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co block

검색결과 76건 처리시간 0.023초

블록 트레인 서비스 운영 전략 학습 시뮬레이터 개발 (An Educational Simulator for Operational Strategies of the Block Train Services)

  • 정재운;김현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11호
    • /
    • pp.197-202
    • /
    • 2012
  • 내륙물류의 생산성 향상 및 친환경적 체계 구축을 위해 많은 국가에서 블록 트레인 서비스(Block Train Service)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철도부문의 정부 독점 운영 상황과 대부분의 물류정보가 기업의 영업기밀에 속하는 물류산업의 특성 등으로 인해 BT 서비스에 대한 일반의 이해와 연구적 접근이 쉽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BT 운용에 필요한 학습 및 전략적 판단을 지원하는 BTS 시뮬레이터를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대표 BT 운영사인 K사의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와 관련 자료의 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시뮬레이터는 K사의 부산신항-의왕 구간 사례를 참조하였으며, BT 운영에 관한 시나리오 생성 및 분석 기능을 지원한다. 본 연구는 새로운 형태의 BT운영 학습 및 전략 분석 지원 기술을 연구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도시 주거 취약층을 위한 친환경 조립형 흙블록 건축재 개발 - 인도네시아 주민 공동체의 참여적 접근 사례 - (Eco-Friendly Interlocking Stabilized Soil Blocks for Urban Housing-Vulnerable Communities : A Community-Participatory Approach in Indonesia)

  • 박재현;자스리 물리아;파자르 세티아완
    • 적정기술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15-125
    • /
    • 2020
  • 개발도상국에서 슬럼의 팽창은 만성적인 주거 문제로 남아 있다. 이러한 주거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서 정부의 역량이 부족하므로 주거 취약층의 자조적인 접근은 아주 오래전부터 불가피하면서도 그 중요성이 꾸준히 증가하였다. 하지만 비용 대비 양질의 확보와 기후변화 완화 및 적응을 위한 노력은 주거 취약층의 자조 주택 접근에서 해결해야만 하는 대표적인 과제이다. 이 연구는 인도네시아 주거 취약층을 대상으로 비용 절감과 기후변화 대응을 고려한 건축재로써 주변에서 쉽게 찾을 수 있는 토속적인 재료와 공법을 활용한 친환경 조립형 흙블록의 제작 개발과 교육훈련을 목적으로 한 건축 실험에 바탕을 두고 있다. 현지의 건축 NGO와의 협업을 통해서, 도시 개발로 강제이주를 당한 40가구의 공동체가 직접 친환경 흙블록의 제작 개발과 교육훈련의 과정에 참여하는 공동제작 워크숍 형태이다. 흙 성질 조사분석, 배합 설계, 압축 강도 시험, 경제성 분석 등의 과정을 통해서, 이 연구는 조립형 흙블록이 기존의 벽돌이나 시멘트 블록의 좋은 대안이 될 수 있음을 조명하고 있다. 향후 본격적으로 자조 주택 건축재로 적용되는 경우, 가구나 공동체 규모에서 건축재 생산 및 시공 시에 발생하는 온실가스를 줄이는 환경적 효과가 예상되며, 건축 비용 및 물류 비용이 절감되고 커뮤니티 비즈니스화하는 경우에 부가 소득이 창출되는 사회경제적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접근을 통해서 주거 취약층의 자조 주택 건립을 촉진하고 정부 주거개선 프로그램과의 연계를 통해서 인도네시아의 주거 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지하역사 승강장 및 대합실 평상시 비상시 급·배기 환기 Large Eddy Simulation (LARGE EDDY SIMULATION OF ORDINARY & EMERGENCY VENTILATION FLOW IN UNDERGROUND SUBWAY STATION)

  • 장용준;류지민;박덕신
    • 한국전산유체공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72-78
    • /
    • 2013
  • The turbulent flow behavior of air supply and exhaustion in the Shin-gum-ho subway station is analyzed for ordinary and emergency state. The depth of Shin-gum-ho station is 43.6m which consists of the island-type platform(8th floor in underground) and a two-story lobby (first & second floor in underground). An emergency stairway connects between the platform and the lobby. Ventilation operation mode for ordinary state is set up as a combination of air supply and exhaustion in the lobby and platform, while for emergency state it is set up as a full air supply in the lobby and a full exhaustion in the platform. The entire station is covered for simulation. The ventilation diffusers are modeled as 95 square shapes of $0.6m{\times}0.6m$ in the lobby and as 222 square shapes of $0.6m{\times}0.6m$ and 4 rectangular shapes of $1.2m{\times}0.8m$ in the platform. The total of 7.5million grids are generated and whole domain is divided to 22 blocks for MPI efficiency of calculation. Large eddy simulation(LES) is applied to solve the momentum equation and Smagorinsky model($C_s$=0.2) is used as SGS(subgrid scale) model. The time-averaged velocity fields are compared to experimental data and show a good agreement with it.

