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cological adaptation

검색결과 170건 처리시간 0.027초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산림분포 취약성 평가 (Vulnerability Assessment of Forest Distribution by the Climate Change Scenarios)

  • 이상철;최성호;이우균;박태진;오수현;김순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0권2호
    • /
    • pp.256-265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IPCC) 기후변화 시나리오 A2와 B1에 따른 산림분포 취약성을 평가하였다. 산림분포 취약성은 한국형 산림 생태계 분포 모델 Thermal Analogy Groups(TAG) 의 산림분포예측 방법과 Hydrology Thermal Analogy Groups(HyTAG)에서 정의한 식생유형을 이용하여 기후 변화에 따른 잠재 식물상(Plant Functional Type: PFT)의 분포 변화를 기후변화 민감성과 적응성으로 나누어 평가되었다. 그 결과, 산림분포가 취약한 지역의 면적은 A2 시나리오에서 전체 국토 면적의 30.78%, B1에서는 2.81%로 나타났다. 행정구역별 취약성 평가 결과는 부산이 A2 시나리오에서 가장 취약하고 대구가 B1 시나리오에서 가장 큰 취약성을 나타냈다. 미래 발전 방향에 따라서 상이하게 구축된 시나리오 별 산림 분포 취약성 결과는 앞으로 산림 분야 적응대책 수립에 중요한 자료로 이용될 것이다.

기후변화 적응대책 수립 지원을 위한 취약성 평가 및 부문별 우선순위 선정 방안 연구 - 강원도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Vulnerability Assessment and Prioritizing Sectors to Support Adaptation Strategy to Climate Change - Case Study of Gangwon Province -)

  • 오수현;이우균;유성진;변정연;박선민;곽한빈;최계선;김문일;정래선;남기준;신동희
    • 한국기후변화학회지
    • /
    • 제3권4호
    • /
    • pp.245-257
    • /
    • 2012
  •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고 적응대책을 수립하기 위해 취약성 평가가 장려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지역을 대상으로 고해상도 공간자료를 이용한 취약성 평가를 실시하고, 부문별 우선순위 선정방법을 제시하여 적응정책 수립에서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각 부문별로 민감도, 노출, 적응능력 규준을 설정하고, 적합한 평가 지표를 선정한 뒤 GIS를 이용하여 지표별 공간자료를 구축하였다. 이후 시군구별 현재와 미래 취약성 결과를 도출한 뒤 부문별 우선순위를 선정하였다. 현재의 기후변화 취약 정도에 따라 구간을 나눈 뒤 미래의 취약성 증감 정도를 반영하여 부문별로 우선 순위를 등급화 하였다. 그 결과, 취약성은 지역별로 사용된 지표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났으나, 전반적으로 미래의 취약성이 증가하고 취약지역이 확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기온의 증가는 모든 부문의 취약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드러났다. 부문별 우선순위 선정 결과, 시군별로 적응정책 수립시 우선적으로 고려해야할 부문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지리와 기후 및 사회적 특성이 비슷한 시군구는 동일한 등급으로 분류되는 경향을 볼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취약성 평가와 부문별 우선순위 선정 방안은 향후 기초지자체의 기후변화 세부시행계획 수립 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토지이용균형모델을 이용한 기후변화에 따른 제주도 지역의 주거용 토지이용변화와 인구 밀도 예측 (Analyzing Residential Land Use Change and Population Density Considering Climate Change Using Land Use Equilibrium Model in Jeju)

  • 유소민;이우균;야마가타 요시키;임철희;송철호;최현아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3-58
    • /
    • 2015
  • 급격한 경제 성장과 인구 증가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급증시키고 있으며 이는 기후변화를 가속화시키고 있다. IPCC(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보고서는 온실가스가 2000년부터 2030년까지 최대 90%까지 증가할 것이라고 보고하고 있다. 이에 전 세계에서는 기후변화에 대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 기후변화 적응과 완화 대책 수립이 중요시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기후변화 대응 정책으로'저탄소 녹색성장(Low Carbon Green Growth)'을 시행하였다. 지자체에서는 친환경적이며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도시계획을 조성하기 위해 다양한 연구를 수행해왔다. 특히, 기후변화에 가장 크게 영향을 줄 수 있는 토지이용변화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수행되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를 대상으로 경제적, 지리적 특성을 기반한 토지이용 균형 모델을 적용하여 주거 토지이용변화와 인구 밀도를 예측하였다. 먼저, 주거부분의 토지이용변화를 보기 위해, 3가지 유형의 시나리오를 구축하였다. 시나리오는 현재와 동일한 환경을 갖는 Dispersion 시나리오, 기후변화 적응 대책을 반영한 Adaptation 시나리오, 기후변화 적응과 완화 대책을 동시에 반영한 Combined 시나리오이다. 그 결과, 전반적으로 Dispersion 시나리오에서 Combined 시나리오로 갈수록 주거면적과 인구밀도가 줄어들었다. 이후 주거면적과 인구밀도 결과를 통해 시나리오별 주거용 에너지 소비량과 예상 인명 피해액을 산정하였다. 그 결과, 전반적으로 Dispersion 시나리오에서 Combined 시나리오로 갈수록 에너지 소비량과 예상 인명 피해액은 줄어들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토지이용균형모델을 적용하여 시나리오별 주거부분 토지이용과 인구 밀도 변화 파악은 향후 기후변화 안정성을 확보하고 완화할 수 있는 환경적 도시계획을 수립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rends in the effects of climate change on terrestrial ecosystems in the Republic of Korea

