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arly-stabilization

검색결과 155건 처리시간 0.027초

Effects of Three Different Hip Positions in Frontal Plane on Activity of Abdominal Muscles During Active Straight-Leg Raise

  • Yoon, Tae-Lim;Kim, Ki-Song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81-88
    • /
    • 2013
  • Active straight-leg raise (ASLR) is a physical evaluation procedure to test lumbar spine stability. Several previous studies have reported various methods to control the activation of abdominal muscles during ASLR.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ree different hip positions in frontal plane on abdominal muscles to increase or decrease the difficulty level of lumbar spine stability exercise during ASLR in pain free subjects. Eleven young and healthy subjects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is study (6 men, 5 women; mean age=$24.0{\pm}1.2$ years, height=$160.0{\pm}7.3cm$, weight=$55.0{\pm}10.6kg$, body mass index=$21.5{\pm}2.3kg/m^2$). The subjects had three trials on each ASLR with hip $10^{\circ}$ adduction, neutral hip, and hip $30^{\circ}$ abduction. Separate repeated-measures analysis of variance (ANOVA) and the post hoc Bonferroni tests (with ${\alpha}$=.05/3=.017) were performed for each muscle among the three different hip positions in frontal plane (ASLR with hip $10^{\circ}$ adduction, neutral hip, and hip $30^{\circ}$ abduction). The ipsilateral external oblique (EO), contralateral EO, ipsilateral internal oblique/transverse abdominis (IO/TrA), and contralateral IO/TrA were significantly greater in ASLR with hip $30^{\circ}$ abduction compared with ASLR with hip $10^{\circ}$ adduction. Also, the ipsilateral EO, contralateral EO, and ipsilateral IO/TrA were significantly greater in ASLR with hip $30^{\circ}$ abduction compared with ASLR with neutral hip. These results suggest that ASLR with hip $30^{\circ}$ abduction and neutral would be useful method to strengthen the EO and IO/TrA. And, ASLR with hip $10^{\circ}$ adduction would be effective in early stages of lumbar stabilization program due to low activation of EO and IO/TrA during maintaining of ASLR position with low load.

2006-2007 기간 중 신생 새만금호 '만경대교' 정점에서 식물플랑크톤 군집 급변에 대한 연구 (Drastic Change of Phytoplankton Community at the Station 'Mankyeong Bridge' of the New Saemankeum Lake during 2006-2007)

  • 장건강;박종우;박장호;하나;이원호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1권1호
    • /
    • pp.71-76
    • /
    • 2009
  • Drastic changes in the water quality and phytoplankton community of the new Saemankeum Lakeduring the first decade following the construction of the Saemankeum Sea Wall has been considered to be unavoidable. Input of eutrophicated water through the Mankyeong River and Dongjin River might produce more direct effects on the water quality and phytoplankton community, which lead us to launch a long-term semi-weekly investigation at the "Mankyeong Bridge" monitoring point to resolve its short-term effect as well as long-term stabilization of the ecosystem in the new Saemankeum Lake. During 15 months starting from June 2006, the water temperature varied in accordance with the typical seasonal variations in temperate on the coasts, and no significant daily variations evoked by tidal cycle could be detected. However, there was an inverse relationship between seasonal precipitation and salinity even though the range in annual variation was drastically reduced right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Saemankeum Sea Wall. Species richness in the phytoplankton community was also reduced due to the narrowed annual range of salinity, which would eliminate the mid-high salinity species from the Mankyeong Bridge monitoring point. Similarly, species diversity was decreased with increased dominance of the phytoplankton community after the construction. Between the two summer seasons during the present study, species diversity was higher in 2007 than in 2006, which might indicate the early stage of a gradual stabilization in the ecosystem including the phytoplankton community at the monitoring station. The phytoplankton community thus needs to be monitored on a long-term basis to identify indirect signals that can be used to assess the stability of the ecosystem in the young Saemankeum Lake.