투수효과를 고려한 친환경 콘크리트 블록 개발 (Development of Eco-Concrete Block Consider of Infiltration Effect)

  • 문영일;유경희;윤선권;손찬영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1년도 학술발표회
    • /
    • pp.304-304
    • /
    • 2011
  • 최근 도시화에 따른 인구증가와 더불어 도로포장 등 불투수면적의 증가로 인하여 우기시 빗물 침투가 차단되어 도심의 지하수위가 저하되며 토양의 건토화, 열섬현상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투수효과를 최대한 고려할 수 있는 고강도의 친환경 콘크리트 블록(에크스톤 바이오 블록; ECOSTONE-BIO BLOCK)을 개발하였으며 기존 콘크리트 블록의 자연적 빗물침투 억제의 문제점을 일부 개선하였다. 본 블록은 캡슐공법을 사용하여, 공극률은 높이면서(투수성 향상), 강도와 내구성이 유지됨은 물론 캡슐안에 황토성분을 첨가하여, 바이오적인 기능 및 재생골재를 이용한 친환경적 제품으로 투수성, 내구성, 기능성을 극대화 시켰다. 또한 제품표면은 천연 백색돌맹이, 흑색돌맹이의 배합으로 자연석재 느낌을 구현하였으며, 쇼트블라스트 및 커링 표면공정으로 미끄럼저항지수를 조절할 수 있어, 기존 콘크리트 보도블록에 비해 투수율, 내구성, 기능성, 안전성이 우수하여, 안전한 보행환경이 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주변 환경과 잘 어울리도록 디자인된 바이오기능성 친환경 블록으로 도심지역 시공시 투수효과에 따른 지하수고갈방지 및 침수피해에 도움을 주리라 사료된다.

  • PDF

양친성 블록공중합체를 이용한 소수성 오염원제거 (Removal of Hydrophobic Contaminant using Amphiphilic Block Copolymer)

  • 이준협;심재열;김영욱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5권3호
    • /
    • pp.15-19
    • /
    • 2014
  • 지반오염에 대한 사례가 점점 증가하고 이에 따른 대책공법에 대한 연구가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수성 오염원으로 오염된 토양의 정화를 위해 친환경 양친성 블록공중합체의 개발 및 적용에 관하여 평가하였다. 오염원으로는 디이젤을 사용하였으며, 임의로 오염시킨 흙에 네 종류의 양친성 블록공중합체를 개발 및 적용하여 정화능력을 실내실험을 통하여 평가하였다. 오염된 토양을 기존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정화하고 개발된 양친성 블록공중합체의 정화능력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개발된 고분자 재료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정화능력을 보였으며, 기존 계면활성제와 비슷한 정화도를 나타내 이를 활용한 새로운 친환경적 정화재제 개발의 기초를 확립하였다.

기능성블록을 이용한 잠제의 수리학적 특성 (The Hydraulic Characteristics of a Submerged Breakwater Covered with Multi-Function Blocks)

  • 손병규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47-52
    • /
    • 2007
  • This paper presents the design of a submerged breakwater, which functions as an eco-structure in a marine environment. Newly patented blocks were used in the submerged breakwater to both make it stable and provide an inhabitable space for fish. To investigate the wave transmission of the proposed submerged breakwater, parametric studies were conducted through two-dimensional hydraulic tests, which were carried out at the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NFRDI) in South Korea. Those parameters are relative crest width (B/L), wave steepness (H/L), relative crest depth (hB/H), and submerged breakwater configuration. The hydraulic experimental results can be used to predict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submerged breakwater covered with the multi-function blocks.

환경 친화형 하이솔리드 아크릴수지의 합성과 아크릴 우레탄 도료의 경화 특성 (Synthesis of Eco-Friendly High Solid Acrylic Resins and Curing Properties of Acrylic Urethane Resin Coatings)

  • 김진욱;이동찬;최중소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5권5호
    • /
    • pp.586-592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n-butyl acrylate (BA), methyl methacrylate (MMA), 2-hydroxypropyl methacrylate (HPMA) 및 acetoacetoxyethyl methacrylate(AAEM) 단량체를 부가 중합시켜 고형분이 75%인 아크릴수지를 합성하였다. 이때, 아크릴수지의 유리전이온도($T_g$)를 20, 30, $40^{\circ}C$로, 수산기가(OH value)를 60, 90, 120으로 변화시켰다. 그 결과, 아크릴수지의 점성도는 $T_g$와 수산기가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합성된 아크릴수지는 높은 가교밀도를 갖도록 설계되어 고탄력성과 고내구성을 유지하였다. 가교된 아크릴수지는 블록이소시아네이트(Desmodur BL-3175)와 경화 반응시켜 아크릴 우레탄 투명 도료를 제조하는데 사용되었다. 도료에 대하여 점성도, 접착성, 연필경도 및 $60^{\circ}$ 경면광택도 등의 측정을 통해 물리적 특성을 분석하였고, 아크릴 우레탄 투명 도료는 코일코팅용 상도 도료로서 적용되기 위하여 시편으로 제조되어 다양한 특성이 평가되었다. 제조된 도료는 접착력이 뛰어났고, $60^{\circ}$ 경면광택도와 연필경도에서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었으며, 환경 친화적이었다.

