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ating snack behaviors

검색결과 84건 처리시간 0.024초

안산지역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식행동과의 상관성 (Correlation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and Eating Behavior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Ansan Area)

  • 김은지;김성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7호
    • /
    • pp.1007-1015
    • /
    • 2015
  • 안산시에 위치한 2개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5, 6학년 288명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중독과 식행동(식습관, 생활습관, 영양지식)과의 상관성에 대해 조사한 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스마트폰 중독군과 일반군은 29명(10.1%)과 259명(89.9%)이었으며 스마트폰 평일 평균 사용시간은 일반군(평일 '1~2시간 미만', 33.2%)에 비해 중독군(평일 '2~3시간 미만', 37.9%)이 많았다(P<0.01). 주말 평균 사용시간 또한 중독군('4시간 이상', 37.9%)이 일반군('1~2시간 미만', 30.1%)에 비해 많았다(P<0.001). 식사 시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경우도 일반군(25.5%)에 비해 중독군(48.3%)이 많았으며(P<0.01), 스마트폰 사용에 따른 결식 또한 일반군(10.4%)에 비해 중독군(27.6%)의 비율이 높았다(P<0.01). 간식섭취 횟수는 두 그룹 모두 하루에 1~2회가 가장 많았으나 하루에 5회 이상의 섭취자가 일반군(2.7%)에 비해 중독군(13.8%)의 비율이 높았다(P<0.05). 스마트폰 중독 여부에 따른 식습관 점수 결과는 전체적으로 볼 때 좋은 식습관 점수는 중독군(2.23점)에 비해 일반군(2.42점)의 점수가 높게 나타난 반면(P<0.05), 나쁜 식습관 점수는 일반군(1.53점)에 비해 중독군(1.68점)이 높게 나타났다(P<0.05). '스마트폰 사용으로 인해 생활습관 중 수면방해를 받습니까?'의 질문에 '그렇다' 혹은 '매우 그렇다'고 응답한 비율은 일반군(6.1%)에 비해 중독군(31.0%)의 비율이 높았으며(P<0.001), 스마트폰 사용으로 인한 신체활동의 감소 여부 또한 '그렇다' 혹은 '매우 그렇다'고 응답한 비율은 일반군(5.4%)에 비해 중독군(17.2%)의 비율이 높았다(P<0.001). 스마트폰 중독 여부에 따른 영양지식 점수는 전체적으로 볼 때 중독군(8.86점)에 비해 일반군(10.19점)의 영양지식 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3대 영양소에 관한 지식 중 '단백질은 근육과 피를 만든다'는 질문에 대한 점수가 중독군(0.31점)에 비해 일반군(0.52점)이 유의적으로 높은 점수 결과를 나타냈으며(P<0.05), 생활습관과 관련된 질문인 '하루에 필요한 영양소를 하루의 한 끼니에 먹어도 상관없다'는 질문에 대한 점수가 중독군(0.55점)에 비해 일반군(0.79점)이 높았다(P<0.05). 스마트폰 중독 여부에 따른 스마트폰 사용시간과 식습관, 생활습관 및 영양지식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중독군(+0.742)(P<0.001)과 일반군(+0.762)(P<0.001) 모두 평일 사용시간이 많을수록 주말 사용시간이 증가하였다. 또한 중독군은 평일 사용시간이 증가할수록 간식섭취 횟수가 증가하였다(+0.460)(P<0.05). 일반군은 평일 사용시간이 증가할수록 수면시간이 감소하였으며(-0.150)(P<0.05), 주말 사용시간이 많을수록 좋은 식습관 점수(-0.143)(P<0.05)와 수면시간(-0.131)(P<0.05)이 동시에 감소하였다. 본 연구 결과 안산 일부지역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초등학생들의 스마트폰 중독은 식습관, 생활습관 및 영양지식과의 높은 상관성을 나타냈다. 따라서 스마트폰 중독으로 인한 잘못된 식습관 및 생활습관의 해결을 위해서는 국가차원의 스마트폰 중독 예방 정책과 더불어 학생 및 학부모를 대상으로 한 적극적인 영양교육프로그램의 실시가 요구된다.

