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cological welfare

검색결과 132건 처리시간 0.02초

가정 복지의 생태학적 접근 (An Ecologcial Approach to the Study of Family Welfare: A Review of Literature)

  • 윤종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9권8호
    • /
    • pp.93-106
    • /
    • 2001
  • The primary purpose of the study was to review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literature and intervention programs designed from an ecological perspective in dealing with issues on family welfare. This study cites several research evidence that indicates why an ecological model is a relevant alternative to investigate issues in family welfare. The strengths of the ecological approach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made based on the review of literature.

  • PDF

생태학적 가정복지 모형의 적용으로 스트레스 대처전략과 심리적 복지 분석 (An Application of Ecological Family Welfare Model on Stress Coping Strateg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 전효정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07-117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university freshmen' stress coping strateg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o appling ecological family life welfare model. Based on Bronfenbrenner's ecological perspective, “ecological family welfare model”, which includes person(individual attributes), context(family backgrounds), process(mechanism of development), and time (the specific period), was suggested as a new research paradigm for family welfare life research. The questionnaire study was done for 171 freshmen of an university in Pusan. The results show the suggested research model was significant and effective to explain the mechanism of stress coping strateg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dividual attributes(i. e., attachment style) and family context have an impact on family cohesion and adaptability which in turn affect stress coping strategies which then affect individual psychological wellbeing.

  • PDF

생태적 복지 커먼즈의 이상과 현실: 한살림서울의 돌봄사업을 중심으로 (Ecological Welfare Commons between Ideal and Reality: Focusing on the Community Care of Hansalim Seoul)

  • 홍덕화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
    • 제22권1호
    • /
    • pp.243-276
    • /
    • 2018
  • 본 논문은 한살림서울의 돌봄사업을 사례로 생태적 복지 커먼즈의 가능성과 현실적 제약을 분석한다. 사회생태적 위기에 대항하는 커먼즈로서 한살림서울의 지역살림운동은 생태적 전환과 돌봄 사회화의 결합을 시도한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지역살림운동의 일환으로서 지역돌봄은 기능적 돌봄을 넘어선 포괄적 돌봄을 추구하고 돌봄 노동 조건의 개선을 시도하는 등 좋은 돌봄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또한 한살림서울의 지역돌봄은 돌봄에 대한 포괄적 정의를 바탕으로 돌봄과 생태적 전환의 결합을 실험하고 있다. 하지만 지역돌봄의 규모는 제한적이고, 돌봄 노동의 저평가·여성화를 근본적으로 해소하기에는 역부족이다. 다만 개방적인 지역돌봄을 추구하기 때문에 복지 커먼즈와 보편적 복지 사이의 긴장은 표출되지 않고 있다. 지역살림운동에서 복지 커먼즈는 국가와 대립하는 것이 아니라 상호보완적인 관계 속에서 생태적 전환과 돌봄 사회화의 결합을 실험하고 대안을 확산시키는 데 초점이 맞춰져있다. 이와 같은 커먼즈 실험이 확산되고 공적 지원이 강화된다면 생태적 복지 커먼즈는 생태적 전환과 돌봄 사회화를 결합시킨 대안적인 위기 대응 방안으로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금강유역의 하천 종합건전성 평가 - 생태적 건전성 및 물 복지를 중심으로 - (Assessment of the Freshwater Comprehensive Soundness in the Geum River Basin - Focusing on Ecological Soundness and Water Welfare -)

  • 김홍명;하성룡
    • 환경영향평가
    • /
    • 제31권3호
    • /
    • pp.184-199
    • /
    • 2022
  • 하천 건전성은 하천 생태계의 건강성과 인간의 물 이용에 대한 사회적 서비스 즉, 물 복지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의 생태적 건전성 및 물 복지 지수를 산정하고 4분면 모형을 이용하여 금강수계 14개 중권역에 대한 하천 종합건전성을 분석하였다. 하천의 생태적 건전성은 댐상류(대청댐 기준) 지역이 상대적으로 '좋음'으로 나타났으며 댐하류 지역은 '나쁨' 상태로 평가되었다. 반면, 물 복지는 인구규모가 큰 댐하류 지역이 상대적으로 '좋음' 상태였으며 댐상류 지역은 상대적으로 물 복지 수준이 '나쁨'으로 나타났다. 하천 종합건전성은 무주남대천, 보청천, 대청댐 유역이 생태적 건전성 및 물 복지 수준이 모두 양호했으며 금강공주, 논산천, 금강하구언 유역은 모두 불량한 것으로 나타났다. 갑천 유역은 지속적인 투자와 체계적인 관리로 2014년에는 두 지수 모두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벤치마킹을 통한 타 유역으로의 활용방안을 모색해야 할 필요가 있다.

