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arth science education

검색결과 2,146건 처리시간 0.026초

SBF Conceptual Representation을 활용한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자연현상 개념 분석 (An Analysis of the Conceptions about the Nature Phenomenon Using SBF Conceptual Representation in the 6th Students)

  • 문병찬;김해경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8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is the 6th students' conceptions of the nature phenomenon focused on the systematic characteristics. For this study, 12 students of the 6th grades participated in special class for testing their conceptions about the water cycle in the earth system. And we analyzed the outcomes of students' conceptions based on SBF conceptual representat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most of the subjects perceived that the water cycle in earth system wasn't complex system maintaining its existence and functions as a whole through the interaction of its parts but simple system maintaining some actions between atmosphere and hydrosphere, geosphere, biosphere(biological world). And they didn't perceive the characteristics of the water cycle whose all parts must be presented the change of volume between vapor and water, glacier proposing the total hydro-volume are established in the earth system. Based on the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the main goals of the schools' science education should be to provide students who understand the water cycle system as attaching importance to form with the skills needed to coherent understanding of the essential qualities for the nature phenomenon system.

  • PDF

구조화된 문항을 이용한 지구과학 탐구능력 평가 도구 개발 (A Development of the Test of Earth Science Inquiry Abilities Using Structured Items)

  • 정철;우종옥;김정률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93-101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test of earth science inquiry abilities using structured items. To develop a more valid and reliable instrument factual data was used, and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regarding inquiry teaching method and inquiry evaluation were consulted. The model developed in this study is composed of 5 stages; recognizing problems and generating hypotheses, designing inquiry, pursuiting inquiry, interpreting data, and drawing conclusion. Also, in this study 10 science inquiry abilities; recognizing problems, generating hypotheses, controlling variables, designing experiments, performing experiments, transforming data, inferencing, predicting, conclusing, and generalizing were clearly defined. The test developed in the study, Test of Earth Science Inquiry Abilities, includes 25 multiple-choice (five-choice) items and requires testing time of 50 minutes. The content validity of items, objectivity of scoring keys and clarity of items were checked by 7 experienced specialists in science education and earth science. The developed test were investigated and revised through three field tes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third field trial, test reliability (Cronbach $\alpha$) was 0.62, difficulty index was 0.54 and index of discrimination was 0.35. Also, the developed Test of Earth Science Inquiry Abilities showed a correlation coefficient of 0.53 with TIPS.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Test of Earth Science Inquiry Abilities using structured items satisfie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requirements for general assessment instruments for students' earth science inquiry abilities.

  • PDF

고등학교 지구과학 선택과목 재구조화 연구 (Research on Reconstruction of Earth Science Elective Courses)

  • 김연화;곽영순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40-52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2025년 고교학점제의 전면도입에 직면한 고등학교 지구과학 선택과목의 변화 방향을 탐색하고 차기 교육과정 개정에 대비하여 지구과학 선택과목 재구조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지구과학교육 전문가 델파이 조사, 현장지구과학 교사설문 조사, 전문가 심층 면담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지구과학 선택과목 재구조화에서 고려해야 할 점으로 지구과학소양 함양, 학생 진로와 연계, 지구과학 자체의 재미, 학생선택률과 대학입시라는 4가지 키워드를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지구과학 선택과목의 구체적인 재구조화(안)으로 지구과학 소양을 강조하는 지구시스템과학, 그리고 교과내 진로 연계를 강화한 고체지구과학, 대기·해양과학, 우주과학의 총 4개 과목을 구성하였다. 고교학점제 도입으로 지구과학 과목의 선택률이 하락할 것이라는 우려를 해소하려면, 지구과학 선택과목의 진로 연계성을 높이는 등 지구과학 교과의 위상 재정립을 필요로 한다. 후속 연구에서는 지구과학 선택과목의 명칭과 핵심개념 등에 대한 정교화와 공론화가 필요하다.

창의적 사고 계발을 위한 고등학교 학습 프로그램 개발: 태양계 축소 모형을 중심으로 (The Development of High School Instructional Program for Increasing Creative Thinking Abilities: Focused on Building a Scale Model of the Solar System)

  • 김은주;이효녕;윤일희;강천덕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90-304
    • /
    • 2008
  • 이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들의 태양계 상대적인 크기를 쉽게 이해하고 창의적인 사고 능력을 키우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다. 프로그램은 태양계의 상대적 크기 영역에서 4개 주제와 8차시 분량으로 개발되었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구미시에 소재한 G 고등학교 10학년 155명에게 투입하였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개발된 프로그램 학습을 통해 학생들이 태양계 행성들의 상대적인 크기를 쉽게 이해할 수 있었고, 발산적 사고로부터 수렴적 사고로 이어지는 창의적 사고력을 향상 시켰다. 개발된 프로그램의 주제별 활동을 통하여 학생들에게 창의적 사고 능력의 배양과 태양계내의 행성간 거리와 크기에 대해 쉽게 학습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STRONOMY EDUCATION IN KOREAN EARTH SCIENCE CURRICULUM: FROM ELEMENTARY SCHOOL TO COLLEGE

  • CHOE SEUNG-URN
    • 천문학회지
    • /
    • 제29권spc1호
    • /
    • pp.445-449
    • /
    • 1996
  • We introduce the National Science Curriculum issued by the Education Ministry in Korea. Astronomy should be given and taught as compulsory courses in Nature of elementary school, Science of middle school, General Science of high school, and as elective courses in Earth Science I, II. Astronomy concepts have been designed in sprial pattern. College levels of astronomy have been given as majoring in astronomy course, cultivating one for earth science pre-teacher students and cultural subjects for non-major students