광주지역 일부 청소년의 트랜스지방 함유 간식의 상대적 섭취빈도에 따른 식행동, 체성분 조성, 영양소 섭취량 비교 (Relationship among Consumption Frequency of Snacks Containing Trans Fatty Acid, Food Behaviors, Body Composition, and Nutrient Intakes of Adolescents Living in Kwang-ju Area)

  • 김복희;박복천;이소정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410-419
    • /
    • 2008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nsumption pattern of snacks-containing trans-fatty acid in adolescents living in the Kwang-ju area of Korea, and to analyze the relevance toward their eating behaviors, body composition, nutrient intakes, and consumption frequency of snacks-containing trans fatty acid. A survey questionnaire was developed in order to investigate general environmental factors, eating behavior, nutritional knowledge, and the consumption frequency of snacks-containing trans fatty acid. A total of 312 middle school students were surveyed. The collection rate was 97% and ultimately 282 cases were analyzed. Anthropometric measurements, body composition data, and nutrient intakes were also collected. The consumption frequencies for snacks-containing trans-fatty acid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food behavior scores (p<0.01) however, pocket money and snack intake frequency per day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consumption frequency. Also, snack consumption frequency had some correlation with the subjects' anthropometric measurements and body composition data such as total body water (p<0.01), body protein (p<0.01), body minerals (p<0.01), and skeletal muscle mass (p<0.01). Finally, the consumption frequency of snacks-containing trans fatty acid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calcium intake (p<0.05), it also showed correlations with vitamin A, retinol, ${\beta}-carotene$, and folic acid intake, although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not verified.

여대생의 단맛 인지도에 따른 식행동 및 간식류를 통한 당류 섭취량 평가 (Dietary Behaviors and Total Sugar Intake from Snacks of Female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Sweet Taste Perception)

  • 김미현;배윤정;연지영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67-274
    • /
    • 2016
  • Increasing sugar intake of population has become a nutritional issue in Korea. Sweet taste perception may be related to behaviors such as eating sweet food including high sugars and total sugar intake.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objective and subjective sweet taste perception and the association among objective sweet taste perception, dietary behaviors related to eating sweet snack food including high sugar, and total sugar intake from the snacks. Participants were 261 healthy female college students (mean age: $21.0{\pm}1.6years$), who were divided into three subgroups based on oral sweet taste evaluation using a sweet taste assessment tool provided by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sweet-seeker group (n=139), medium sweet-seeker group (n=54), and unsweet-seeker group (n=68).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weight and body mass index (BMI) among the three groups; however, the sweet-seeker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sweet taste preference than that of the other groups. Though more people in the sweet-seeker group thought they tended to eat sweet foods than the medium sweet-seeker and unsweet-seeker groups, over half of the sweet-seekers did not think they tended to eat sweet foods. The sweet-seeker group was more likely to eat sweet snacks such as breads, chocolate products, sugar-sweetened milk, and so on than the unsweet-seeker group. Total sugar intake from the selected sweet snacks was 44.4 g for the sweet-seeker group, 34.4 g for the medium sweet-seeker group, and 28.0 g for the unsweet-seeker group with a significant difference. These results indicated the absence of relationship between objective sweet taste perception and the obesity index; however, significant associations were detected among objective sweet taste perception, eating sweet snacks and total sugar intake from the snacks. We also found high disagreement between objective and subjective sweet taste perception of the subjects. The present study provided the novel insight that measuring objective sweet taste perception may be useful for assessing the risk of high sugar consumption and undesirable dietary behaviors.

전북 지역 한국 대학생과 중국 유학생의 식행동 및 생활 습관 비교 (Comparison of Dietary Behaviors and Lifestyles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and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in the Jeonbuk Area)

  • 노정옥;장은하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452-462
    • /
    • 2012
  • The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etary behaviors and lifestyles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and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in the Jeonbuk are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241 Korean university students and 198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Statistical data analysis was completed using SPSS v. 12.0. Breakfast-skipping among subjects was very common, and the most frequently given reason for skipping this meal was 'lack of time'. More than 85% of Korean male students and 75% of Korean female students reported regularly eating lunch in university canteens or restaurants around campus, whereas 86% of Chinese male students and 82% of Chinese female students regularly ate their lunches in university canteens or at home. About 62% of Korean male students, 72% of Korean female students, 48% of Chinese male students, and 70% of Chinese female students responded that they do not regularly eat dinner, the main reasons cited for this being 'irregularity of lifestyle' and 'part-time work'. Snack intake by the subjects was high. Beverages were the snack item most frequently consumed by Korean and Chinese male students, whereas cookies and fruits were most frequently consumed by Korean and Chinese female students. About 28% of Korean male students and 44% of Chinese male students were smokers, respectively. Half of Chinese female students drank alcohol once or twice a week. About 42% of Korean male students and 65% of Chinese male students played sports, respectively. Dietary behaviors and lifestyles of Korean and Chinese students tended to be very similar. Chinese students performed more health-oriented activities in comparison to Korean students. In conclusion, a practical and foreigner-friendly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 should be devised in order to correct the dietary behaviors and health-related lifestyles of Korean and Chinese students.