유아의 자연친화 교육프로그램이 자연친화적 지식 및 긍정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Nature Friendly Education Program on Preschooler's Ecological Knowledge and Positive Attitudes toward Nature)

  • 김영희;이장희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31-341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nature friendly education program that would support ecological literacy of preschool children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program on their ecological knowledge and positive attitudes toward nature.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59 children from two child-care centers located at Gyeonggi Province. 30 preschoolers from one center were allocat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while 29 preschoolers from the other center were regarded as the control group. The program was composed of 24 sessions, performed three times a week for 20-30 minutes from May to June 2009. The instrument included the knowledge and attitudes toward the environmental scale for preschool children.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was found to attain higher level of ecological knowledge and more positive attitudes about nature as a result of the program. Second, after the program was administrated,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er level of the knowledge and more positive attitudes about nature than the control group. These results suggest a program which conducts within a integrated teaching frame of meeting and getting familiar with nature and taking care of animals and plants, can become an effective early childhood education tool which fosters positive attitudes and knowledge concerning the environment.

  • PDF

지역아동센터의 지역사회연계에 관한 탐색적 연구 (The Exploratory Study on Community Link of Community Childcare Center)

  • 김남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2호
    • /
    • pp.803-810
    • /
    • 2013
  • 지역아동센터는 아동의 지역사회 내 건강하고 안전한 보호와 적응으로의 종합적 복지서비스를 담당하는 사회복지서비스기관으로, 한정된 자원을 가지고 서비스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지역사회연계가 필수불가결하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지역사회연계는 매우 협의적이며 제한적인 의미로만 사용되었으므로 지역사회 내에서 성장하고 지역사회를 배움의 터로 활용해야하는 아동에게는 그 어느 영역보다 넓은 의미에서의 지역사회연계에 대한 새로운 해석이 요구되어진다. 이에 본 연구는 생태체계론적 관점에서 보다 "확장된 개념"의 지역사회연계에 대한 탐색적인 고찰을 통해 아동, 그 중 더욱 사회적 관심과 지원이 촉구되는 빈곤 등의 취약상황에 놓인 아동들의 지역사회 적응과 자기성장을 돕는 기초적 자료로 활용코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한국노년학의 사회복지분야 연구동향 분석: 2008년부터 2017년까지 (Analyze on Research Trends of Social Welfare in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From 2008 to 2017)

  • 허준수;김찬우;이민홍
    • 한국노년학
    • /
    • 제38권3호
    • /
    • pp.725-744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지난 10년 동안에 한국노년학에 게재된 연구 논문들 중에서 복지 분야의 논문들을 선정하여 그동안의 연구동향을 파악하여 향후 연구 및 방향 정립에 기여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한국노년학에 2008년부터 2017년 동안 게재된 총655편의 논문들을 대상으로 사회복지전공 교수 3인의 지속적인 교차 확인을 통하여 노인복지분야에 해당되는 총 273편의 논문들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선정된 논문들을 생태 체계적 관점, 연구주제 및 연구방법론 등으로 분류하여 각 영역별 연구실태 및 연구동향 등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생태체계적 관점(Ecological Perspective)은 3개의 범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1) 거시적 체계(52편); 2) 중범위적 체계(120편); 3) 미시적 체계(101편). 분석결과 복지 분야의 중범위적 체계, 미시적 체계 및 거시적 체계 등의 순서로 연구가 되었다. 그러나 거시적 체계에 관련된 논문들은 19%에 지나지 않았다. 둘째, 연구주제는 5개의 범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1) 노인문제(151편): 2) 노인복지제도 및 정책( 38편); 3) 노인복지서비스(28편); 4) 노인이용시설 및 생활시설(39편); 5) 노인들의 사회참여활동(31편). 셋째, 연구방법론은 5개의 범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1) 양적연구 (213편); 2)질적 연구(39 편); 3)문헌연구 (14편); 4) 메타연구(4편); 5) 혼합연구(3편). 그리고 양적연구 논문들 중에서 종단자료보다는 횡단자료가 더 많이 조사되었다. 인구의 고령화에 따라서 점증되는 노인관련 복지문제들을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시급한 노인관련 문제들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을 통한 제도마련이 필요하며, 이를 위하여 거시적, 중범위적 및 미시적 측면에서의 균형 있는 연구들이 필요하다. 그리고 다양한 노인복지 문제 및 이슈들 중에서 고령사회에서 가장 심각한 연구주제 들을 보다 과학적인 절차에 의거하여 분석하고, 특히 근거기반(Evidence-based) 노인복지실천과 노인복지 정책을 수립하기 위하여 특정연구방법에 의존하기 보다는 연구주제에 적합한 연구방법론을 활용하는 향후연구들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프로젝트 접근법에 기반한 유아 생태전환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지속가능발전인식, 생태소양,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a Project-Based Ecological Transition Education Program on Young Children's Awareness of Sustainable Development, Ecological Literacy, and Problem-Solving Abilities)

