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astern. channel

검색결과 85건 처리시간 0.027초

East Asian Communication Technology Use and Cultural Values

  • Danowski, James A.;Park, Han Woo
    • Journal of Contemporary Eastern Asia
    • /
    • 제19권1호
    • /
    • pp.43-58
    • /
    • 2020
  • This study examines media used for information in the East Asian countries of China, Japan, South Korea, Taiwan, and Singapore, using data from the World Values Survey. The sharing of Confucian culture may lead to a uniform media structure across these nations. Another possibility is technological determinism, which would also lead to similarity across nations. However, it is possible that countries are at different stages of technology development and will eventually become more similar. An opposing notion is that differences in other values among nations predict digital media use. To examine the evidence considering these possibilities, we factor analyze each population's use of nine traditional and digital media to see how similar the structures are. What results is a three-dimensional solution for four out of five countries, except Singapore, which has a more simple two-dimensional structure. Analysts regard Singapore as the most digitally connected society, which raises the question as to whether it is higher on a technological development trajectory, to which other countries may transition. Perhaps a more simple media use structure is an adaptation to increasing information load. As well, as mobile devices have become a primary means of accessing the range of traditional and social media, it may have an expanded role in reducing media channel entropy. In terms of frequency of media use, Singapore is highest, while China is the lowest. Singapore stands out in high mobile use, and China for low Internet use. There appear to be developmental differences across the nations. Regressions on Internet use for 18 values indices find different values predictors in the East Asian countries, ruling out Confucianism as producing similar media patterns.

강화 동검도 동부 갯벌의 퇴적 특성 변화 (Changes in Sediment Characteristics in the Eastern Tidal Flat of Donggum Island in Ganghwa, west coast of Korea)

  • 우한준;장석;권수재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375-384
    • /
    • 2012
  • 강화 갯벌의 퇴적작용은 주변의 대규모 건설로 인하여 지난 20여년 동안 변화되어 왔다. 강화 갯벌 동부와 염하수로 하류에 위치한 동검 갯벌의 퇴적환경은 조류와 하구 순환의 변화에 의하여 영향을 받았다. 그 결과 동검 갯벌에 급격한 퇴적이 일어났다. 두 개의 코어 퇴적물 상부에 나타나는 실트-점토 호층 엽리 실트 퇴적상은 동검 갯벌에서 상대적으로 많은 퇴적이 있었음을 나타냈다. $^{210}Pb$ 분석에 의한 두 개 코어 시료의 퇴적률은 정점3에서 3.25cm/year와 정점 5에서 3.47cm/year 였다. 그러나 2010년부터 2012년까지의 단기 퇴적률은 대부분 1cm/year 미만으로 상대적으로 낮은 비율의 퇴적을 나타내고 있었다. 결과적으로, 동검 갯벌의 퇴적물은 2000년대에 인공구조물 건설에 의하여 급격히 퇴적되었다. 현재 동검 갯벌의 고도 증가는 계절 변화를 가진 상대적으로 낮은 퇴적률을 보여 주고 있다.

수하식 큰가리비 양식의 채롱간 조류의 흐름 간섭현상 규명 (Investigation of interference current distribution in a long line scallop cage aquaculture)

  • 김현영;오봉세;차봉진;박미선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73-279
    • /
    • 2014
  • The mass mortalities have been occurring of Korean scallop Patinopecten yessoensis from 1997's to now in Korea east sea. Cages behavior and interference effect (common name; curtain effect) between scallop cages were investigated in culture grounds on the eastern coastal waters of Korea for understand to mechanism of rising about mass mortalities of Korean scallop quickly. The first experiment was carried out in circulating water channel to assess inclination angel from relationship between velocity and cages interval, velocity with culture cages position. An angle of inclination of scallop culture cages were 94.6 to 92.3 degree under a several velocity which were from 0.1 m/s and 131.9 to 118.1 degree under 0.5 m/s with cages interval were 1 m, 94.3 to 91.0 degree under velocity is 0.1 m/s and 133.2 to 122.4 degree under 0.5 m/s with cages interval were 1.5 m and 94.6 to 96.4 degree under velocity is 0.1 m/s and 131.7 to 131.8 under 0.5 m/s with cages interval were 2 m. The second experiment was designed to prove the tank test. Velocities were measured inside and outside of the scallop culture ground at eastern sea of Korea. The velocity of inside of the culture was the slowest as 0.1m/s. In this result, interference between former cage and after cage was occurred.