청소년의 건강행태와 구강질환 경험의 관련성 (Correlation between health behaviors and experiences of oral diseases in adolescents)

  • 김미소;박향숙;김윤신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513-521
    • /
    • 2015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health behaviors and experiences of oral diseases in Korean adolescents. Methods: This study used the results of the seventh, eighth, and ninth adolescent health behavior online survey which was completed by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targeting 222,264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eptember, 2011, June, 2012, and from June to July, 2013.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four questions of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ree questions of health behaviors, and four questions of eating habits. Data were analyzed by SPSS 18.0 program. Results: Oral health knowledge and behaviors were closely correlated to smoking, alcohol drinking, and toothbrushing after meal. Liking for fruit, soda, snack, and vegetabl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oral diseases. Smoking and alcohol drinking had a significant relation to oral disease prevalence rate. Conclusions: In Korea, the prevalence rate of oral diseases is still high in the adolescents. Therefore, continuous dental health education program is very important to decrease the oral disease morbidity. The incentive program for the adolescents will improve the concern for the oral health.

부산지역 외국인 유학생의 식습관 및 한국 식생활 적응 실태 연구 (Study of the Dietary Behaviors and Adaptation for Korean Foods among International Students in Busan)

  • 홍경희;이현숙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12-124
    • /
    • 2018
  • Despite the rapid increase in the number of foreign students, there has been a lack of research to help them adapt to Korean food culture and develop healthy eating habits. This study examined the dietary habits and problems of foreign students studying in universities of Korea. Although 97.0% of the 604 people surveyed live in dormitories, the visiting rate of the school cafeteria was low. In addition, only 30.2% of them ate three meals a day, and the frequency of eating midnight snack and convenience store foods was high. International students were positive about experiencing new Korean food, but food satisfaction in Korea was not high because of the difficulties in food selection due to religious problems and maladjustment to Korean sauces and seasonings. Information on Korean eating habits was obtained mainly from other foreign students from the same country (49.5%) and the Internet (33.8%), and there was very little interaction with Korean students at meals. The ratio of subjects who ate halal foods was 33.3%, and they were shown to have difficulty obtaining halal foods in Korea. Therefo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 support program should be developed in order to improve the dietary habits of international students.

거처지별로 비교한 대학생의 식생활 행태 (Comparison of Dietary Behaviors by Type of Residence among College Students)

  • 박영숙;이연화;현태선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0권5호
    • /
    • pp.391-404
    • /
    • 199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the dietary behavior of the college students by the type of the residence, that is, home-living, dormitory-living, and self-cooking. The responses of 307 students to the questionaire were analyzed. The average meal frequency of the students was 2.4 times a day. Breakfast was skipped most frequently, especially in dormitory-living and self-cooking students compared to home-living ones. Forty-three percent of the students were found to eat breakfast less than twice a week. Such a poor eating habit was mainly due to insufficient time or idleness. When the quality of the meal was evaluated, dormitory-living and self-cooking students had worse scores than home-living ones. The formers had poor dietary habit in terms of balanced breakfast and food diversity of each meal compared to the latter. Fast foods and coffee were consumed more frequently by dormitory-living and self-cooking students than home-living ones. The main food they eat was rice. However, female dormitory-living students had a higher tendency to enjoy bread for breakfast and noodle for dinner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Home-living and self-cooking students had snack more frequently than dormitory-living ones, and female than male. In terms of snack time, most of the respondents had snack between lunch and dinner or after dinner. The percentage of those who had snack after dinner was greater in dormitory-living and self-cooking students than home-living students. Results of the food preference test showed that their favorite dishes were fruit salad, Bulgogi, uncurdled Tofu stew, Kimbab, and boiled rice. We observed that dormitory-living and self-cooking students had more problems in their dietary behavior. Therefore, they need to learn how to manage their own meals. This study might be helpful to develop nutrition education materials for the dietary improvement of the college students.

