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인숙, 문혁준 (2014). 누리과정과 연계한 유아녹색성장 교육활동이 유아의 환경보전지식, 자연환경 감수성 및 환경보전태도에 미치는 효과. 보육지원학회지, 10(5), 113-158. https://doi.org/10.14698/jkcce.2014.10.5.133
- 교육부 (2020). 유치원 교육과정. https://www.law.go.kr/행정규칙/유치원교육과정/(2019-189,20190724)에서 2023년 8월 23일 인출
- 교육부 (2021). 교육기본법. https://www.law.go.kr/법령/교육기본법에서 2023년 8월 23일 인출
- 김다원, 김세미, 문은주, 윤정, 최규식, 한효의 (2022). 지속가능발전교육, 어떻게 할까? 서울: 푸른길.
- 김미숙 (2005).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을 통한 유아의 수학적 사고과정의 변화.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김세루 (2023). 놀이중심 환경교육활동이 유아의 생태소양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 한국아동교육학회, 32(2), 5-19.
- 안종복 (2022). 생태전환교육 목표 체계 구축 및 성과관리 방안 연구. 서울: 서울교육정책연구소. https://sjeec.or.kr/bdread/policy/248?에서 2024년 9월 3일 인출
- 김은혜 (2019). 유아 지속가능발전인식 검사도구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김은혜, 김경철 (2020). 유아 지속가능발전인식 검사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유아교육연구, 40(2), 65-95. https://doi.org/10.18023/KJECE.2020.40.2.003
- 문은자 (2000). 소집단 과학 활동이 전개유형이 유아의 창의성과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박인영 (2017). PBL(Problem Based Learning) 접근에 기초한 과학 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문제해결력과 대인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부은순 (2021). 유아를 위한 제주형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제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서울시 교육청 (2020). 생태전환교육 중장기 발전계획. 서울: 서울특별시 교육청. https://buseo.sen.go.kr/buseo/bu12/user/bbs/BD_selectBbs.do?q_bbsSn=1266&q_bbsDocNo=20200619085853000에서 2023년 8월 23일 인출
- 서울시 교육청 (2021). 생태전환교육 목표 체계 구축 및 성과관리 방안 연구 (위탁연구 보고서). 서울: 서울특별시교육청. https://sjeec.or.kr/board/2023/06/16/1686903044_f496bb0165e73bf7a69c.pdf 에서2023년 8월 23일 인출
- 신미숙 (2015). 유아를 위한 지역사회자원 활용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효과.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안경숙 (1992). 전통적 과학교수방법과 지적갈등 유도에 의한 과학교수방법의 효과연구. 덕성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오채선, 김경철, 한유진, 김은혜, 김지성, 김영연, 은연아 (202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실천적 유아 생태전환교육 프로그램. 유아교육 진흥원.
- 유광재, 김지현 (2023). 유아 대상 프로젝트 접근법 기반 공학적 STEAM 프로그램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 수학적 문제해결력,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9(4), 29-52. https://doi.org/10.14698/jkcce.2023.19.04.029
- 이문강 (2002). 교수학습유형에 따른 과학활동이 유아의 문제해결력과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 이미진, 김지은 (2014). 녹색성장교육에 기초한 프로그램이 유아의 환경보전지식, 태도 및 행동에미치는 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0(2). https://doi.org/10.14698/jkcce.2014.10.2.153
- 이정미 (2014). <자원재활용>프로젝트 활동을 통한 유아의 환경보전 인식 및 실천적 태도 형성. 대구교육대학교석사학위논문.
- 임진경 (2017). 유아 생태소양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가천대학교 국내박사학위논문.
- 장경혜 (1994). 탐구학습중심 과학교수 방법이 유아의 창의성과 문제해결력에미치는 효과.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정기섭 (2010). 지속가능발전교육(ESD)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조사. 발도르프교육연구, 2(1), 65-96.
- 정미애, 손영수 (2009). 프로젝트 접근법 교육활동을 통한 유아 문제해결력 발달에 관한 해석학적 연구. 아동교육, 18(4), 185-200.
