비전의 변화과정을 분석하고, 다양한 예외적 제도와 공간적 장치들이 제주를 어떻게 예외공간화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 PDF

Urban Uses of Underground Space around the World

  • Nelson, Suasn R.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2권1호
    • /
    • pp.1-10
    • /
    • 1992
  • As our global population grows each day, it is apparent that we must find new ways to provide space for habitation and the services necessary to support large urban areas. It is no longer advisable nor acceptable to continue to expand our cities on the surface, encroaching on valuable agricultural land and open space. We must also find ways to be more energy efficient in every aspect of our societies. Effective use of underground space can provide the space necessary to accommodate larger populations and the services necessary for their support in existing urban areas we can also find new ways to utilize underground facilities to improve urban efficiency and function. Underground technology has improved dramatically in the last two decades and continues to evolve to meet a great variety of applications. The confluence of available technology, economic feasibility, and greater acceptance of underground solutions with recognition of the need to change the ways we build and use out urban areas and their surrounding environment indicates that we are witnessing only the beginning of appropriate and innovative use of underground space future generations will indeed 'Think deep'.

  • PDF

임의 저장방식 하에서 기업 내 저장공간과 외부의 임차공간에 대한 최적 규모 결정 (Optimal Sizing of In-Plant and Leased Storage Spaces under a Randomized Storage Policy)

  • 이문규
    • 대한산업공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294-300
    • /
    • 2004
  • This paper considers a trade-off effect between in-house storage space and leased storage space in generic warehouses operated under a randomized storage assignment policy. The amount of in-house storage space is determined based on the law of large numbers satisfying a given service level of protection against space shortages. Excess space requirement is assumed to be met via leased storage space. A new analytic model is formulated for determining the excess space such that the total cost of storage space is minimized. Finally, computational results are provided for the systems where the standard economic-order-quantity inventory model is used for all items.

상업공간의 미래 (The Future of Commercial Space)

  • 노정호
    • 디자인학연구
    • /
    • 제3권1호
    • /
    • pp.83-93
    • /
    • 1990
  • The constant evolution of society, culture and scientific technology, coupled with changes in life style and behavioral patterns, has led mankind to peroeive diverse needs for space. Particularly, the rapid structural change in the field of marketing has entailed changes in techinques for construction and presentation of space for an improved marketing environment. To satisfy such new, diverse needs for space, interior designers will have to redefine the "mankind and environmen( concept and examine their design methodology anew. The question of how to design available space for a certain purpose will remain a daunting task for designers in the future, as it has been in the past. In the pursuit of convenience and conformity to mankind's surroundings, every nation has, in common with other nations, basic design elements, design skills and other factors. In designing camercial space in a particular region, it is essential, however, to have a proper understanding of the social economic and cultural context indigenous to that region, as well as the impact on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change and marketing strategy. This study discusses design metholdology for the comming camercial space on the basis of the space concept and current status in Korea, with major emphasis on Korea's regional characteristics.

  • PDF

Eurasian Economic Union: Asymmetries of Growth Factors

  • Khusainov, Bulat D.;Kireyeva, Anel A.;Sultanov, Ruslan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4권1호
    • /
    • pp.51-58
    • /
    • 2017
  • The aim of the study is to assess the asymmetry of influence of factors of economic growth of national economies, which are included in the integration. Unlike previous research, the scientific significance of the obtained results consists in the use of a new method of study - external demand as a factor of economic growth, disaggregated into two components. The first is net exports mutual trade in goods within integration associations. The second is net exports of foreign trade in goods outside the integration. By use of these methods we have evaluated the contribution of these factors on economic growth of the Customs Union and the Common Economic Space (CU/CES), as well as Kazakhstan, Russia and Belarus. In the conducted analysis of scientific research was based on the fact that the economies of the member (CU/CES) are very different in scale, economic potential and volume of foreign trade. Based on this research we conclude: integration is developing successfully and efficiently only with the rise of the national economies of the member countries; to enhance economic growth and competitiveness of the countries of the Eurasian integration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volume of mutual trade of member countries of this integration.