  • PDF

여대생의 체형별 식품영양섭취와 식행동 (A Study on the Nutrient Intake and Eating Behaviors of the 3 Groups)

  • 이병순;이연숙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441-446
    • /
    • 1996
  • 본 연구는 여대생을 대상으로 야윈형(BMI 20 미만), 정상형(BMI 20∼25), 비만형(BMI 25 이상)을 각각 41, 48, 58명씩 총 147명을 선정하여 체형에 따른 식품 영양 섭취 실태와 식행동을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1일 총 식품 섭취량중 아침과 간식은 체형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P<0.01) 한국인 영양 권장량에 비해 일부 영양소(야윈형은 단백질, 인, 정상형은 인, 비만형은 단백질, 인)만 권장량 이상을 섭취하였다. 모든 체형에서 대부분의 영양소량이 권장량 이하로 나타나 여대생의 영양섭취가 불균형으로 나타났다. 체형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낸 영양소의 섭취는 단백질(p<0.01)과 칼슘(p<0.05)으로 단백질은 비만형이 가장 많이 섭취하였으나, 칼슘은 야윈형이 가장 만이 섭취하였다. 2. 모든 체형에서 열량은 영양권장량 이하로 섭취하였고, 체형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간식으로부터의 열량섭취는 체형별 차이가 나타나 비만형이 간식으로부터 가장 많은 열량을 섭취하였다.(p<0.05) 3. 본인의 체형에 대한 인식은 체형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지만 과소인식형보다 과대인식형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과대인식형은 야윈형에서 61.0%, 과소 인식형은 비만형에서 17.2%로 나타났다.(p<0.01) 4. 영양소 섭취에 직, 간접으로 영향을 주는 결식, 편식, 식사의 불규칙성에 대하여 자신의 인식 정도와 3일간의 식이섭취 조사에서 밝혀진 문제점을 비교한 결과, 편식에 대한 인식은 비교적 정확하였으나 결식과 식사의 불규칙성에 대한 인식은 정확하지 않았다. 이상과 같이 여대생은 자신의 식행동과 체형에 대한 인식이 정확하지 않았고 영양섭취도 대부분이 권장량 이하였으므로 앞으로 올바른 식생활을 위한 영양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학교급식이 초등학생의 식행동에 미친 영향에 대한 아동과 어머니의 인식 비교 (A Comparison of the Perceptions of Children and Their Mothers of the Effects of School Lunch Programs on Children's Dietary Behaviors)

  • 김무환;이경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636-644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아동과 어머니를 대상으로 학교급식이 아동의 식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ㆍ비교하여 초등학교에서의 바람직한 급식지도와 학교급식의 균형적인 목적 달성을 위한 식생활교육 방향 설정에 도움이 되는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초등학교 6학년생 425명 (남자 215명, 여자 210명)과 어머니 412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학교급식은 초등학생들에게 식사에 대해 바른 이해를 도모하며 편식교정에 효과적이고 간식 섭취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또한 학교급식을 통하여 초등학생들은 바람직한 식생활태도와 식사예절을 지니게 되었으며 아동의 식생활 위생 관리에도 효과적이었다. 그러나 간식 섭취 (간식의 시기, 간식으로 적합한 식품의 선택과 적절한 양), 아침 식사 반드시 하기, 식사중 책이나 텔레비전 시청하지 않기, 어른이 드신 후 식사하기 등 가정에서의 식사와 관련이 큰 항목들에 있어서는 ‘급식 후에도 여전히 그렇지 않다’는 의견이 다른 항목에서보다 많아 이에 대한 보다 세심한 지도가 필요하며 특히 바람직한 식습관 형성과 올바른 식사 방법 지도에서 학교급식이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가정과 연계한 지속적인 지도가 있어야 하겠다. 학교급식이 아동의 식행동에 미치는 효과는 아동성별간이나 어머니의 직업 유무에 따라서는 단지 몇 항목을 제외하고는 차이가 없었으나 아동과 어머니간에는 2개 항목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아동보다 어머니들이 학교급식이 아동의 식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더 긍정적이었다. 이는 최근의 어머니들은 과거에 비해 아동의 식생활교육에 대해 학교교육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론적으로 학교급식은 어릴 때부터 아동들의 잘못된 식행동을 바로 잡아 신체적, 정신적인 성장 발달의 정상화를 이루고 보다 좋은 식습관을 형성시키는 데 도움을 준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성장기 아동의 식생활 습관이 성인기의 건강에까지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고려하여 앞으로 영양사 뿐 아니라 초등 교사들도 학교 급식을 하나의 교육활동으로 간주하여 보다 적극적 인 자세로 지도에 임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되며 이러한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가정과 연계한 지도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중학생의 간식구매행동, 식품과 영양표시의 이해도 - 나주지역 일부학생들을 대상으로 - (A study on Snack Purchasing Behavior, Understanding of Food and Nutrition Labeling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Naju Area)