동해안 하천 하구부의 하천재해 방지를 위한 수리특성 분석 (Hydraulic Characteristic Analysis for Prevention of River Disaster at Estuary in the Eastern Coast of Korea)

  • 최종호;전계원;윤영호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11권2호
    • /
    • pp.83-89
    • /
    • 2018
  • 동해안 하천의 하구는 토사퇴적이 현저하게 진행되는 곳으로 하천과 바다의 소통이 단절되는 하구폐색현상이 발생하는 곳이 많다. 하구폐색은 수역을 정체시켜 수질악화 및 홍수시 안전도를 위협하는 등 하천 환경적으로 위험지역을 형성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하구폐색에 의해 방재기능이 상실 된 하구를 대상으로, 안정하도를 유지하고 홍수량을 안전하게 소통시킬 수 있도록 하구사주 부근의 유심부를 기준으로 유로의 위치와 폭 등을 변화하여 가장 안정된 흐름을 형성할 수 있는 유로의 형태를 찾고 그 결과를 검토하기 위해 2차원 수리학적 해석 모형인 SRH-2D(ver 3.0) 모형을 이용하여 수치모의를 수행하였다. 모의결과 유심부 주변 하구사주의 하상고를 전체적으로 동일하게 낮춰 주는 방법이 수리특성의 변동에 민감하지 않고 유수를 원활히 소통시키는데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나타났다.

거제-남해간 해저퇴적물의 퇴적환경에 관한 연구 (Depositional Environments of the Continental Shelf Sediments between Geoje and Namhae Islands)

  • 김대철;송시태;유병조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66-174
    • /
    • 1987
  • 본 조사해역 퇴적물의 퇴적양상은 서측의 세립질 퇴적물과 남부의 조립질 퇴적물, 그리고 이 지역외에 세립질과 조립진 퇴적물이 혼합된 지역인 세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퇴적물의 분포상태는 서측이 주로 mud이고 남동측은 sandy mud와 muddy sand로 이루어져 있는 반면 최남부에는 사립질의 sand가 분포하는데, 이는 대체로 조류와 해류의 유속 및 유향과 지형적인 특성에 많은 영향을 받는것으로 보인다. 삼천포와 육지도 주변의 왜도가 negative skewness인 것은 강한 조류의 영향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욕지도 안쪽과 섬진강하구 퇴적물을 C-M diagram에 plot해 본 결과 섬진강하구와 육지도 동쪽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pelagic suspension의 형태로 운반 되었으나, 창선도와 삼천포 사이의 수로에서는 예외적인 현상이 나타나는데 이는 강한 조류때문에 나타나는 winnowing효과 때문으로 생각된다. 조직 표준치의 상관계수가 $0.76\~0.92$ 로서 매우 양호한 음의 상관관계를 가진다.

  • PDF

Nonlinear Tidal Characteristics along the Uldolmok Waterway off the Southwestern Tip of the Korean Peninsula

  • Kang, Sok-Kuh;Yum, Ki-Dai;So, Jae-Kwi;Song, Won-Oh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5권1호
    • /
    • pp.89-106
    • /
    • 2003
  • Analyses of tidal observations and a numerical model of the $M_2$ and $M_4$ tides in the Uldolmok waterway located at the southwestern tip of the Korean Peninsula are described. This waterway is well known fer its strong tidal flows of up to more than 10 knots at the narrowest part of the channel. Harmonic analysis of the observed water level at five tidal stations reveals dramatic changes in the amplitude and phase of the shallow water constituents at the station near the narrowest part, while survey results show a decreasing trend in local mean sea levels toward the narrow section. It was also observed that the amplitudes of semi-diurnal constituents, $M_2$ and $S_2$ are diminishing toward the narrowest part of the waterway. Two-dimensional numerical modeling shows that the $M_2$ energy flux is dominated by the component coming from the eastern boundary. The $M_2$ energy is inward from both open boundaries and is transported toward the narrow region of the channel, where it is frictionally dissipated or transferred to other constituents due to a strong non-linear advection effect. It is also shown that the $M_4$ generation is strong around the narrow region, and the abrupt decrease in the M4 amplitude in the region is due to a cancellation of the locally generated M4 with the component propagated from open boundaries. The superposition of both propagated and generated M4 contributions also explains the discontinuity of the M4 phase lag in the region. The tide-induced residual sea level change and the regeneration effect of the $M_2$ tide through interaction with $M_4$ are also examined.