혼화제인 염화칼슘이 콘크리트 강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Calcium Chloride Admixture on strengths of Concrete)

  • 전현우;임종국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2419-2425
    • /
    • 1971
  • 한중(寒中)콘크리트 시공(施工)에 염화(鹽化)칼슘사용(使用)은 콘크리트의 초기강도(初期强度)를 최대한(最大限)으로 높여 동해(凍害)를 방지(防止)함과 경제적(經濟的인 구조물(構造物)을 만들고자 하는데 목적(目的)이 있으며 시험결과(試驗結果)로서 그의 범위(範圍)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염화(鹽化)칼슘을 시멘트중량비(重量比) 1.5%를 TYPE I TYPE II에 혼합(混合)하면 초기강도(初期强度)를 최대한(最大限)으로 증진(增進)할 수 있고 구조물(構造物)의 안전(安全)을 위(爲)해서 1.5%내외(內外)가 적합(適合)하겠다. 2. 염화(鹽化)칼슘을 혼합(混合)하여 동결(凍結)의 위험(危險)을 방지(防止)하기 위한 콘크리트를 만들자면 w/c비(比)를 50% 내외(內外)로 정(定)해야 만이 한중(寒中)에 안전(安全)하겠다. 3. 포조란 초기강도(初期强度)는 떨어지나 후기강도(後期强度)가 점차(漸次)로 상승(上昇)한다. 4. 콘크리트의 초기강도(初期强度)의 증진(增進)으로 양생기간(養生期間)을 최대한(最大限)으로 단축(短縮)시킬 수 있으므로 콘크리트 구조물(構造物)의 끝손질을 조기(早期)에 실시(實施)해야 한다. 염화(鹽化)칼슘의 혼입(混入)은 시멘트응결(凝結)을 촉진(促進)시킬 수 있어 한중(寒中)에 있어서 동해(凍害)를 방지(防止)하고 공기(工期)를 최대한(最大限)으로 단축(短縮)시킬 목적(目的)으로 공사시공(工事施工) 현장(現場)에서는 유효히 사용(使用)될것으로 사료(思料)된다.

  • PDF

매몰지 조기 안정화를 위한 유용 미생물의 효과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Effect of Efficient Microorganism for Early Stabilization of the Burial Sites)

  • 김현숙;박수정;정원화;;이상섭
    • 미생물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343-352
    • /
    • 2013
  • 본 연구를 통해 유용 미생물을 적용하여 악취 저감 효과 및 조기 안정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유기물 분해능과 악취 제어능이 뛰어난 유용 미생물 KEM을 개발하고, 이미 현장에 사용 중인 EM과 바실러스를 각각 적용하였다. 랩 스케일의 매몰지 모형 반응기를 제작하여 유용 미생물을 각각 적용한 경우와 적용하지 않은 경우(미생물을 적용하지 않고 사체만 매몰한 경우, 배지만 적용한 경우, 사체만 적용한 경우)로 나누어 실험을 진행하였다. 주기적인 수분 공급을 해줌으로써 가축 사체의 분해속도가 빨라진 것을 확인하였고, 유용 미생물을 적용한 반응기의 사체분해속도가 대조군 보다 빠른 것을 확인하였다. 가스는 총 8개의 성분(암모니아, TMA, 황화수소, 메틸머캅탄, DMS, DMDS, $CO_2$, $CH_4$)을 중점적으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유용 미생물을 적용하였을 경우 암모니아와 메틸머캅탄에 대하여 악취 저감 효율을 보였다. 연구에 사용되었던 토양 내에 많은 토양 미생물과 가축 사체에도 많은 미생물들이 존재하고 있어, 유용 미생물을 투입하였을 때의 뚜렷한 차이는 볼 수 없었다. 그러나 일정 부분에 한하여 악취 저감 효과와 부패 속도를 증가시키는 효과를 확인 할 수 있었다.

중금속 오염 토양에서 안정화제가 청경채의 초기 생육과 중금속 흡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il Amendments on the Early Growth and Heavy Metal Accumulation of Brassica campestris ssp. Chinensis Jusl. in Heavy Metal-contaminated Soil)

  • 김민석;구남인;김정규;양재의;이진수;박관인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961-967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6 종류의 안정화제의 중금속 안정화 효율을 평가하기 위해 생물학적 평가 방법을 이용하였다. 12 종의 식물을 대상으로 한 스크린 실험에서 청경채를 선발하여 이를 안정화제 평가에 사용하였다. 식물 독성실험 결과 농용석회와 제강슬래그는 청경채의 뿌리 신장에, 백운석은 지상부 신장에 각각 악영향을 주었다. 화학적 평가 방법뿐만 아니라 생물학적 평가 방법을 고려하였을 때에는 AMD 슬러지가 가장 추천되어질 만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토양 환경과 청경채의 특수성 때문에 위 결과를 일반화 하는 것은 어려우며 명확한 결과 도출을 위해서 재배기간의 조정과 추가적인 화학 침출 평가 방법 등이 필요해 보인다.