- 정애경, 서윤희, 지옥정, 조부경 (2015).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지속가능발전지향유아환경교육 관련 활동 분석. 유아교육연구, 35(4), 59-79.
- 정해현 (2015). 만 5세 유아의 환경에 대한 태도 향상을 위한 '우리 동네 공원' 프로젝트.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조부경, 지옥정, 김경철, 정아림 (2016). 유아환경교육관과 연계한 유치원의 멸종위기동물 환경교육프로그램이 유아의 환경감수성 및 생명존중인식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36(2), 345-367. https://doi.org/10.18023/KJECE.2016.36.2.015
- 조소현 (2013). 자연체험활동이 유아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조형숙, 지성애, 남기원, 고선아, 최재원 (2015). 서울형 유아교육과정 지원을 위한 유아자연친화교육 프로그램. 서울: 유아교육진흥원.
- 지옥정 (2011). '지속가능성을 위한 유아교육' 사례로서의 '무심천 프로젝트'에 나타난 유아들의지역사회 참여 내용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6(6), 363-382.
- 최가영 (2023). 생태전환교육 프로그램 내용 분석.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최은영, 도남희, 김은정, 장혜진, 김민주, 이솔미 (2020). 영유아기 지속가능발전교육 실천 방안 연구. 육아정책연구소.
- 채순희 (2002). 프로젝트 접근법이 유아의 과학적 문제 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환경부 (2019). 국가 지속가능발전목표 수립 보고서 2019. 서울: 환경부. https://kostat-sdg-kor.github.io/sdg-indicators/public/report/1572586046142_K-SDGs_report.pdf에서 2023년 8월 23일 인출
- 홍서영 (2020). 텃밭 가꾸기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생태 소양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3), 595-618.
- Brundtland, G. H. (1987). Our common future-call for action. Environmental Conservation, 14(4), 291-294. https://doi.org/10.1017/S0376892900016805
- Capra, F. (1995). The web of life. Harper Collins. USA, NY: Anchor Books.
- Davis, J. (2010). What is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sustainability and why does it matter? In J. M. Davis (Ed.), Young children and the environment: Early education for sustainability (pp. 21-42). Cambridge University Press. https://doi.org/10.1017/cbo9781107280236.004
- Davis, J., & Elliott, S. (2003). Early childhood environmental education: Making it mainstream. Early Childhood Australia Inc.
- Katz, L. G., & Chard, S. C. (1993). The Project Approach. In J. L. Roopnarine & J. E. Johnson (Eds.), Approaches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2nd ed. (pp. 209-222). NY: Merrill.
- Lang, J. (2007). How to succeed with education for sustainability. Curricutum Cooperation.
- Orr, W.D. (1992). Ecological literacy: Education and the transition to a postmodern world, SUNY Press.
- Saraj-Blatchford, J., Smith, K. C., & Samuelson I. P. (2012). 「유아를 위한 지속가능발전교육」, (박은혜 신은수 역).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원서 2010년 출판).
- Taylor, N., Littledyke, M., & Eames, C. (2009). Why do we need to teach edcaution for sustainability at the primary school level? In M. Littledyke, N. Taylor, & C. Eames. (Eds.), Education for sustainability in the primary curriculum: A guide for teachers. (pp. 1-7). South Yarra, Australia: Palgrave Macmillan.
- Tegano, D.W., Sawyers, J.K., & Moran, J.D. (1989). Problem-finding and solving in play. Childhood Education, 66(2), 92-97.
- Tillbury, D. (1994). The international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education: a basis for a teacher education model? Environmental Education and Information, 13(1): 1-20.
- Trepanier-Street. M (1993). What's so new adout the projrct approach? Childhood Education, 70(2), 25-28. https://doi.org/10.1080/00094056.1993.10520977
- UNESCO. (2008). The contribu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o a sustainable society. https://unesdoc.unesco.org/ark:/48223/pf0000159355에서 2023년 9월 3일 인출
- World Commission on Environment and Development. (1987). Our common future.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https://sustainabledevelopment.un.org/content/documents/5987our-commonfuture.pdf에서 2023년 9월 3일 인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