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ological Niche Breadth of Q. mongolica and Overlap with Q. acutissima and Q. variabilis along with Three Environment Gradients

세 가지 환경구배에 따른 신갈나무의 생태적 지위폭과 상수리나무, 굴참나무와의 생태적 중복역

  • Lee, Ho-Jong (Department of Biology,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You, Young-Han (Department of Biology, Kongju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09.04.11
  • Accepted : 2009.04.22
  • Published : 2009.05.31

Abstract

In order to characterize the ecological traits of Q. mongolica, we treated the seedlings of this species with three environmental factors, light, moisture and nutrient gradients from March to October 2007, and measured morphological and ecological 17 characters. Lastly calculated ecological niche breadth and niche overlap between Q. mongolica-Q. acutissima and Q. mongolica-Q. variabilis, and analysed them with a special reference to ecological distribution pattern and their competition relationship in Korea. The ecological niche breadth of Q. mongolica showed the lowest in nutrient treatment, but the highest in soil moisture treatment. The ecological niche value under light was intermediate. On comparison of the ecological niche breadth of three oak species, Q. mongolica showed the highest in light environment, which might be a reason for the dominant distribution in the forest plant community, Korea. The ecological niche overlap of Q. mongolica-Q. acutissima and Q. mongolica-Q. varabilis was the widest in moisture treatment, but the narrowest in nutrient treatment and the intermediate in light one. These results means that these three oak species be most competitive in moisture environment than light or nutrient one, and that there are least differentiated among oak species for soil moisture condition. Cluster and PCA ordination showed that Q. mongolica and Q. acutissima were more closely arranged than Q. mongolica and Q. variabilis. From these results, it can be explained that Q. mongolica have more similar ecological niche with Q. acutissima than with Q. variabilis, consequently competition between Q. mongolica and Q. acutissima is intensive than Q. mongolica and Q. variabilis for environment condition, especially in soil moisture.

