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cological condition

검색결과 804건 처리시간 0.027초

생태교육을 고려한 영유아보육시설의 외부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utdoor Space of Child Care Facility for Ecological Education)

  • 이지수;남해경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22권1호
    • /
    • pp.21-30
    • /
    • 2020
  • It is a trend to pursue the reinforcement of child-centered, play-oriented ecological education programs that support children's development. Most of these nature friendly and eco education is done in the outdoor space. So outdoor activities in child care facilities are essentia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actual condition of the outdoor space for ecological child education in the child care center. Therefore, in order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the direction of the improvement and to grasp the current situation and problems, the survey and analysis of the external space composition and utilization status in the child care facilities for nature-friendly ecological child care education has been done. As a result, the half of the cases did not reserve even the minimum size of outdoor space and fall short of the standards of outdoor space quality as accessibility, complexity, articulation and nature friendliness for ecological education. Therefore, in order to establish an ecological education environment, it is necessary to build facilities in natural green or suburban areas. In addition, they need to use the natural environment such as parks, open spaces, and forests.

선사유적의 정비·복원(1) - 구석기유적의 생태공원화 방안을 중심으로 - (Restoration of the Prehistoric Site(1) - Focused upon Restituting Paleolithic Site into an Ecological Park -)

  • 문석기;장호수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67-80
    • /
    • 2011
  • This study is focused upon developing repairing and restoration methodologies of the Paleolithic sites. The Paleolithic era is not only the remote past, which ended ten thounds years ago, but the period of much different ecological condition compared with that of these days. There have been two kinds of conservation method adopted to restoration of Paleolithic sites which are historic park and ecological park. But there left not much historic remains than ecological sources in most Paleolithic sites, restoring them into ecological park is thought to be more reasonable for the purpose of conserving sites and remains. The first step of restoring Paleolithic sites is reconstructing environmental background in which they earned a living with their own life style at that time. There are three ways of ecological restoration for prehistoric sites, which are the reclamation, the rehabilitation, and the restoration. The reclamation requires physical modification, and the rehabilitation does biological modification, but only the restoration requires improved management. Among them, the most desirable way applicable upon the Paleolithic sites restitution is the reclamation.

부착규조를 이용한 남천의 하천 생태 건강도 평가 (Assessment of Ecological Health of the Namcheon Stream using Epilithic Diatoms)

  • 정애숙;장성현;이정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970-979
    • /
    • 2012
  • 본 연구는 생물학적 보전지수(IBI, Index of Biotic Integrity) 평가와 이화학적 수질 분석, 물리적 서식지 평가(QHEI, Qualitative habitate evaluation index)를 이용하여 하천 건강성을 평가하고자 남천의 10개 지점을 대상으로 2006년 8월과 2006년 11월, 2007년 2월, 2007년 4월까지 총 4회에 걸쳐 부착규조 조사를 실시하였다. IBI, QHEI값을 산정하기 위하여 USEPA(1999) 가 제시한 항목 중 우리나라의 환경적 특성에 맞게 수정 보안하여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남천의 하천 생태 건강도 평가 결과, IBI 등급은 '보통', QHEI등급은 '열악', BOD값에 의거한 이화학적 수질등급은 II등급 기준인 '약간좋음'으로 나타나 총체적인 하천생태계 건강도는 '보통'상태로 나타났다. 이는 수 환경에 대한 교란은 적고 생물들이 서식하기에 비교적 양호한 수질임을 시사한다. 정점별로는 St. 6과 St. 7, St. 8, St. 9는 물리적 서식지 지수가 가장 '열악'한 상태로 대부분이 하천의 흐름을 방해하는 교각이나 인공보가 곳곳에 설치되어 있으며, 하상구조가 대부분 단순화되어 있어 수생태계 심각한 교란이 예상되는 정점이다. 또한 St. 10은 전체적으로 서식 환경은 좋으나 생활하수 유입과 함께 하수종말처리장으로부터 배출되는 영양염으로 인한 수생태계의 교란을 초래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추후 영양염 유입에 대한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산지 지형 및 생태적 입지를 고려한 산지이용기준 개발에 관한 연구 (Study on Conversion Permission Standard considering the Topography and Ecological Location of the Mountain Areas)