콘크리트 블록 접촉면의 전단특성 (Shear Behavior Characteristics of Interface between Two Concrete-blocks)

  • 이승현;김병일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4권6호
    • /
    • pp.69-75
    • /
    • 2008
  • 분리형부재 보강토 옹벽(SRW)을 구성하는 생태축조블록 접촉면에 대한 전단시험을 수행하였다. 전단이 발생하는 두 개의 블록 사이의 접촉면조건은 두 블록을 직접 접촉시키는 경우와 블록 사이에 고무패드를 설치한 경우 그리고 블록 사이에 고무패드와 전단키를 설치한 각각 3가지 접촉면 조건을 고려하였다. 전단시험에 따르면 두개의 블록을 직접 접촉시킨 경우 전단하중-전단변위 관계가 탄성-완전소성형태와 유사하였으며 블록 사이의 접촉면에 고무패드를 설치한 경우 전단하중-전단변위 관계는 연성거동을 보였다. 블록과 블록을 직접 접촉시킨 경우와 블록과 블록 사이의 접촉면에 고무패드를 설치한 경우 그리고 블록과 블록 접촉면 사이에 고무패드와 전단키를 설치한 경우에 대한 최소 전단저항력과 겉보기 마찰각은 각각 1.7kN/m, $27.6^{\circ}$와 4.2kN/m, $26.2^{\circ}$ 그리고 20.9kN/m, $26.0^{\circ}$이었다.

The data transparency of RPS using blockchain method

  • Kang, Dae-Ho;Cho, Kyu-Cheol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3호
    • /
    • pp.81-88
    • /
    • 2020
  • Renewable Portfolio Standard(이하, RPS)는 오래 전부터 시행 중인 친환경 에너지 사업이다. 현재의 RPS는 다양한 기관에서 접근하는 사업임에도 불구하고 중앙집중화의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사용자 입장에서 데이터 접근의 불투명성이 존재한다. 그리고 데이터베이스 또한 각자의 기관에서 필요한 정보를 각자가 소유하고 있다. 그렇기에 시간의 경과에 따라 데이터양이 늘어남으로 더욱더 통합적인 관리가 필요해졌다. 또한, 각자의 기관에서 유지 중인 서버가 공격을 당할 시에 RPS 업무의 중지라는 위험이 존재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본 논문은 블록체인을 이용한 RPS를 제안한다. 컨소시엄 방식의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블록 데이터 안에 Renewable Energy Certificate(이하, REC) 데이터를 삽입하여 모든 기관이 동일한 데이터를 소지하고 있고, 해당 블록들의 검증을 통해서 거래가 이루어지므로 투명성과 보안의 문제점 해소가 가능하다. 그리고 어느 하나의 기관이 외부적인 공격으로 인해 서버의 작동이 중단되는 경우에도 다른 기관이 해당 역할을 대체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이더리움 네트워크를 통해 블록 안에 데이터를 넣는 과정을 실험하였으며, 이를 통해 RPS에 블록체인 기법을 도입하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부산연제우체국청사 조경설계 (Landscape Design of Busan Yeonje Post Office)

  • 김정수;최연철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09-118
    • /
    • 2003
  • This design is for the landscape of Busan Yeonje Post Office. The design requirements were: the preparation of an open space, the expression of regional identity, total design concept, and application of environmentally-friendly materials. The Busan Yeonje Post Office is not a just post office building but also a place for people including a communications center, rental offices, and a post office, facilities which require publicity, functionality, and symbolism. Therefore, this design reflected the design requirements, and considered the following to include the theme of "Pleasant messages and a pleasant post office with vitality and comfort. First, the open space was to be increased in the adjacent public vacant lot and street park by pulling back the construction line. In this way, the publicity, accessibility, and spatiality of the prepared open space were strengthened. Second, a sense of place for the landscape was expressed through the image of a wave representing Busan, a coastal town. Recognition of the space was strengthened, while regional identity and the concept of transmission of information were expressed. In addition, Citrus junos Sieb., representing 'Happy news' was Planted as a symbolic tree to denote a meaningful resting Place. Third, with respect to the design of reception facilities, considering the general purposes of the construction, post office stamps, envelopes, and postal delivery persons were portrayed on the walls, decorative walls, and environmental formations respectively The flooring was decorated with stamps and waves in keeping with of the total design concept. Fourth, to select environmentally-friendly materials, soil block and eco-grass block were introduced as major paving materials, and folk kinds of trees were included on site. According to the aforesaid plans, the researcher attempted to convert the public agency and office space characterized by feelings of dullness and rigidity into a soft and vivid outdoor space. It is expected that the location will be an open place in the downtown area and be recognized as a 'shared' space for citizens of Yeonje-g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