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cological area ratio

검색결과 264건 처리시간 0.032초

복합쇼핑용 건축물의 경관조명으로 인한 표면휘도 분포 특성 - 동대문 지역을 중심으로 - (Luminance Characteristics on the Facade of Shopping Complexes - Focused on Dongdaemun Area in Seoul -)

  • 박성률;김정태
    • KIEAE Journal
    • /
    • 제7권6호
    • /
    • pp.29-36
    • /
    • 2007
  • Recently, rapid development of technique and change of lifestyle during nighttime has activated the urban outdoor lighting and renovated consideration of nightscape. As the interest of nightscape increases more widely, outdoor lighting has been installed more and more in the cities. Nightscape comes in diverse forms. So, there is no absolute standard for outdoor lighting. But only bright outdoor lighting is not necessarily a good nightscape. Installation lighting without master plan or excessive outdoor lighting may cause a inharmony.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luminous characteristics of facade in shopping complexes. For the purpose, four large-scale shopping complexes located in Dongdaemun area were selected. Building facade composition, outdoor lighting composition, and lighting equipment of each shopping complexes are surveyed, and luminance of building facade were measured with Prometric 1400. The result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Horizontally large-scale shopping complexes emphasize the building entrance and shape of the building at night by outdoor lighting. (2) Non cut-off luminaries installed in building entrance and shop front caused the potential of light pollution.

금오산에서 산회지와 비산화지의 식물군집구조 비교 (A Comparison of the Plant Community Structures in the Burned and Unburned Areas of Mt Kumo-san)

  • Kim, Woen;Sung, Kyung-Hee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9권1호
    • /
    • pp.55-64
    • /
    • 1996
  • This is a report on the recovery of vegetation and secondary succession in the burned area studied from April, 1990 to April. 1991. The forest fire occurred in a part of Mt. $K\v{u}mo-san$ on April, 1986 and the pine forest and its understory vegetation were burned out completely. The floristic compositions of burned (B) and unburned (U) areas were composed of sixty eight and thirty one species (vascular plants), respectively. These species were divided into invaders (47 species), increasers (15 species), deceasers (3 species), neutrals (3 species), and retreaters (10 species) on the basis of summed dominance ratio ($SDR_3$). Biological spectra showed the $H-D_1-R_5-e$ type in both the burned and unburned areas. The species of Lespedeza ($SDR_3$=94.7), Miscanthus (91.95), Festuca (68.33), and Spodiopogon (52.06) were dominant in the burned areas, while the species of Pinus (76.67), Robinia (56.25), Quercus (52.08), and Carex (40.25)were dominant in the unburned area. Dominance index (C) in burned and unburned areas was 0.15 and 0.25, respectively. the index of similarity (CCs) was 0.42. The degree of succession (DS) and species diversity (H) in burned and unburned areas were 675.8, 884.2 and 4.07, 2.05, respectively. The degree of succession in the burned area graduall increased and the burned area was recovered to be simmilar to the unburned area. Evenness index in burned and unburned areas was 0.965 and 0.595, respectively.

  • PDF

공동주택 사용부문의 이산화탄소 배출량 추정모델 연구 (Estimation Model of the Carbon Dioxide Emission in the Apartment Housing During the Maintenance period)

  • 이강희;채창우
    • KIEAE Journal
    • /
    • 제8권4호
    • /
    • pp.19-27
    • /
    • 2008
  • The carbon dioxide is brought from the energy consumption and regarded as a criteria material to estimate the Global Warming Potential. Building shares about 30% in national energy consumption and affects to environment as much as the energy consumption. But there is not enough data to forecast the amount of the carbon dioxide during the maintenance stage. Various factors are related with the energy consumption and carbon dioxide emission such as the physical area, the building exterior area, the maintenance type and location. Among these factors, the building carbon-dioxide emission can be estimated by the overall building characteristics such as the maintenance area, the number of household, the heating type, etc., The physical amount such as the thickness of the insulation and window infiltration could explained the limited scope and might not be use to estimate the total carbon-dioxide emission energy because the each value could not include or represent the overall building. In this paper, it provided the estimation model of the carbon-dioxide emission, explained by the overall building characteristics. These factors are shown as the maintenance area, no. of household, the heating type, the volume of the building, the ratio of the window to wall area etc., For providing the estimation model of th carbon-dioxide emission, it conducted the corelation analysis to filter the variables and suggested the estimation model with the power model and multiple regression model. Most of the model have a good statistics and fitted in the curve line.