수반 모델에 기반한 관측영향 진단법을 이용하여 동아시아 지역의 단기예보에 AMSU-A 자료 동화가 미치는 영향 분석 (Adjoint-Based Observation Impact of Advanced Microwave Sounding Unit-A (AMSU-A) on the Short-Range Forecast in East Asia)

  • 김성민;김현미
    • 대기
    • /
    • 제27권1호
    • /
    • pp.93-104
    • /
    • 2017
  • The effect of Advanced Microwave Sounding Unit-A (AMSU-A) observations on the short-range forecast in East Asia (EA) was investigated for the Northern Hemispheric (NH) summer and winter months, using the Forecast Sensitivity to Observations (FSO) method. For both periods, the contribution of radiosonde (TEMP) to the EA forecast was largest, followed by AIRCRAFT, AMSU-A, Infrared Atmospheric Sounding Interferometer (IASI), and the atmospheric motion vector of Communication, Ocean and Meteorological Satellite (COMS) or Multi-functional Transport Satellite (MTSAT). The contribution of AMSU-A sensor was largely originated from the NOAA 19, NOAA 18, and MetOp-A (NOAA 19 and 18) satellites in the NH summer (winter). The contribution of AMSU-A sensor on the MetOp-A (NOAA 18 and 19) satellites was large at 00 and 12 UTC (06 and 18 UTC) analysis times, which was associated with the scanning track of four satellites. The MetOp-A provided the radiance data over the Korea Peninsula in the morning (08:00~11:30 LST), which was important to the morning forecast. In the NH summer, the channel 5 observations on MetOp-A, NOAA 18, 19 along the seaside (along the ridge of the subtropical high) increased (decreased) the forecast error slightly (largely). In the NH winter, the channel 8 observations on NOAA 18 (NOAA 15 and MetOp-A) over the Eastern China (Tibetan Plateau) decreased (increased) the forecast error. The FSO provides useful information on the effect of each AMSU-A sensor on the EA forecasts, which leads guidance to better use of AMSU-A observations for EA regional numerical weather prediction.

해황과 어황에 미치는 댐 방수의 방향 (Influence of Dam Water Discharge on the Oceanography and Fishery)

  • 장선덕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49-55
    • /
    • 1971
  • 1969년 10월에 완성된 남강 다목점 댐과 방수로가 준공되어 1969년에 7회, 1970년에 3회 합계 10회에 걸쳐 1,359 $10^{6}$㎥ 이상의 담수를 진주만으로 방수하였다. 방수 속도는 최고 약 3,770㎥/sec 에 이르렀으며 1회 누적 방수량은 최고 4.50 $10^{6}$㎥ 이상에 달하였다. 이 결과 방수로 하류부와 연결되는 사천만 북부에서는 5kt 이상의 빠른 유속이 해저의 토사를 이동시켜 간석지와 해저의 지형을 변동시켰다. 양식장 시설물과 패류를 매몰, 유실 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하구 현상이 일어 났으며 2중조가 관측되었다. 어구의 파손, 발장의 도괴 및 어선의 조업 불능 등으로 피해가 막심하였다. 방수후 진주만의 염분은 급격히 하강하였으며 특히 사천만 에서는 밀물때에도 5 이하의 이상저염분수가 분포하였다. 현저한 조경이 이루어졌으며 반조석 주기에 4.6 에서 30 로 약 25 이상의 염분 급변이 있었다. 이와같은 염분의 저하와 급변은 동해역의 굴, 바지락 등 패류를 폐사시키고 멸치, 문어 등을 만외로 추방하는 원인이 되었으며, 내유 어군의 접근을 방해하였다. 염분의 저하는 해수의 밀도와 삼투압 환경을 급변 시키는 원인이 되었고, 투명도가 낮은 혼탁한 물덩이는 광선의 투입을 방해하여 광합성 작용을 억제할 것이다.