  • 최정선;곽두안;권순덕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59-71
    • /
    • 2019
  • 현행 「산지관리법」 에서는 산지전용허가를 위한 지형기준으로서 전용필지 내의 표고(5부 능선 미만)와 평균경사도(25°이하) 기준을 적용하여 산지의 무분별한 전용을 규제하고 있다. 그러나 표고 개념이 모호하여 5부 능선을 구획할 때 지역적 불평등을 초래할 수 있으며, 평균경사도는 지형의 급격한 사면형태를 고려할 수 없어 산사태 등과 같은 재해위험성을 판단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또한 표고와 경사도 이외에 필지의 환경적·생태적 중요도를 고려할 수 있는 추가적인 전용기준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경사 및 표고 기준 이외에 단순한 전용기준을 보완하기 위해 지형분류기법(Catena)을 이용한 사면유형을 전용 기준으로 추가하였으며, 1:5,000 축척의 임상도 및 산림입지토양도를 이용한 생태적 입지(영급, 경급, 토심) 기준을 제안하였다. 지형기준 개선을 위해 산지이용유형별 위험사면 포함비율을 제시함으로써 산지재해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생태적 입지를 평가하기 위해 산지전용 대상지의 영급, 경급, 토심에 대한 기준점수를 해당필지가 속한 산지유역유형별로 제시하여 산림생태계를 보전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그리하여 최종적으로 산지의 지형 및 생태적 요소를 고려한 산지전용기준 개선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재해위험성 감소와 산지생태계 훼손 최소화를 유도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도록 하였다.

꿀벌에 대한 dsRNA의 급성섭식독성 평가 (Acute Oral Toxicity of dsRNA to Honey Bee, Apis mellifera)

  • 임혜송;정영준;김일룡;김진;유성민;김반니;이중로;최원균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241-248
    • /
    • 2017
  • 본 연구는 최근 RNAi 기반 LMO의 연구 개발이 활발히 진행됨에 따라 향후 이러한 기술을 이용한 LMO의 유해성 및 자연생태계 위해성평가가 필요할 때 실험실 수준에서 dsRNA를 대량으로 발현시키는 시스템을 확립하고, 수분(화분)매개 곤충인 꿀벌을 대상으로 유해성평가 시험을 수행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L4440 vector에 Snf7과 GFP 유전자를 클로닝한 plasmid를 HT115 (DE3) 대장균에 형질 전환한 후 온도, 배양시간, IPTG 농도를 각기 다르게 하여 최적의 발현조건을 탐색한 결과 $37^{\circ}C$, 0.4 mM IPTG, 4시간의 배양시간에서 가장 많은 양의 dsRNA가 발현됨을 확인하였다. 국내 외 제시된 꿀벌 위해성평가 가이드라인을 바탕으로 대장균에서 분리한 dsRNA를 꿀벌 성충에 급성섭식으로 처리한 결과 생사율과 일반중독증상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보아 대장균으로부터 분리한 Snf7 dsRNA와 GFP dsRNA는 꿀벌 성충에 유해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dsRNA 물질의 유해성평가 및 자연생태계 위해성 평가를 위한 대량 추출 방법과 위해성평가 대상종의 사육 및 물질 처리 방법을 확립하여 향후 이뤄질 dsRNA의 꿀벌 위해성평가에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세 가지 환경구배에 따른 신갈나무의 생태적 지위폭과 상수리나무, 굴참나무와의 생태적 중복역 (Ecological Niche Breadth of Q. mongolica and Overlap with Q. acutissima and Q. variabilis along with Three Environment Gradients)

  • 이호종;유영한
    • 환경생물
    • /
    • 제27권2호
    • /
    • pp.191-197
    • /
    • 2009
  • 신갈나무의 생태적 특성을 밝히기 위하여 유식물의 주요 환경요인 중 광, 수분과 영양소를 각각 4구배로 처리하고, 2007년 3월~10월까지 양묘하여 17가지의 형태 및 생태형질을 측정하여 생태적 지위폭을 계산하였다. 그리고 이 지위폭과 상수리나무와 굴참나무와의 생태적 중복역을 비교분석하여 3종의 분포적 특성과 경쟁관계를 생태적으로 해석하고자 하였다. 신갈나무의 생태적 지위폭은 환경요인 중 영양소구배에서 가장 낮았고, 수분구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광구배에서는 그 중간이었다. 신갈나무는 광환경에 대해서만 상수리나무나 굴참나무보다 생태적 지위폭이 큼으로써 이는 3종의 참나무가 경쟁시 광환경에서는 신갈나무가 우월하며, 또한 한반도에서 신갈나무가 우점하는 원인 중의 하나가 광환경에 대한 높은 적응력일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신갈나무-상수리나무와 신갈나무-굴참나무의 생태적 중복역은 수분구배에서 가장 넓었고, 영양소구배에서 가장 좁게 나타났다. 광구배에서는 그 중간이었다. 이는 참나무 3종이 영양소환경이나 광환경에 대해서는 서로 간 생태적 분화가 수분 환경보다 상대적으로 많이 일어났음을 뜻한다. 유집분석과 주성분분석을 이용한 참나무 3종의 환경구배에 대한 반응에서는 신갈나무-상수리나무 간의 공간적 위치는 신갈나무-굴참나무 간의 위치보다 서로 가깝게 배열되어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신갈나무와 상수리나무는 생태적 지위가 유사하여 환경요인, 특히 수분환경에 대한 경쟁이 신갈나무와 굴참나무에 비해 더 심하게 일어남을 의미한다.