Changes in resource allocation among vegetative organs during the clonal growth of Polygonatum humile (Liliaceae) grown in a temperate forest gap

  • Min, Byeong-Mee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1권9호
    • /
    • pp.246-255
    • /
    • 2017
  • Backgroun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source allocation among the organs and the leaf morphology of Polygonatum humile.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June 2014 to May 2015 in a natural P. humile stand of a temperate forest gap. Results: The dry weight of new rhizome ($R_0$) sharply decreased to the time of new shoot sprouting in next year and was constant for 2 ~ 3 years. However, dry weight of root on $R_0$ increased to the end of growth season and, thereafter, decreased slowly along the time elapsed.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he rhizome and the leaf sizes were 0.5 for the last year's rhizome ($R_1$) and 0.6 for $R_0$ and were significant at 0.1% level for $R_0$. The increase of one leaf a plant led to increase of the total leaf area, total leaf weight, and stem length. Moreover, the organ sizes' differences between two plants of the one leaf difference were almost significant at 1% level. In 11-leaf plant, the leaf length/width ratio and specific lea area increased to the second, relative leaf area to the fourth and relative leaf dry weight to the fifth, and thereafter, decreased to the last leaf. The differences in the values of these four parameters between two leaves on a stem were almost significant at 5% level. Conclusion: P. humile examined showed the close relationships between the last year's rhizome or this year's one and the shoot system (leaf and stem) sizes. The leaf number a shoot greatly influenced specific leaf area. P. humile's leaf might showed diverse morphology with leaf rank on a stem in a forest gap environment.

영산강, 섬진강, 한강 하구역의 에머지 평가 (Emergy Evaluation of the Estuarine Areas of Yeongsan River, Seomjin River, and Han River in Korea)

  • 이창희;강대석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35-143
    • /
    • 2008
  • 에머지 개념을 이용하여 영산강하구역, 섬진강하구역, 한강하구역의 자연환경과 사회경제활동을 평가하고 하구역 관리와 관련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산강하구역, 섬진강하구역, 한강하구역의 자연환경과 사회경제활동에 대한 에머지 평가는 대형 하천이 유입하는 환경적 특성과 주변 지역의 사회경제활동 중심으로 기능하는 경제적 특성 등 이들 하구역의 특성을 잘 보여주었다. 각 하구역으로 유입하는 주요 자연환경 에머지는 하천, 조석, 강수 등 이었다. 그러나 이들 재생가능에머지가 세 하구역의 전체 에머지 유입량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8% 미만으로 아주 적었다. 이에 비해 하구역의 외부에서 구입하여 지역경제에 투입하는 에머지의 비율은 $92{\sim}98%$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단위면적당 에머지사용량, 인구수용력, 환경부하비율, 에머지지속성지수 등 다양한 에머지 지수가 현재 영산강하구역, 섬진강하구역, 한강하구역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사회경제활동의 지속성이 아주 낮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영산강하구역, 섬진강하구역, 낙동강하구역의 자연환경이 우리 경제에 기여하는 가치는 $729{\sim}2,206$만 Em\/ha/yr으로 높게 평가되었다. 이는 우리나라 전체평균보다 2배 이상 높은 것인데, 하구역의 자연환경이 가지고 있는 생태경제적 중요성을 반영한다. 따라서 각 하구역이 가지고 있는 생태적 경제적 잠재력을 유지하고 회복하기 위한 하구환경관리정책의 수립 시행이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인구 및 경제 집중의 완화, 하구의 환경수용력을 고려한 이용 개발 등 하구환경에 압력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줄이기 위한 수요조절 측면의 정책과 훼손된 생태계의 복원, 인공생태계의 조성 등 생태계의 구조와기능을 회복하여 우리가 이용할 수 있는 생태계 서비스를 증가시키는 공급조절 측면의 두 가지 방향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

  • PDF

지리산야서(智異山野鼠)의 서식생태(棲息生態)에 관(關)한 연구(硏究) (Ecological Studies on the Inhavitation of Fieldmice in Mt. Jiri)