  • 박고운;김지현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25-147
    • /
    • 2024
  • Objective: This study aims to implement an ecological transition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based on a project approach, to investigate its effectiveness in enhancing sustainable development awareness, ecological literacy, and problem-solving skills. Methods: In this study, 56 five-year-old children from a preschool in S City were assigned to either a quasi-experimental group or a control group, with 28 children in each group. The project-based ecological transition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was conducted from July 14 to September 15, 2023. The experimental group explored the themes of 'marine life' and 'pets and animal welfare,' while the control group focused on different topics. The research employed independent sample t-tests and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for data analysis. Results: The project-based ecological transition education program effectively enhanced young children's awareness of sustainable development, ecological literacy, and problem-solving skills.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developing an integrated, project-based ecological transition education program within a play-centered curriculum. It demonstrates how sustainable values can be effectively incorporated into play. Furthermore, the findings can serve as foundational data for implementing educational and childcare programs that nurture young children to become ecological citizens, leading sustainable futures.

산지 지형 및 생태적 입지를 고려한 산지이용기준 개발에 관한 연구 (Study on Conversion Permission Standard considering the Topography and Ecological Location of the Mountain Areas)

  • 최정선;곽두안;권순덕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59-71
    • /
    • 2019
  • 현행 「산지관리법」 에서는 산지전용허가를 위한 지형기준으로서 전용필지 내의 표고(5부 능선 미만)와 평균경사도(25°이하) 기준을 적용하여 산지의 무분별한 전용을 규제하고 있다. 그러나 표고 개념이 모호하여 5부 능선을 구획할 때 지역적 불평등을 초래할 수 있으며, 평균경사도는 지형의 급격한 사면형태를 고려할 수 없어 산사태 등과 같은 재해위험성을 판단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또한 표고와 경사도 이외에 필지의 환경적·생태적 중요도를 고려할 수 있는 추가적인 전용기준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경사 및 표고 기준 이외에 단순한 전용기준을 보완하기 위해 지형분류기법(Catena)을 이용한 사면유형을 전용 기준으로 추가하였으며, 1:5,000 축척의 임상도 및 산림입지토양도를 이용한 생태적 입지(영급, 경급, 토심) 기준을 제안하였다. 지형기준 개선을 위해 산지이용유형별 위험사면 포함비율을 제시함으로써 산지재해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생태적 입지를 평가하기 위해 산지전용 대상지의 영급, 경급, 토심에 대한 기준점수를 해당필지가 속한 산지유역유형별로 제시하여 산림생태계를 보전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그리하여 최종적으로 산지의 지형 및 생태적 요소를 고려한 산지전용기준 개선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재해위험성 감소와 산지생태계 훼손 최소화를 유도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도록 하였다.

환경친화적 개념을 적용한 지역 폐교 활용사례 조사연구 (A Study on the Regional Closed School Cases applied Ecological Concept)

  • 정진주
    • 교육시설
    • /
    • 제13권3호
    • /
    • pp.37-47
    • /
    • 2006
  • The conservation or practical use of a lot of closed schools which occurred from 1982 all over the country by governmental policy has been becoming important concerns to local resident and community with economical and administrative interest. A lot of examples, sold or rented to public institutions or a person, which have been using by welfare facilities for inhabitants, facilities for education, youth, company, culture and art, and other use, could be found. It could be said that the process of user's participation of these examples is very high, that is, a lot of examples of our surrounding is applied with ecological concept have participated by most users and local residents directly to architectural repair and renewal process, and practical use. In this background, I choose total five examples more than one by Chungbuk, Chungnam, Jeonbuk, Jeonnam district to investigate examples of closed schools applied ecological architectural concept and I researched reconfiguration of site, change of exterior or interior material, application of ecological system, and role as local commun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