생태통로 식재수종의 현황 및 문제점 고찰 (The Existing Conditions and Problems of Ecological Corridor in Korea - Focusing on Planting Species -)

  • 김명수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7-26
    • /
    • 2005
  • Ecological corridor is the facility to connect two habitats fragmented by roads, dam, housing and industrial area. Critics of faunal corridors have suggested that they are simply an untested application of unproved island biogeography theory. But, everyone agree that ecological corridor is important useful structural components that help animal movement in fragmented landscapes. There are 52 ecological corridors in Korea. We investigated 43 ecological corridors of these and recorded the size of corridor, planting species, management and growth condition. We compared planting species to nearby exiting vegetation species and structure. We found that there are no considerations for many aspects of planting, for example, planting species, structure, animal migration and behavior, surrounding vegetation etc. Expecially, It was ignored management of plants, difference of surrounding vegetation, lacks of diverse planting species and structure. We suggest planting the native species of tall tree, shrub and ground cover, edge planting for transitional space between road and natural habitat, planting for foraging and breeding of target animal, diverse layer vegetation, and open space of center for rapid animal dispersal.

도시림의 생태적 관리계획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cological Management Planning of Urban Forest)

  • 이경재;류창희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1-11
    • /
    • 199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lant community structure and to propose ecological management planning for the urban forest on Sungdongku, Joongku and Yongsanku in Seoul. Field survey was excuted October 1991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Robinia pseudoacasia community covered 61.1% and Populus x albaglandulosa covered 3.8% of survey site II and survey site was covered by the deciduous-broad leaf mixtured forest. According to the human impact and inappropriate management impact, survey area was divided into five forest community. As for the analysis of plant community structure which was classified into five forest community, the importance values, ecological diversity, number of species, number of individuals, basal area and crown coverage of the native plant community showed relatively higher than community that vegetation deterioration degree by the human impact showed seriously. In landscape forest of Mt. Daehyun, it showed problems for the planting method and the soil condition. So it was proposed to management guide, vegetation restoration and soil management through ecological management planning based on above results.

  • PDF

우리나라 농촌지역 휴경지.유휴지 현황 및 활용방안 (The Abandoned Farmlands Status and Management in Rural Area)

  • 이상영;강현경;이승주
    • 농촌계획
    • /
    • 제15권1호
    • /
    • pp.15-29
    • /
    • 2009
  • Owing to the industrialization, the urbanization and cultivation abandonment actual condition, the most abandoned farmlands increased. Those results have occurred inefficient land use and destruction of agricultural ecosystem with the secondary succession. The research for the abandoned farmlands of Korea is fundamental phase. Also, the researches to restore abandoned farmlands are something yet to develop and not established the restoration for ecological value of abandoned farmlands. The objective of research revealed the ecological functions of abandoned farmlands and it presented an application plan. The research method divided in the literature and case study. Using abandoned farmlands, Japan government tries to create the ecological parks for the conservation of a vulnerable plant species, dragonfly biotope, environmental education and research, etc. Accordingly, the goal for the abandoned farmlands coulds be set suitably to Korean situation as of Japanese styles which are characterized by man-made biotopes.

생태평가모형(Integrative Star-Plot Area)을 이용한 삽교천 수계 진단 (Diagnosis of Sapkyo Stream Watershed Using the Approach of Integrative Star-Plot Area)

  • 김자현;염동혁;안광국
    • 생태와환경
    • /
    • 제43권3호
    • /
    • pp.356-368
    • /
    • 2010
  • 본 연구는 삽교천 수계의 삽교천, 무한천, 곡교천의 이화학적 수질, 물리적 서식지 건강성, 생물학적 건강성을 평가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종합적인 수생태계 건강성을 평가하였다. 3가지 건강성 평가 항목은 3개 하천에서 모두 악화된 상태이거나 보통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곡교천에서 가장 악화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류에서 하류로 갈수록 건강성이 더 악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6개 항목의 화학적 수질 중 Chl-$\alpha$를 제외한 5개 수질 항목은 하류로 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곡교천에서 가장 높은 값을보였다. 물리적 서식지 건강성은 Good에서 Fair 범위를 보였고, 곡교천의 서식지 건강성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생물학적 건강성은 이화학적 수질과 물리적 서식지 건강도를 잘 반영하였으며, 3개 하천의 생물학적 건강도는 상류지점에서 Fair 상태로 나타났고, 하류 지점에서 Poor 상태를 보였다. 이러한 생물학적 건강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PCA를 통하여 분석한 결과 상류 지점에서는 물리적 서식지 건강성이 좀더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하류지점에서는 화학적수질의 영향이 좀 더 큰 젓으로 판단되었다. 화학적 수질, 물리적 서식지 건강성, 생물학적 건강성 평가 항목을 바탕으로 종합적인 수생태계 건강성을 평가한 결과 무한천의 M1 지점이 통합적인 건강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곡교천의 G2와 G3 지점이 가장 건강성이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수생태계의 건강성을 통합적으로 나타내어 취약한 부분을 쉽게 확인할 수 있는 방법으로써 향후 수생태계 복원 및 장기 모니터링에 중요한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