  • 정난희;김양주;전은례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1-19
    • /
    • 2014
  • 본 연구는 전남 나주지역 중학생 424명을 대상으로 일반적 사항, 중학생의 간식 구매행동과 섭취횟수, 간식 구매태도, 식품과 영양표시의 이해에 관한 설문지를 통해 조사하여 청소년들이 올바른 식품을 선택하고 구매하는데 도움을 주고, 영양표시에 대한 인식과 활용을 향상시킬 뿐 아니라, 식생활교육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성별에 따른 간식 구입장소는 성별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5), 남 여 모두 편의점이 높게 나타났으며 하루 간식비는 남 여 모두 2,000원 이하가 가장 많았다. 간식 섭취횟수는 김밥이 남 여학생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p<.05), 남학생은 일주일에 1~2회 먹는다가 가장 많았고 여학생은 한달에 1~2회 먹는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남학생은 일주일에 1~2회 섭취하는 간식으로 음료와 면, 과자, 빵, 김밥 순으로 조사되었고 여학생은 과자, 음료, 면, 빵 순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간식 구매태도는 남학생 평균 2.76, 여학생 평균 2.87로 나타나 보통 이하 수준이었다. 성별에 따른 식품표시 확인 여부는 남 여 모두 확인하지 않는다가 높았고, 식품표시 확인 항목 중 가장 먼저 확인하는 것은 유통기한이었다. 성별에 따른 식품표시를 확인하는 이유도 유통기한이 가장 많았으며 식품표시를 확인하지 않는 이유는 습관적인 구매가 많았고 식품표시 내용이 어려운 이유는 글씨가 작고, 표시방법이 다양해서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간식비에 따른 식품표시에 대한 이해는 간식비의 차이에 상관없이 식품표시를 확인하지 않는 학생이 많았으며, 식품표시 내용이 어려운 이유에 대해서는 간식비의 정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p<.05) 간식비가 적은 집단에서 글씨가 작고, 표시방법이 다양해서가 높게 나타났다. 간식 구매태도에 따른 식품표시에 대한 이해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01) 간식 구매태도 점수가 낮을수록 식품표시를 확인하지 않았다. 성별에 따른 영양표시 확인 시 가장 먼저 확인하는 것은 성별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1), 남 여학생 모두 열량이 가장 높았으며 여학생이 열량을 더 많이 확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양표시를 확인하는 이유는 성별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p<.001) 체중관리를 위해서, 건강관리를 위해서 순으로 나타났고 특히, 체중관리를 위해서는 여학생이 두드러지게 높게 나타났다. 간식비에 따라 영양표시를 읽어 본 경험(p<.01), 영양표시 필요성에 대한 인식(p<.001)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식품/영양표시 교육 및 홍보 필요성 인식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p<.05) 간식비의 정도에 관계없이 모두 필요하다가 높게 나타났으며 간식비가 적을수록 필요하다가 높았다. 간식 구매태도에 따른 영양표시를 확인하는 이유는 체중관리를 위해서가 가장 높아 유의한 차이(p<.001)를 보였다. 영양표시 필요성에 대한 인식(p<.001)과 식품/영양표시 교육 및 홍보 필요성 인식(p<.01) 또한 세 집단에서 높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영양표시 인식 여부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p<.001) 간식 구매태도 점수가 높은 집단일수록 알고 있다가 높았고, 영양표시를 읽어본 경험도 간식 구매태도 점수가 높은 집단일수록 읽어본 경험이 높게 나타났다. 영양표시를 확인하는 이유는 세 집단 모두 체중관리를 위해서가 유의한 차이(p<.001)를 보였다. 식품/영양표시 교육 및 홍보 필요성 인식 또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p<.01) 간식 구매태도 세 집단에서 모두 높게 나타났다. 위와 같은 결과로부터, 보다 적극적인 식생활 교육 필요성과 식품 및 영양표시 등을 확인하고 올바르게 선택할 수 있는 실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해하기 쉽고 보기 편한 식품 및 영양표시 방법의 제도 개선이 필요하고, 학부모 교육도 병행되어야 한다고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