견관절 초기 전방 탈구와 재발성 전방 탈구 (Initial and Recurrent Anterior Dislocation in Shoulder)

  • 김영규;이재훈;김현민;이충훈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8권2호
    • /
    • pp.148-153
    • /
    • 2005
  • 초기 탈구에서 시행한 조기 안정화 술식이 재발성 탈구의 Bankart 복원술 보다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이는 관절경상 관찰되어진 관절낭 인대의 이완이나 관절와 연의 마멸이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또한 초기 탈구에서 발생된 Bankart 병변이 술기상으로 보다 쉽게 복원될 수 있으며 치유도 잘 되어 재발율이 감소될 것으로 생각되었고, 조기 수술적 치료를 통해 정상적인 일상 생활 및 스포츠 활동이 가능하리라 생각되었다. 따라서 활동력이 왕성하고 운동을 좋아하는 젊은 층이나 운동 선수에서는 문헌상에서 보고되고 있는 초기 탈구 후의 높은 재발율을 고려하여 초기 탈구 발생시 조기 안정화 술식이 유용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그러나 초기 탈구시 조기 안정화 술식을 시행할 지에 대해서는 보다 엄격한 적응이 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ightRope®를 이용한 내시경하 급성견봉쇄골관절 탈구의 고정술 메리놀병원 정형외과 (Arthroscopic Stabilization of Acromioclavicular Joint Dislocation using TightRope®)

  • 최선진;박종훈;이형석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1권2호
    • /
    • pp.172-176
    • /
    • 2008
  • 목적: 견봉쇄골관절의 탈구에 대한 수술적 방법으로 많은 방법들이 소개되었지만, 적합한 방법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이전의 문제점들을 보완한 새로운 방법들이 많이 개발되고 있지만, 충분한 고정력을 가지고 조기 관절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공통적인 관심사일 것이다. 저자들은 급성 견봉 쇄골 관절 탈구로 진단된 10예의 환자에서 관절경과 TightRope$^{(R)}$(Arthrex, Inc, Naples, FL, 34108, USA)를 이용하여 고정술을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7년 4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TightRope$^{(R)}$를 이용하여 수술을 시행하고 10개월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급성 견봉쇄골관절탈구 환자 10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전후의 방사선적 평가는 견봉쇄골관절의 견갑 부하 촬영 사진을 이용하여 건측과 비교하였으며, 임상적인 평가는 Imatani의 평가법에 따라 통증, 기능, 관절의 운동범위에 대해 평가하였고, 술후 10개월에 평가를 시행하였다. 결과: Imatani의 평가법을 이용한 임상적 평가에서 우수가 6예, 양호가 3예, 불량이 1예였고, 방사선적 평가는 우수가 9예, 불량이 1예로 나타났으며, 1예에서 재탈구가 발생하였다. 결론: 비교적 단기간의 추시에서 TightRope$^{(R)}$를 이용하여 수술한 10명의 환자 중 재탈구가 일어난 1명을 제외한 9명의 환자에서 Imatini 및 방사선 평가에서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산간집수역의 농민과 농촌지도사를 위한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 현업서비스 (An Operational Site-specific Early Warning of Weather Hazards for Farmers and Extension Workers in a Mountainous Watershed)

