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고등학교 지구과학 선택과목 재구조화 연구

Research on Reconstruction of Earth Science Elective Courses

  • 투고 : 2020.03.26
  • 심사 : 2020.04.22
  • 발행 : 2020.04.30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2025년 고교학점제의 전면도입에 직면한 고등학교 지구과학 선택과목의 변화 방향을 탐색하고 차기 교육과정 개정에 대비하여 지구과학 선택과목 재구조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지구과학교육 전문가 델파이 조사, 현장지구과학 교사설문 조사, 전문가 심층 면담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지구과학 선택과목 재구조화에서 고려해야 할 점으로 지구과학소양 함양, 학생 진로와 연계, 지구과학 자체의 재미, 학생선택률과 대학입시라는 4가지 키워드를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지구과학 선택과목의 구체적인 재구조화(안)으로 지구과학 소양을 강조하는 지구시스템과학, 그리고 교과내 진로 연계를 강화한 고체지구과학, 대기·해양과학, 우주과학의 총 4개 과목을 구성하였다. 고교학점제 도입으로 지구과학 과목의 선택률이 하락할 것이라는 우려를 해소하려면, 지구과학 선택과목의 진로 연계성을 높이는 등 지구과학 교과의 위상 재정립을 필요로 한다. 후속 연구에서는 지구과학 선택과목의 명칭과 핵심개념 등에 대한 정교화와 공론화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ays to change high school earth science elective courses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2025, and ways to restructure them in preparation for the next curriculum revision. For this purpose, Delphi surveys with earth science education experts, a survey with in-service earth science teacher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experts were conducted. According to the results, we need to consider four keywords such as cultivation of earth science literacy, connection with student career paths, emphasis on the fun of earth science itself, and student selection rate and college entrance exam in restructuring Earth science electives. Based on this direction, we composed four subjects: Earth System Science emphasizing earth science literacy, and three such subjects reinforcing career connection as Solid Earth Science, Atmospheric and Ocean Science, and Space Science. To resolve concerns about falling selection rate of earth science courses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t is necessary to re-establish the status of the earth science subjects including enhancing the career connection of the earth science electives. Follow-up studies are necessary to elaborate and publicize the titles and core concepts of Earth science elective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현석(2018). 고교학점제 이해와 안착 방안. 교육정책네트워크 이슈페이퍼 CP 2018-11, 한국교육개발원.
  2. 교육부(2017). 고교학점제 추진 방향 및 연구학교 운영 계획.
  3. 교육부.한국교육개발원(2019).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고교 교육력 제고 사업 발전 방안 연구. CR2019-06.
  4. 권오현, 박은지, 안성환, 유지연, 진동섭, 이상수, 김승환(2017). 진로.진학과 연계한 고교 선택 중심 교육과정 편성.운영 방안 연구. 정책연구 2016-위탁, 교육부.
  5. 김동욱(2019). 고교학점제 연구학교의 선택 교육과정 편성의 실제 및 학생선택 경향성 분석. 교육과정연구, 37(2), 131-157.
  6. 김두정 외(2014). 미래 사회 대비 교과 교육의 방향 및 과제 탐색을 위한 워크숍. 연구자료 ORM 2014-23, 한국교육과정평가원.
  7. 김란주, 서경혜(2018). 고교학점제를 통한 교육과정 혁신의 가능성과 한계. 교육과정연구, 36(1), 113-138.
  8. 김진숙, 이광우, 조보경, 이민형, 임유나(2018). 학점제 도입을 위한 고등학교 교육과정 재구조화 방안 연구. 연구보고 RRC 2018-8, 한국교육과정평가원.
  9. 박은지(2016). 과학을 즐기는 사람들: 성인의 과학 취미활동을 통한 과학적 소양이 되기 과정 탐색.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0. 박종원(2016). 과학적 소양에 대한 세 가지 논의-통합적 이해, 교육과정에의 정착, 시민 교육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6(3), 413-422. https://doi.org/10.14697/jkase.2016.36.3.0413
  11. 신동희, 이양락, 이기영, 이은아, 이규석(2005). 지구환경을 고려한 미래지향적 지구과학 교육과정 제안.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2), 239-259.
  12. 신세인, 하민수, 이준기(2018). 과학교육의 재미에 대한 재발견-재미의 의미와 가치를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8(5), 705-720. https://doi.org/10.14697/JKASE.2018.38.5.705
  13. 유미현, 신동희(2013). 고등학교 자연계열 학생들의 과학과목 선택 경향 파악. 교과교육학연구, 17, 595-618.
  14. 이광우, 김진숙, 이근호, 한혜정, 이주연, 김경자, 형인이(2017). 지능정보 사회 대응을 위한 중장기 고교 교육과정 방향 탐색 연구: 학습자 중심 고교학점제 실행 방향 및 과제. 연구보고 CRC 2017-9,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5. 이현(2018). 고교학점제 도입 추진 정책에 대한 비판적 검토. 교육비평, (41), 77-144.
  16. 지모선(2018). <동아시아사> 교육과정 개발 논의 연구: 2007년 과목 신설부터 2015년 개정까지.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7. 진재관 외(2006). 고등학교 사회과 선택중심 교육과정 개선 방안 연구. 연구보고 RRC 2006-5,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8. Earth Science Literacy Initiative (2010). Earth science literacy principles: The big ideas and supporting concepts of Earth science. Arlington, VA: National Science Foundation. Retrieved 10, October 2019 from htttp://www.earthscienceliteracy.org/es_literacy_6may10_.pdf
  19. Mayer, V. J. (1993). The future of the geoscience in the pre-college curricul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