  • PDF

지구계와 환경문제에 대한 초등학교 과학영재학생들의 인식 (Gifted Elementary Students' Understandings about Earth Systems and Environmental Problems)

  • 정재화;이효녕;고수진;오영재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3권7호
    • /
    • pp.672-682
    • /
    • 2012
  • 이 연구의 목적은 지구계와 환경 문제에 대한 초등 영재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는 것이다. 대학부설영재교육원 소속 28명의 초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13개의 지구 환경 문제에 대한 지식수준, 심각성, 확실성, 체험 가능성에 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학생들이 그린 지구 이미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Draw-An-Earth Test 체크리스트를 개발하여 사용하였으며, 이미지를 구성하는 요소와 이미지에 담긴 의미를 분명하게 파악하기 위하여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DAET 체크리스트와 인터뷰 분석 결과 지구계의 구성요소에서 80개, 지구계의 상호작용에서 11개, 지구계의 소양 영역에서 4개의 요소가 확인되었다. 학생들은 지식 수준과 관련하여 대기 오염, 지구온난화, 수질 오염에 가장 잘 알고 있다고 하였으며, 지구온난화, 대기오염, 수질 오염을 가장 심각한 문제라고 하였다. 또한 산성비, 대기 오염, 수질 오염에 대하여 확실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산성비, 대기오염, 산림파괴에 대하여 체험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하여 교수 학습 측면에서 초등 과학 영재들이 지구계와 환경문제에 대하여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이해할 수 있었다.

계절 변화의 원인에 대한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선개념 조사 (The Investigation of Six Grade Students' Preconceptions about the Cause of Seasonal Change)

  • 채동현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0권2호
    • /
    • pp.204-212
    • /
    • 2011
  • This research is about the six graders' preconceptions in elementary school about a cause of the seasonal change before learning.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that the patterns of six graders's preconceptions in elementary school are earth's rotation, earth's revolu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earth and the sun and the location factor between the sun and our country, which are mixed up with two more things. Especially many patterns of students explain the seasonal change of our country using the change of location of our country by earth's rotation, the location factor between the earth and the sun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earth and the sun by earth's revolution.

대학생들이 인식하는 지구계 순환의 구성 개념 분석 (Analysis of Conceptions of Earth System Cycles as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 김윤지;정진우;위수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9권8호
    • /
    • pp.963-977
    • /
    • 2009
  • 이 연구의 목적은 지구계 교육의 학습자로서 대학생들의 지구계 순환에 대한 인식을 밝혀 교육에의 시사점을 찾는 것이다. 지구과학 교양 수업을 수강하는 62명의 비과학 전공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8주 동안 창의적 이야기 쓰기 활동을 실시하였다. 창의적 이야기는 스토리맵 그리기 방법으로 순환의 구성 개념과 유형을 분석하여 범주화 하였다. 지구계의 순환 구성 개념은 32가지로 매우 다양하게 표출되었고, 순환 유형은 원형과 복합형이 다수였으나 일부 사례는 순환 고리를 완성하지 못한 가지형과 선형으로 표현되었다. 지구계 순환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은 자연-생물계에 편향되어 있으며, 자연-생물계와 인간계의 3 범주를 모두 인식한 사례는 30% 미만으로 나타났다. 지구계 교육을 통해 인간 활동에 의한 피드백의 영향을 인지할 수 있도록 순환을 소재로 교수 내용을 다양화 하고, 학습자의 시스템 사고를 지원해야 하겠다.

블록형 코딩프로그램을 활용한 지구과학 수업에서 학생들의 컴퓨팅 사고력에 대한 인식 및 과학적 태도 변화 연구 (A Study on the Change of the Perception of Students' Computational Thinking and Scientific Attitudes in Earth Science Classes Using a Block-based Coding)

  • 한신;김형범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31-140
    • /
    • 2019
  • 이 연구에서는 창의교육의 일환으로 컴퓨팅 사고력을 개발할 수 있는 블록형 코딩프로그램을 활용해 지구과학 교수 학습에 적용하여 컴퓨팅 사고력에 대한 인식과 과학적 태도가 어떻게 변화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들에게 적용할 수 있는 블록형 코딩프로그램을 활용한 지구과학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총 12차시로 구성된 프로그램은 학생 활동중심의 문제를 제공하여 다양한 사고를 학생들이 유도할 수 있도록 탐구활동을 설계하였다. 둘째, 블록형 코딩프로그램을 활용한 지구과학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컴퓨터 프로그램 활용에 대한 자신감, 컴퓨터 활용통합학습, 컴퓨팅 사고력에 대한 자신감 및 컴퓨팅 사고력을 활용한 문제해결 요인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냈다. 셋째, 블록형 코딩프로그램을 활용한 지구과학 교육프로그램은 호기심, 비판성, 협동성, 끈기, 창의성 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것은 학생들이 문제를 접했을 때 의문을 갖고 이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효과를 나타낸 것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Conceptions of Nature of Science

  • Choi, Seong-Hee;Lee, Eun-Ah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00-107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gifted students' conceptions about nature of science (NOS).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who are expected to be professionals in the future should possess an adequate understanding of NOS that if firm foundation for scientific career. 47 volunteers from the 8th grade gifted science program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Gifted Education Center participated to answer questions inquiring NOS conceptions. Their answers were analyzed and compared to different groups such as non-gifted students and younger gifted students. As a result, gifted students' understanding of NOS appeared to surpass that of non-gifted students in many aspects and it seemed that gifted students formed their NOS view in early ages. The relative weakness in their NOS conceptions was found in understanding of scientific enterprise. Their strong misunderstanding about obstacles that minority people would face in scientific enterprise was noticed, too. They admitted that there has been discrimination in scientific enterprise, but they wrongly believed that outstanding scientists cannot be affected by it. Further studies will be required to probe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