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Vulnerability Assessment and Prioritizing Sectors to Support Adaptation Strategy to Climate Change - Case Study of Gangwon Province -

기후변화 적응대책 수립 지원을 위한 취약성 평가 및 부문별 우선순위 선정 방안 연구 - 강원도 사례를 중심으로 -

  • Oh, Suhyun (Dept. of Climatic Environment, Korea University) ;
  • Lee, Woo-Kyun (Dept.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Ecological Engineering, Korea University) ;
  • Yoo, Seongjin (Environmental GIS/RS Center, Korea University) ;
  • Byun, Jungyeon (Dept.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Ecological Engineering, Korea University) ;
  • Park, Sunmin (Environmental GIS/RS Center, Korea University) ;
  • Kwak, Hanbin (Dept.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Ecological Engineering, Korea University) ;
  • Cui, Guishan (Dept.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Ecological Engineering, Korea University) ;
  • Kim, Moonil (Dept.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Ecological Engineering, Korea University) ;
  • Jung, Raesun (Environmental GIS/RS Center, Korea University) ;
  • Nam, Kijun (Dept.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Ecological Engineering, Korea University) ;
  • Shin, Donghee (Dept. of Climatic Environment, Korea University)
  • 오수현 (고려대학교 기후환경학과) ;
  • 이우균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부) ;
  • 유성진 (고려대학교 환경GIS/RS 센터) ;
  • 변정연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부) ;
  • 박선민 (고려대학교 환경GIS/RS 센터) ;
  • 곽한빈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부) ;
  • 최계선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부) ;
  • 김문일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부) ;
  • 정래선 (고려대학교 환경GIS/RS 센터) ;
  • 남기준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부) ;
  • 신동희 (고려대학교 기후환경학과)
  • Received : 2012.10.04
  • Accepted : 2012.11.12
  • Published : 2012.12.31

Abstract

Vulnerability assessment has been required for establish climate adaptation plan to prevent damage from climate change. In this study we assessed vulnerability with 1 km resolution and determined which sectors have the highest priority in each municipality of Gangwon province based on the result of vulnerability assessment. All sectors of vulnerability assessment are composed of three criteria; sensitivity, exposure and adaptation capacity. And suitable indicators of each sector were selected and spatial data set was prepared using GIS. Priority of vulnerability was classified with the degree of vulnerability in present and variation in vulnerability between present and future. The results of vulnerability assessment were different among municipalities due to the contribution of indicators. Present and future trends in vulnerability showed similar results but high vulnerable area was predicted to expand in the future. In addition increase in temperature led whole area to be more vulnerable generally. The result of prioritizing sectors of vulnerability indicated the most considerable sectors within a municipality. Also, the municipalities which have similar geographic, climatic and social conditions tended to be classified as the same priority class. The method of vulnerability assessment and determining priorities suggested in this study could be used to support decision makers to establish adaptation plan of local area.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고 적응대책을 수립하기 위해 취약성 평가가 장려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지역을 대상으로 고해상도 공간자료를 이용한 취약성 평가를 실시하고, 부문별 우선순위 선정방법을 제시하여 적응정책 수립에서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각 부문별로 민감도, 노출, 적응능력 규준을 설정하고, 적합한 평가 지표를 선정한 뒤 GIS를 이용하여 지표별 공간자료를 구축하였다. 이후 시군구별 현재와 미래 취약성 결과를 도출한 뒤 부문별 우선순위를 선정하였다. 현재의 기후변화 취약 정도에 따라 구간을 나눈 뒤 미래의 취약성 증감 정도를 반영하여 부문별로 우선 순위를 등급화 하였다. 그 결과, 취약성은 지역별로 사용된 지표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났으나, 전반적으로 미래의 취약성이 증가하고 취약지역이 확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기온의 증가는 모든 부문의 취약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드러났다. 부문별 우선순위 선정 결과, 시군별로 적응정책 수립시 우선적으로 고려해야할 부문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지리와 기후 및 사회적 특성이 비슷한 시군구는 동일한 등급으로 분류되는 경향을 볼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취약성 평가와 부문별 우선순위 선정 방안은 향후 기초지자체의 기후변화 세부시행계획 수립 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Grant : 강원도 기후변화 적응 대책 세부시행계획 수립

Supported by : 강원도 한국기후변화대응연구센터, 농촌진흥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