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Sports

검색결과 258건 처리시간 0.023초

e스포츠 비즈니스의 주요 성공요인과 이용효과와의 관계에 관한 실증연구 (An Empirical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ey Success Factors and the Usage Effect of the e-Sports Business)

  • 이경진;김창수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20권2호
    • /
    • pp.109-134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an overview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e-sports business at a crucial point in the era of information and knowledge. That is, an investigation was conducted surrounding the key success factors of e-sports as a newly growing industr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ey success factors and the usage effect. In order to do this, the key success factors were extracted from interviews with e-sports experts in conjunction with a survey that was conducted to gather empirical data. The key points of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survey are as follows. First, the success factors of a policy do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usage. Second, some administrative success factors of the e-sports business include the distribution of e-sports in the form of franchise chain, the establishment of policies to prevent the excellent members of e-sports from seceding, making a good impression as a high-class sport, the frequent notice of the break-even point, and educating people on how to use the e-sports machine. Third, the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excellent e-sports software was analyzed as a technical success factor of the e-sports business. Finally, there is no doubt that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facilitate the growth of the e-sports business as a new industry related to the IT industry.

eSports Fan Identity Consumer and Live Game Watching Behavior: Professional Player Fan Identity Perspective

  • Jialing Zhang;C. Michael Hall;Myung Ja Kim
    • Journal of Smart Tourism
    • /
    • 제3권1호
    • /
    • pp.9-21
    • /
    • 2023
  •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 Point of attachment (POA) theory can be used to measure the consumption intention on go and watch offline eSports games. The admiration for players, social interaction, and on-site consumption requirements for viewing offline eSports competitions are prioritized. In addition, eSports fans in various regions may have distinct consumption concepts and consumption patterns. Thus, this study surveyed China (n = 156) and South Korea (n = 127) eSports fans who subjectively perceive themselves to be fans of eSports player(s) and who have observed at least one offline eSports game.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player attraction and socialization have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s on offline consumption factors. There is no correlation between previous consumption behavior and satisfaction, but dining show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Moreover, there is a strong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and future attendance intention. In addition, effect of eSports fan attachment on future visit intentions are measured and there is no correlation between the two variables. The front end of the path in the new model's varied between Chinese and Korean supporters. Finally,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청각 장애인이 지각하는 e스포츠 인식 및 차이분석 (eSports Perception and Analysis of Differences among Deaf)

  • 최경환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1호
    • /
    • pp.245-252
    • /
    • 2022
  • 본 연구는 청각 장애인들을 대상으로 e스포츠 인식조사 및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이에 청각 장애인 189명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였고, 자료처리방법은 SPSS 21.0, Excel 2016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t-test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청각 장애인 모집단 189명 중 e스포츠를 67.7%는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새로운 스포츠 체계로 61.4%는 인정하고 있으며, 그리고 65.6%는 e스포츠에 직,간접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e스포츠 참여기기로 스마트폰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참여종목은 카트라이더, 참여계기로는 친구의 권유로 시작했다는 답변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e스포츠 참여 도중 가장 불편사항은 청각장애인에 대한 e스포츠 프로그램 부족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e스포츠 추천여부 조사결과 매우 그렇다라는 답변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넷째, e스포츠를 새로운 스포츠로 인정하지 않는 이유로는 실제 스포츠가 아니라서 답변이 가장 많았으며, 참여하지 않는 이유로는 관심이 없다라는 답변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향후 참여여부 설문 결과 있다 라는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 번째, 청각 장애인의 e스포츠 인식 및 인정, 참여여부는 성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스포츠(전자스포츠) 진흥에 관한 법률」 개정안 평가 및 개선 방안 제언 (Evaluation of Amendments to the Act on Promotion of e-Sports (Electronic Sports))

  • 이진우;김호철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13-24
    • /
    • 2021
  • 최근 이스포츠법 개정안이 발의되었다. 본 연구는 이스포츠 산업의 특성으로 높은 접근성, 종목 불안정, 낮은 직업안정성, 치열한 경쟁, 정책적 지원 미흡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개정안을 분석하였다. 이스포츠법 개정안은 지역 이스포츠와 이스포츠 단체 및 선수를 지원할 근거를 마련한 의의가 있으나, 정책 시행을 위한 행정력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고 선언적인 내용을 담고 있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는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분쟁조정 대상 확대, 스포츠산업진흥법의 제도 도입, 사문화된 규정 시행, 이스포츠 선수의 직업안정성 향상을 제시하였다.

e스포츠의 스포츠 범주화에 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Research on Categorizing e-Sports as One of the Sports)