  • Choi, Sei-Woong;Kong, Woo-Seok;Hwang, Ga-Young;Koo, Kyung Ah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5권3호
    • /
    • pp.117-129
    • /
    • 2021
  • In this review, we aimed to synthesize the current knowledge on the observed and projected effects of climate change on the ecosystems of Korea (i.e., the Republic of Korea (ROK) or South Korea), as well as the main causes of vulnerability and options for adaptation in these ecosystems based on a range of ecological and biogeographical data. To this end, we compiled a set of peer-reviewed papers published since 2014. We found that publication of climate-related studies on plants has decreased in the field of plant phenology and physiology, whereas such publication has rapidly increased in plant and animal community ecology, reflecting the range shifts and abundance change that are occurring under climate change. Plant phenology studies showed that climate change has increased growing seasons by advancing the timing of flowering and budburst while delaying the timing of leafing out. Community ecology studies indicated that the future ranges of cold-adapted plants and animals could shrink or shift toward northern and high-elevation areas, whereas the ranges of warm-adapted organisms could expand and/or shift toward the areas that the aforementioned cold-adapted biota previously occupied. This review provides useful information and new insights that will improve understanding of climate change effects on the ecosystems of Korea. Moreover, it will serve as a reference for policy-makers seeking to establish future sectoral adaptation options for protection against climate change.

Evolutionary Model of Depression as an Adaptation for Blocked Social Mobility

  • Park, Hanson;Pak, Sunyoung
    • 생물정신의학
    • /
    • 제29권1호
    • /
    • pp.1-8
    • /
    • 2022
  • Objectives In regard to the social competition hypothesis, depression is viewed as an involuntary defeat strategy. A previous study has demonstrated that adaptation in microenvironments can result in a wide range of behavioural patterns including defense activation disorders. Using a simulation model with evolutionary ecological agents, we explore how the fitness of various defence activation traits has changed over time in different environments with high and low social mobility. Methods The Evolutionary Ecological Model of Defence Activation Disorder, which is based on the Marginal Value Theorem, was used to examine changes in relative fitness for individuals with defensive activation disorders after adjusting for social mobility. Results Our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social mobility on fitness by varying the d-values, a measure of depression in the model. With a decline in social mobility, the level of fitness of individuals with high levels of defense activation decreased. We gained insight into the evolutionary influence of varying levels of social mobility on individuals' degrees of depression. In the context of a highly stratified society, the results support a mismatch hypothesis which states that high levels of defence are detrimental. Conclusions Despite the fact that niche specialization in habitats composed of multiple microenvironments can result in diverse levels of defensive activation being evolutionary strategies for stability, decreased social mobility may lead to a decrease in fitness of individuals with highly activated defence modules. There may be a reason behind the epidemic of depression in modern society.

Lactobacillus crispatus KLB46의 생균제제화를 위한 저온 전처리시 증지의 효과 (Effect of Cold Adaptation on the Improved Viability of Lactobacillus crispatus KLB46)

  • 김주현;이석용;장정은;김승철;윤현식;소재성
    • KSBB Journal
    • /
    • 제16권6호
    • /
    • pp.626-631
    • /
    • 2001
  • 본 연구에서 L. crispatus KLB46을 저온 전처리함으로서 제제화 과정에 받게 되는 얼림과 녹임, 건조 스트레스뿐만 아니라, 여러 다른 환경 스트레스에 대한 내성이 증진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내성 증진에 신규 단백질 합성이 필요함을 확인하였으며 나아가, 저온 충격 유전자 (csp)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이 균주를 제제화 하기 위한 방법으로 저온 전처리를 이용할 경우 생균력 유지에 큰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사료된다.