신갈나무의 생태적 특성을 밝히기 위하여 유식물의 주요 환경요인 중 광, 수분과 영양소를 각각 4구배로 처리하고, 2007년 3월~10월까지 양묘하여 17가지의 형태 및 생태형질을 측정하여 생태적 지위폭을 계산하였다. 그리고 이 지위폭과 상수리나무와 굴참나무와의 생태적 중복역을 비교분석하여 3종의 분포적 특성과 경쟁관계를 생태적으로 해석하고자 하였다. 신갈나무의 생태적 지위폭은 환경요인 중 영양소구배에서 가장 낮았고, 수분구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광구배에서는 그 중간이었다. 신갈나무는 광환경에 대해서만 상수리나무나 굴참나무보다 생태적 지위폭이 큼으로써 이는 3종의 참나무가 경쟁시 광환경에서는 신갈나무가 우월하며, 또한 한반도에서 신갈나무가 우점하는 원인 중의 하나가 광환경에 대한 높은 적응력일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신갈나무-상수리나무와 신갈나무-굴참나무의 생태적 중복역은 수분구배에서 가장 넓었고, 영양소구배에서 가장 좁게 나타났다. 광구배에서는 그 중간이었다. 이는 참나무 3종이 영양소환경이나 광환경에 대해서는 서로 간 생태적 분화가 수분 환경보다 상대적으로 많이 일어났음을 뜻한다. 유집분석과 주성분분석을 이용한 참나무 3종의 환경구배에 대한 반응에서는 신갈나무-상수리나무 간의 공간적 위치는 신갈나무-굴참나무 간의 위치보다 서로 가깝게 배열되어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신갈나무와 상수리나무는 생태적 지위가 유사하여 환경요인, 특히 수분환경에 대한 경쟁이 신갈나무와 굴참나무에 비해 더 심하게 일어남을 의미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윤순, 오계칠. 1982. 광릉삼림군집에 대한 ordination 방법의 적용. 한식지. 25:83-99
  2. 김윤식, 고성철, 오병운. 1981. 한국식물의 분포도에 관한 연구(V) -참나무과의 분포도-. 고려대학교 이공논집. pp. 93-133
  3. 김정언, 길봉섭. 2000. 한국의 신갈나무 숲 -그의 환경, 식생과 생활-. 원광대학교출판국. pp.98-101
  4. 김정언, 임양재. 1989. 청량산 도립공원의 현존식생. 자연보존. 68:32-48
  5. 김정언, 임양재, 양권열. 1989. 소백산 국립공원 남동사면의 현존식생. 중앙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3:101-114
  6. 김종욱, 김준호. 1994. 수종 참나무속 유식물의 건조스트레스에 대한 기공저항의 조절과 전략의 분화. 한국생태학회지. 17:241-249
  7. 김지문, 권기원, 문흥규. 1985. 참나무 천연집단의 엽형변이. 한국임학회지. 70:91-101
  8. 김창환. 1992. 덕유산 국립공원 삼림식생의 구조와 2차천이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156
  9. 김해란, 정헌모, 김혜주, 유영한. 2008. 상수리나무와 굴참나무의 생태적 지위에 관한 연구. 환경생물. 26(4):385-391
  10. 노형진, 정한열. 2002. STATISTICA에 의한 알기 쉬운 통계 분석. 형설출판사. pp.535-556
  11. 박병현. 2003. 환경구배에 따른 초본 4종의 생태적 지위에 관한 연구. 서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1-4
  12. 박진희, 정명기, 선병윤, 김기중, 박재홍, 박종욱. 2005. 한국산참나무속 참나무과속 (너도밤나무과)의 수리분류학적 분석. 식물분류학회지. 35:57-80
  13. 백명수. 1995. 참나무속 3종의 유식물 정착과 생장과정의 비교.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21-46
  14. 송민섭. 2007. 한국 상수리나무림의 분포와 군집구조 분석. 창원대학교 생물학과 이학박사청구논문
  15. 송종석, 송승달, 박재홍, 서봉보, 정화숙, 노광수, 김인선. 1995. 서열법과 분류법에 의한 소백산 신갈나무림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 한국생태학회지. 18:63-87
  16. 송호경, 이미정, 이 선, 김효정, 지윤위, 권오원. 2003. 신갈나무림의 생태구조와 생태적지. 한국임학회지. 92:409-420
  17. 여천생태연구회. 2005. 개정판 현대생태학실험. 교문사. pp. 239-243
  18. 유영한, 지광재, 한동욱, 광영세, 김준호. 1995. 광릉 내 용암산 식물군집의 천이와 이질성. 한국생태학회지. 18(1):89-97
  19. 이우철, 백원기, 김문기. 1994. 설악산 신갈나무림의 식물사회학적 연구. 한국생태학회지. 17:319-331
  20. 이창복. 2003. 원색 대한식물도감 (상). 청아문화사. pp.197-211
  21. 임양재, 김정언. 1992. 지리산의 식생. 중앙대학교 출판부. p.467
  22. 임양재, 백순달. 1985. 설악산의 식생. 중앙대학교 출판부. p. 200
  23. 임업연구원. 1988. 참나무자원의 종합이용 개발에 관한 연구(I). 과학기술처. p.226
  24. 정태현, 이우철. 1965. 한국 삼림식물대 및 적지적수론. 성균관대학교 논문집. 10:329-435
  25. 정헌모, 김해란, 유영한. 2009. 환경구배처리에 따른 상수리나무, 굴참나무와 신갈나무의 생육 차이. 환경생물. 27(1): 82-87
  26. 하사헌. 1989. 상위한 광강도 하에서 자란 참나무속 유식물의 생장과 광합성,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60
  27. Abrams P. 1980. Some comments on measuring niche overlap.Ecol. 61:44-49 https://doi.org/10.2307/1937153
  28. Auguspurgur CK. 1984. Light requirements of neotropical tree seedlings: a comparative study of growth and survival. J. Ecol. 72:777-795 https://doi.org/10.2307/2259531
  29. Barbour MG, JH Burk and WD Pitts. 1987. Terrestrial plant ecology. 2nd ed. The Benjamin/Cummings Publishing Company, Inc. California. 634pp
  30. Kim JU, YJ Yim and BS Kil. 1988. Classification and pattern analysis of forest vegetation in Daedunsan provincial park, Korea.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11:109-122
  31. Odum EP. 1969. The strategy of ecosystem development. Science 164:262-270 https://doi.org/10.1126/science.164.3877.262
  32. Phare RE. 1997. Growth of red oak (Quercus rubra L.) seedling in relation to light and nutrients. Ecology 52:669-672 https://doi.org/10.2307/1934157
  33. Pianka ER. 1983. Evolutionary Ecology. 3rd ed. Harper & Row, NY. p.253
  34. Schoener TW. 1974. Some methods for calculating competition coefficients from resource utilization spectra. Amer. Natur. 108:332-340 https://doi.org/10.1086/282911
  35. You YH, ST Park, CS Lee and JH Kim. 1996. Simulation of forest succession in Kwangnung experimental forest with gap model. Korean J. Ecol. 19(6):499-506
  36. Zangerl AR. 1981. Relationships between population and ecological variability. Ph. D. thesis, Univ. of Illinois, Ill. 102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