  • PDF

KAERI 채널형 전단벽체의 동적해석; 시스템판별, FE 모델향상 및 시간이력 응답 (Dynamic Analysis of a KAERI Channel Type Shear Wall: System Identification, FE Model Updating and Time-History Responses)

  • 조순호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25권3호
    • /
    • pp.145-152
    • /
    • 2021
  • KAERI has planned to carry out a series of dynamic tests using a shaking table and time-history analyses for a channel-type concrete shear wall to investigate its seismic performance because of the recently frequent occurrence of earthquakes in the south-eastern parts of Korea. The overall size of a test specimen is b×l×h =2500 mm×3500 mm×4500 mm, and it consists of three stories having slabs and walls with thicknesses of 140 mm and 150 mm, respectively. The system identification, FE model updating, and time-history analysis results for a test shear wall are presented herein. By applying the advanced system identification, so-called pLSCF, the improved modal parameters are extracted in the lower modes. Using three FE in-house packages, such as FEMtools, Ruaumoko, and VecTor4, the eigenanalyses are made for an initial FE model, resulting in consistency in eigenvalues. However, they exhibit relatively stiffer behavior, as much as 30 to 50% compared with those extracted from the test in the 1st and 2nd modes. The FE model updating is carried out to consider the 6-dofs spring stiffnesses at the wall base as major parameters by adopting a Bayesian type automatic updating algorithm to minimize the residuals in modal parameters. The updating results indicate that the highest sensitivity is apparent in the vertical translational springs at few locations ranging from 300 to 500% in variation. However, their changes seem to have no physical meaning because of the numerical values. Finally, using the updated FE model, the time-history responses are predicted by Ruaumoko at each floor where accelerometers are located. The accelerograms between test and analysis show an acceptable match in terms of maximum and minimum values. However, the magnitudes and patterns of floor response spectra seem somewhat different because of the slightly different input accelerograms and damping ratios involved.

한국 서해 강화 갯벌의 퇴적물 특성 (Characteristics of Sediments in the Kanghwa Tidal Flat on the west coast of Korea)

  • 우한준;박장준;이연규;제종길;최재웅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67-178
    • /
    • 2004
  • 강화 남단 갯벌은 우리나라 서해안의 가장 규모가 큰 갯벌 중의 하나이다. 조석은 전형적인 반일주조로 최대조차가 약 10m 이다. 강화 남단 갯벌은 한강 수계로부터 많은 양의 퇴적물이 유입된다. 연구지역에서 2003년 8월에 83개 정점에서 표층퇴적물을 채취하여 분석하였다. 표층퇴적물은 5개의 퇴적상으로 구성 되어 있었다. 일반적으로 모래 펄 퇴적물은 강화 남단 갯벌에서 우세하였고, 반면에 모래 퇴적물은 강화도 서부의 수로와 조하대에서 우세하였다. 이 지역의 1997년 8월 퇴적상과 비교하여 모래 펄 퇴적물은 갯벌의 동쪽으로 확장 되었다. 강화도 남단 갯벌에서 채취한 3점의 주상 시료에 대한 퇴적학적 분석 결과, 사층리 모래층, 실트-점토 호층 엽리 실트, 생물교란 실트등 세 개의 퇴적상이 인지되었다. 이들 퇴적상의 분포는 조수로 인근 지역이 전반적으로 퇴적률이 높으며, 특히 동검도 동쪽 갯벌에서 최근 급격한 퇴적 작용이 진행되고 있음을 지시하고 있다. 수리학적 관측을 위하여 2003년 6월에 염하수로의 초지대교 부근(K1)과 동검도 남부 수로(K2)에서 12시간 30분 동안 정선 관측을 실시하였다. 잔여유속 계산 결과 이 지역은 썰물이 강하게 나타났다. 각 수층의 부유물질 양에 의하여 계산된 순 부유퇴적물 이동양은 한 조석 주기 동안 염하수로에서는 외해로 309,217.9kg/m가 유출 되며, 동검도 남부 수로에서는 외해로 128,123.1kg/m가 유출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검도 남부 수로에 비하여 염하수로의 순 부유퇴적물 이동양이 높은 것은 갯벌의 동부에 한강에서 유입된 많은 부유물질이 퇴적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