  • 윤강복;김재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0권1호
    • /
    • pp.38-44
    • /
    • 1985
  • 국립공원(國立公園) 지리산(智異山) 야서(野鼠)의 피해방제(被害防除)에 대(對)한 기초적(基礎的)인 자료(資料)에 기여(寄與)할 목적(目的)으로 1983년(年) 10월(月)부터 '84년(年) 9월(月)까지 장당(壯堂)과 유평(油坪), 중산리(中山里), 세석(細石), 대성지역(大成地域)의 5개지역(個地域)을 중심(中心)으로 야서(野鼠)의 서식실태(棲息實態)를 조사(調査)하여 보았던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발견(發見)된 서류(鼠類)는 대륙밭쥐(Clethrionomys rufocanus regulus)와 흰넓적다리 붉은쥐(Apodemus speciosus peninsulae), 등줄쥐(Apodemus agrarius coreae) 등(等)의 3종(種)이었다. 2) 소혈(巢穴)의 유형(類型)은 3종(種)의 서류(鼠類) 모두다 근원(根元)과 도목하(倒木下), 암석(岩石)과 지면(地面)의 경계(境界), 경사지표면(傾斜地表面), 지표면(地表面) 등(等)을 이용(利用)하는 5개(個) 유형(類型)이 있었으며 그중(中)에서도 수목(樹木)의 근원부위(根元部位)를 이용(利用)하는 것이 33.2%로서 가장 많았다. 3) 서식율(棲息率)은 대성지역(大成地域)이 22.6%로서 가장 많았으며 월별(月別)로 보면 7월(月)이 가장 많이 포획되었다. 4) ♀, ♂ 별(別)로 보면 ♀은 세석지역(細石地域)에서는 7월(月)이 6.6%로서 가장 많이 서식(棲息)하였으며 ♂은 유평지역(油坪地域)에서는 7월(月), 세석지역(細石地域)에서는 5월(月), 대성지역(大成地域)에서는 7월(月)에 각각(各各) 5.4%로서 가장 많이 서식(棲息)하였다. 5) 체중(體重)을 보면 최하(最下) 20.3g에서 57.4g였었는데 그중(中) 대륙밭쥐(Clethrionomys rufocanus regulus)가 37.8g으로 가장 무거웠고 그 다음이 흰넓적다리붉은쥐(Apodemus specious peninsulae), 등줄쥐 (Apodemus agrarius coreae)의 순(順)이었고 지역별(地域別)로 보면 대성지역(大成地域)이 가장 무거웠다.

  • PDF

울진지역 산불피해지의 산림피복형별 식생구조의 초기 변화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Early Changes in Vegetation Structure by Forest Cover Type after Forest Fire Damage in Uljin region)

  • 김태운;한영섭;이성호;임채영;허태철;임창균;길민경;박준형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18
    • /
    • 2024
  • The study aims to establish a direction for forest ecological restoration by classifying forest types and understanding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Uljin forest area damaged by a large fire in 2022.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and indicator species analysis were conducted on 78 survey plots located in the forest fire-affected area, and four forest cover types were derived: P. densiflora pure forests, P. densiflora dominant forests, mixed broad-leaved forests, and Q. variabilis dominant forests. As a result of visually comparing changes in forest types before and after forest fire damage, by classifying data according to whether or not upper dead trees are included, it was confirmed that pine forests, which have a high proportion of pine trees, spread widely due to forest fire damage. However, broad-leaved mixed forests and oyster oak dominant forests showed characteristics of maintaining concentration, indicating that pine forests were severely damaged. As a result of the important value analysis, during the process of natural recovery after a forest fire, the species that appear early in the lower layer are the sprouts of existing species such as Quercus mongolica Fisch. ex Ledeb., Quercus variabilis Blume, Fraxinus sieboldiana Blume, Rhododendron mucronulatum Turcz. The distribution of diameter at breast height by forest cover type showed that among areas with extreme forest fire damage, the proportion of dead trees was relatively high and structural changes were large in P. densiflora pure forests and P. densiflora dominant forests where pine trees had a high distribution ratio. However, if continuous monitoring is carried out in the future with reference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plant data is collected and analyzed from a mid- to long-term perspective, it is believed that it will be used as useful data to promote forest ecological restoration projects in forest fire-affected areas.

Landsat 영상으로부터 정규탄화지수 추출과 산불피해지역 및 피해강도의 정량적 분석 (An Quantitative Analysis of Severity Classification and Burn Severity for the Large Forest Fire Areas using Normalized Burn Ratio of Landsat Imagery)