  • PDF

Lactobacillus fermentum KLB12의 열 전처리에 따른 열 스트레스 내성 증진 및 프로테옴 변화 (Improved Viability and Proteome Analysis of Lactobacillus fermentum KLB12 upon Heat Stress)

  • 김주현;박미영;김승철;윤현식;소재성
    • KSBB Journal
    • /
    • 제18권4호
    • /
    • pp.294-300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L. fermentum KLB12을 열 전처리 함으로서 제제화 과정 동안 거치게 되는 열 스트레스에 대한 내성이 증진됨을 확인하고, 최적의 열 전처리 조건을 수행하였다. 또한 열 전처리 뿐만 아니라, 저온과 열 전처리 조건에도 열 스트레스에 대한 간섭 효과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내성 증진에 신규 단백질 합성이 필요함을 확인하였으며 나아가, 2-D electrophoresis를 통하여 7개의 신규 단백질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이 균주를 제제화하기 위한 방법으로 열 전처리를 이용할 경우 생균력 유지에 큰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사료된다.

$CO_2$ 농도 및 온도 상승에 의한 졸참나무의 생태적 지위 변화 (Variation of Ecological Niche of Quercus serrata under Elevated $CO_2$ Concentration and Temperature)

  • 조규태;정헌모;한영섭;이승혁
    • 환경생물
    • /
    • 제32권2호
    • /
    • pp.95-101
    • /
    • 2014
  • 한반도의 낙엽성 참나무인 졸참나무(Quercus serrata)의 생태적 지위폭이 $CO_2$ 농도와 온도가 상승하였을 때 광, 수분 그리고 영양소 구배에서 어떻게 변화하는지 알아보고자 유리온실에서 대조구와 온난화처리구로 구분하여 재배한 후, 유식물의 20가지 형질을 측정하고 생태적 지위폭을 계산하였다. 그 결과, 생태적 지위폭은 광구배에서 대조구보다 온난화처리구가 넓어졌고, 수분과 영양소 구배에서는 대조구보다 온난화처리구가 좁아졌다. 이것은 지구온난화 진행 시 졸참나무는 광 환경에 대한 내성이 증가되고, 수분과 영양소 환경에 대한 내성이 감소될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주성분분석(PCA) 결과, 각 환경 구배에서 요인 1과 요인 2에 의해 대조구와 온난화처리구가 구분되었다. 생태학적 반응은 다양한 형질이 종합적으로 관여하며, 그 중에서 식물의 생산량을 나타내는 형질이 많은 부분 관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여우(Vulpes vulpes) 복원을 위한 증식·복원장 공간 계획에 관한 연구 - 소백산국립공원 지역을 사례로 - (Reproducing and Restoring Space Planning for Red Fox (Vulpes vulpes) Restoration - Focusing on Sobaeksan National Park -)

  • 조동길;심윤진;홍진표;차진열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1-14
    • /
    • 2013
  • A species restoration plan requires a process where the first is to thoroughly study the target species, second is to provide them with an onsite reproduction and adaptation period, and finally, third is to release them to their natural habitat. This study focuses on the space planning for target species' successful onsite reproduction and adaptation. For the study, a site planning near Sobaeksan National Park was implemented with Red Fox's behavior and habitat characteristics in mind for its recovery, reproduction, and natural adaptation. During site selection and planning, the basic aim was to incorporate the existing site as much as possible thus reducing the impact on the environment from the recovery plan. In addition, for a stable recovery of the Red Fox population, the site was classified into three different areas : core area, buffer zone, and transition area. Then, the facilities that help Red Fox's reproduction and adaptation such as reproduction center, foraging site, adaptation training center were planned.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site will be off limit to the public, a limited number of paths for monitoring was provided. For the site's vegetation, the existing species were planted as much as possible with the addition of plants that the Red Fox consume. The facilities included as Red Fox's habitat were fox burrows for hiding and ecological ponds for drinking. From this study, the recovery of the endangered fox species is expected as well as the contribution to an effort to increase of awareness toward the biological resources in Korea through Nagoya protocol. Furthermore, it has the potential to change the public's attitude toward endangered species recovery projects through publicizing and providing experience to the national park visitors.

난지도 쓰레기 매립지 비탈면 생태복원 특성에 관한 연구 - 자연표토복원공법과 원지반식생정착공법 시공지역을 중심으로 - (A study on Ecological Restoration Characteristics of Nangido Landfill Slope - Focused on region constructed by SF and CODRA -)

  • 여환주;이상필;백난영;이재근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12
    • /
    • 2005
  • A study on ecological restoration of landfill slope was conducted in Nanjido to compare immediate and long time effect and supply continuous back data for ecological restoration of landfill slope. As a result, all region constructed by SF and CODRA was effective on improving soil environment and preventing slope erosion. In case of former, by adapting flowers the initial scenery was beautifully built however there was tendency that as time passes the introduced plants were being overtaken by native plants thus it was necessary to select plants which are not being overtaken by native plants. In case of latter, by introducing leguminous plants the natural adaptation of plants were moving smooth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