아파트 각 실의 비중변화와 내부공간 개조요구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Changes of Areal Share of Rooms and Residents' Demand for Internal Space Remodeling of Apartment Housing)

  • 김한수;김재홍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0권4호
    • /
    • pp.31-40
    • /
    • 1999
  • This study examines changes of internal structure and the ratios of room sizes of flat-type apartment housing and residents' demand of housing alteration. The main results are follows: First, the auxiliary space, such as multi-purpose room, storage & receiving space, becomes an important component of flat-type apartment housing. Second, apartment housings should be supplied to residents focusing on functions of space rather than the number of rooms. Third, the ratios of living room and storage space sizes have been increased as living space increases. Since the current apartment housings do not meet residents' needs, we suggest that residents' age, number of family, and economic status must be considered when apartment space are planned.

  • PDF

절합된 (비-)경제적 관행의 공간과 사회적 재생산: 북한 시장화에 대한 경제지리학적 접근 (Spaces of Articulated (Non-)Economic Practices and Social Reproduction: Economic Geographical Perspective to the Marketization in North Korea)

  • 김부헌;이승철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81-404
    • /
    • 2019
  • 본 논문은 북한 이탈주민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와 심층 면담 결과를 활용하여 북한 내 여러 경제주체들이 경제위기에 어떻게 대응해왔고 이를 통해 나타나는 다양한 경제관행들이 공간성과 어떻게 얽혀 있는지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논문은 북한의 시장화를 경제지리학에서 최근 논의되고 있는 '길들이기' 관점에서 바라볼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북한의 시장화를 이해할 때 우리는 시장화를 헤게모니 권력을 갖는 거대 프로젝트로서 '저편에 놓여 있는' 무엇이 아니라 공간 내 다양한 경제주체들이 일상생활의 관행을 통해 끊임없이 (재)구성하고 있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경제적 위기와 파열, 경제적 주변화에 대한 경제주체의 대응전략은 경제와 비경제가 절합되어 있는 관점에서 파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논문은 일상생활의 다양한 대응전략이 경제적, 비경제적 요인들에 의해 중층결정되어 있으며 관행의 효과성은 권력관계에 따라 차별적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강조한다.

한국경제지리학 반세기:연구성과와 과제 (Fifty years of economic geography in Korea:research trends and issues)

  • 박삼옥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60-197
    • /
    • 1996
  • 한국 경제지리학은 지난 반세기동안 연구의 범위나 양적인 면에서 상당한 변화를 겪어왔다. 본 연구에서는 편의상 한국경제지리학을 농업지리학, 공업지리학, 상업,서비스,유통지리학,교통지리학으로 나누어 각각 연구성과와 과제를 검토하였다. 농업지리학은 1970년대 중반이전에 한국경제지리학의 발전을 주도하였으나 1970년대 중반이후 연구활동이 타분야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활발하지 못하였다. 연구주제도 1970년대 중반 전후간에 큰차이가 없으나 다만 최근들엇 농업공간의 변화나 겸업 지역분화 등 농업활동과 농업지역의 동태성을 더욱 강조하고 있다. 공업지리학은 1980년대 이후 연구가 가장 활발히 전개된 분야인데 최근에는 전통적으로 연구되어온 입지변화나 공업지역구조뿐만 아니라 기업조직의 변화 생산체계와 산업공간의 변화 첨단기술산업발전과 과학단지개발 산업구조조정과 지역경제, 해외직접투자, 산업지구와 산업공간연계 등 다양한 주제의 연구가 이루어졌다. 상업,서비스,유통지리학에서는 1980년대까지 정기시장, 상가구조, 상품별 유통에 관한 연구가 주로 이루어졌으나 1990년대에 들어서는 생산자서비스를 중심으로한 서비스산업과 고나련된 연구들이 많이 이루어졌다. 교통지리학에서는 그동안 지속적으로 통근, 화물운송체계, 교통망 등에 대한 연구가 중심을 이루고 있는데, 이중에서 통근에 대한 연구가 가장 활발히 이루어졌고 최근에는 통근연구의 주제도 다양해졌다. 본 연구에서 각 분야별로 앞으로의 연구과제를 지적하였는데 경제지리전반에서 볼때 지역경제 또는 국가경제의 경쟁적 우위의 변화와 경제구조재편 및 그에 따른 지역구조변화, 경제지리학에서의 환경문제, 첨단기술의 발달과 정보화에 따른 산업공간조직의 변화. 문화와 경제발전. 해외지역연구 등이 앞으로 중점적으로 다루어져야할 주요 연구과제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