  • 원명수;구교상;이명보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80-92
    • /
    • 2007
  • 산불은 우리나라 산림의 주요 교란요소중의 하나로써 산림 구조와 기능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며, 산불피해강도에 따라 피해 후 식생회복 과정이 달라질 수 있다. 대형산불 피해지의 피해강도와 식생회복 과정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많은 인력과 예산이 필요하지만 위성영상자료를 이용한 산불피해지의 피해강도 분석은 신속한 정보는 물론 대규모 피해지의 객관적인 결과를 원격적으로 취득할 수 있다. 위성과 항공기 탑재 센서들은 피해규모를 맵핑하고 진행산불 특성을 평가하며 산불피해후의 생태적 영향 특성을 규명하는데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00년 삼척산불, 2002년 청양산불 그리고 2005년 양양 대형산불 피해지를 구분하고 피해강도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정규탄화지수(Normalized Burn Ratio: NBR)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산불피해 전후 동일시기의 Landsat 위성영상 자료를 활용하여 정규탄화지수(NBR)를 산출하고 30m 해상도의 피해강도 패턴을 평가하였다. 산불피해강도 평가결과, 삼척산불 피해지는 피해강도 '중' 이상(${\Delta}NBR$ 152 이상) 지역이 전체의 65%를 차지하였으며 청양 예산산불피해지는 91%, 양양산불피해지는 65%로 나타나 3지역 중 청양 예산지역이 피해강도 측면에서만 보면 가장 큰 피해를 입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RS와 GIS를 이용하여 원격 탐지된 ${\Delta}NBR$은 대규모 산불피해지의 구분은 물론 산불피해강도를 공간적으로 정량화할 수 있다.

  • PDF

기후위기 대응 외부공간의 지속가능성 평가지표의 검토 및 고찰 (Review of Assessment Criteria for Sustainable Outdoor Space Responding to Climate Change)

  • 전승훈;채수권
    • 환경영향평가
    • /
    • 제30권6호
    • /
    • pp.393-412
    • /
    • 2021
  • 본 연구는 미국의 친환경 건축 평가시스템인 LEED v4.1과 지속가능한 외부공간의 평가시스템인 SITE v2의 평가체계를 검토한 다음 우리나라의 관련 법, 제도적 지침과 기준의 관점에서 비교, 고찰한 결과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국의 친환경 인증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전문분야에 따른 독립적인 평가체계를 구축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기후위기의 대응을 통한 지속가능한 도시와 공동체, 그리고 외부공간환경의 쾌적성 확보를 통한 지속가능하면서도 건강하고 행복한 도시민의 삶의 질 확보가 최우선이라 평가할 수 있다. 둘째, 우리나라 녹색건축물 인증시스템(G-LEED)은 기본적으로 미국의 LEED 시스템을 근간으로 한 것이나 근본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다양한 전문가그룹과 이해관계자의 참여를 통한 통합적 접근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한계가 있을 뿐 만 아니라 최첨단 정보통신이나 장비의 적용을 통한 보다 과학적이고 신뢰성 있는 자료 및 정보 축적의 한계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셋째, 우리나라 외부공간의 경우 지속가능한 평가시스템이 구축되어 있지 못한 채 여러 법제도적 지침으로 분산되어 있을 뿐 만 아니라 그 실효성도 매우 낮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미국의 지속가능한 외부공간 평가체계인 SITES v2의 도입과 적용성 확보가 시급한 것으로 판단되며, 기존의 관련 지침인 생태면적율 제도는 환경영향평가과정에서 목표치의 상향이 요구될 뿐 만 아니라 조경기준의 최소 자연지반 녹지율의 상향 조정을 통해 그 실효성이 확보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보호지역의 식물종 보전 상보성 평가 (Complimentary Assessment for Conserving Vegetation on Protected Areas in South Korea)

  • 박진한;최혜영;모용원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436-445
    • /
    • 2020
  • 아이치 생물다양성 목표11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내 보호지역은 양적으로 꾸준히 증가되어왔으며, 추가 지정이 필요한 잠재 보호지역에 대한 연구도 진행되어왔다. 하지만 효과적인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보호지역의 상보성에 대한 평가는 미흡하다. 본 연구에서는 제3차 전국자연환경조사의 식물종을 대상으로 종분포모형을 이용하여 잠재서식지역을 도출하고, 기존 보호지역과 잠재보호지역 내 잠재서식지역이 포함되는 종의 풍부도를 유사도 지수인 Jaccard, Sorenson, Bray-curtis를 이용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 기존 보호지역과 잠재보호지역 대부분이 상보성이 낮아 유사한 식물종을 보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수목원 완충지역이 상보성이 높아 보호지역으로서의 가치가 높다고 할 수 있다. 잠재서식지역이 포함되는 경우가 적은 식물종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기존 또는 잠재 보호지역 외 지역에 추가로 보호지역을 선정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개별 보호지역이 보호지역으로서 고유한 생태계 또는 생물종 보전이 가능한지 각 보호지역의 생태적 대표성을 확인하고, 공간적으로 추가 보호가 필요한 지역을 탐색하는 방법을 제안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향후 동물종까지 포함한 상보성 평가를 통한 보호지역의 질적 개선과 계속적으로 조사되는 전국자연환경조사 자료를 이용한 보호지역의 효과성평가 연구 등으로 발전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