  • 신용순;박주현;김성기;강위수;심교문;박은우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90-305
    • /
    • 2015
  • 필지단위 재해발생 가능성을 적절한 대응방안과 함께 재배농가에게 농장 맞춤형으로 전달할 수 있는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 시스템'의 실용성과 운영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현업 서비스 시스템을 국립농업과학원에 구축하여 2014년도 10월부터 2015년 3월까지의 시범 서비스 운영기간 동안 현장 적용을 위한 개선, 서비스 안정화 단계를 거쳤다. 현업 서비스 시스템은 섬진강 하류 유역(행정구역상 광양시 일부, 하동군 일부, 구례군 일부)의 약 470 자원농가와 950 여필지를 서비스 대상으로 하였다. 자원농가에게 필지 단위 사전경보를 개별 문자로 통보하는 시스템과 해당 지자체가 관내 현황을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분포형 사전 경보시스템(웹 GIS 기반) 형식의 투 트랙(Two track) 시스템으로 구성되었다. 1차 연구대상지역인 섬진강 하류에 대하여 현업 서비스는 2015년 3월 2일부터 개별 문자통보를 개시하였으며 온라인 홈페이지는 2015년 4월부터 인터넷 주소(http://www.agmet.kr)로 운영을 시작하였다. 현재는 농장 날씨정보, 농장 재해정보, 전국기상위험, 전국기상특보, 문자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연구가 진행되는 2017년까지 서비스 대상지역 확대, 서비스 컨텐츠 확대, 서비스 품질 개선 등의 연구활동과 함께 지속적으로 유지될 것이다.

청색심기형 교정술후 혼합정맥혈 산소분압과 심근상태 및 혈류역학치와의 상관관계 분석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Mixed Venous PO2 and Status of Cardiac Performance with Hemodynamic Values after Correction of Cyanotic Congenital Heart Disease)

  • 안재호;김용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2권2호
    • /
    • pp.212-219
    • /
    • 1989
  • We utilized pulmonary artery pressure monitoring system in risky patients for preventing the postoperative pulmonary hypertensive crisis and for sampling the mixed venous blood. And this mixed venous blood oxygen saturation [MVSO2] or partial pressure [MVPO2]tells us many meaningful patients state. We selected 59 cyanotic congenital heart diseased patients, who were operated in our hospital from Nov. 1987 to Oct. 1988, in the Department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Seoul National University Children\ulcorner Hospital, who had pulmonary artery pressure monitoring catheter and who made us know their mixed venous oxygen condition. We found that there was no close relationship between MVPO2 and Cardiac Index [C.I.] during early postoperative period, but on the first and second day after operation the correlation coefficient was increased as r=0.35[p=0.008], r=0.78[p=0.0001]. So we concluded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MVPO2 and C.I. was more reliable with time going as hemodynamic stabilization. And we experienced no survivors whose MVPO2 was under 20 torr, but that was not the only factor for death. From these results, we conclude that we can consider the MVPO2 [or MVSO2] representing C.I. after stabilized postoperative condition of the open heart surgery patients, but during early postoperative period, in addition to this MVPO2, we should do also apply other parameter such as urine output, arterial blood pressure, left atrial pressure and pulmonary arterial pressure for exact estimation of the patients status.

  • PDF

Effects of Antibiotic Growth Promoter and Characterization of Ecological Succession in Swine Gut Microbiota

  • Unno, Tatsuya;Kim, Jungman;Guevarra, Robin B.;Nguyen, Son 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5권4호
    • /
    • pp.431-438
    • /
    • 2015
  • Ever since the ban on antibiotic growth promoters (AGPs), the livestock death rate has increased owing to pathogenic bacterial infections. There is a need of developing AGP alternatives; however, the mechanisms by which AGP enhances livestock growth performance are not clearly understood. In this study, we fed 3-week-old swine for 9 weeks with and without AGPs containing chlortetracycline, sulfathiazole, and penicillin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GPs on swine gut microbiota. Microbial community analysis was done based on bacterial 16S rRNA genes using MiSeq. The use of AGP showed no growth promoting effect, but inhibited the growth of potential pathogens during the early growth stage. Our results showed the significant increase in species richness after the stabilization of gut microbiota during the post-weaning period (4-week-old). Moreover, the swine gut microbiota was divided into four clusters based on the distribution of operational taxonomic units, which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to the swine weight regardless of AGP treatments. Taxonomic abundance analysis indicated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host weight and the abundance of the family Prevotellaceae species, but showed positive correlation to the abundance of the family Spirochaetaceae, Clostridiaceae_1, and Peptostreptococcaeae species. Although no growth performance enhancement was observed, the use of AGP inhibited the potential pathogens in the early growth stage of swine. In addition, our results indicated the ecological succession of swine gut microbiota according to swine weight. Here, we present a characterization of swine gut microbiota with respect to the effects of AGPs on growth perform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