  • 채희상;강신규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85-95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e스포츠의 스포츠 적 속성에 중점을 두고 논의를 진행시켜 나가도록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신체 활동을 강조하는 기존의 근대 스포츠 개념을 미디어 기술의 발전, 즐거움 추구방식의 변화, 스포츠 환경의 중요성 증가, 스포츠 관련 기술 및 도구의 발전 등 시대 변화에 맞추어 새롭게 개념화 하였다. 그리고 포스트모던 사회의 특징, 소비와 즐거움, 호모루덴스 인간형, 스포팅 경험, 신체와 정신 등을 새로운 스포츠 개념의 주요 구성요소로 설정하고 이에 e스포츠가 어떻게 부합될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e스포츠는 기술이 발달한 지구촌 시대, 소비사회에 부합하는 양상을 띠며, 순수한 즐거움을 주는 요소와 경험적 요소, 참여에 있어 정신적 요소가 극대화된 새로운 개념의 스포츠로 정의될 수 있다.

Influencing Factors of Consumption Willingness for E-Sports Products: A Case Study of "King of Glory" Game Players

  • Yang Guo;Jiaqi Dong;Yue Lin
    • Journal of Smart Tourism
    • /
    • 제3권4호
    • /
    • pp.33-41
    • /
    • 2023
  • This study examines the factors influencing e-sports product consumption among Chinese e-sports game players. We focus on the popular game "King of Glory" and use surveys to collect player data. Our findings show that e-sports product characteristics significantly impact consumption experiences, while incentive factors also influence consumption willingness. External factors have minimal impact. Additionally, souvenir products and festival events are key in driving e-sports consumption. This research explores the consumption willingness of Chinese e-sports players, the world's largest consumer market. Understanding their needs can help companies develop targeted marketing strategies, unlocking the commercial potential of e-sports and promoting industry growth.

국내 e스포츠산업의 비즈니스 모델에 관한 연구 (Study on Business Model of e-Sports Industry in Korea)

  • 양지훈;이인규;이상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163-173
    • /
    • 2018
  • 본 연구는 국내 e스포츠 산업의 비즈니스 모델 실태를 진단 및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e스포츠의 수익창출 경로, 현황 등을 파악하기 위해 e스포츠 구단, e스포츠 미디어, e스포츠 경기장, e스포츠 종목사로 나누고 각 주체별로 사업실무자들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했다. 분석 결과 e스포츠구단은 대부분 구단의 후원금으로 수익이 구성되어 있었고, 미디어는 광고와 수신료, 판권 수입, 비용은 제작비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e스포츠 경기장은 대부분 모기업으로부터 후원에 의해 운영되고 있었다. 종목사 역시 대부분 모기업의 후원금으로 운영되고 있고, e스포츠가 모기업의 홍보 목적임을 알 수 있었다. 본 분석을 통해 수익원의 발굴 필요, 입장권의 유료화 검토, 스폰서 유입 필요, 해외 e스포츠산업의 붐에 따른 신규 수익원 창출 가능성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거의 취급되지 못했던 e스포츠산업의 비즈니스 모델을 수익과 비용 중심으로 파악함으로써 업계와 산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e스포츠의 NFT 활용 사례와 활성화 방안 논의 (A Case Study of eSports' NFT utilization and Discussion of Activation Plan)

  • 김재훈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2호
    • /
    • pp.493-502
    • /
    • 2023
  • 온라인 콘텐츠의 발전은 매우 다양하고도 급격하게 사회의 가치를 변화시키고 있다. 특히, COVID-19 펜데믹 상황을 완전히 극복하지 못한 현 상황에서 비대면을 중심으로 하는 e스포츠 산업은 큰 폭으로 성장하고 있다. e스포츠 산업에 NFT를 활용하는 것은 e스포츠 유저들의 디지털 자산을 보호해주는 미래성장 가능성이 큰 분야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지만, 동시에 디지털 아이템의 현금거래로 사행성이 조장될 수 있다는 우려를 낳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 공식 사이트, 온라인 뉴스 기사를 활용한 사례연구를 통해 최근 e스포츠 산업과 NFT의 특성을 파악하고 분류하였다. e스포츠와 NFT 다양한 사례를 통해서 e스포츠의 NFT 산업의 미래성장 가능성과 활성화 방안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e스포츠 종목 자체의 IP를 활용한 NFT 이용의 필요성이다. 둘째, 아이템의 기능적인 역할을 NFT에 접목하여 유저들이 활용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 할 필요가 있다. 셋째, 유저들이 e스포츠와 NFT를 활용한 경제활동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 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e스포츠 유저들의 디지털 자산보호를 강화하는데 NFT를 활용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e스포츠의 NFT 산업에 대한 발전적인 논의를 위한 근거와 경쟁력 확보를 위한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e스포츠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Analysis of the Academic Research Trend of e-sports)

  • 오세숙;김대훈
    • 한국웰니스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13-121
    • /
    • 2012
  • This study chose the academic journals related with e-sports for analysis among the top tier journals o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from 2006 to 2011 to check the academic trend Beginning in 2006, the first study of e-sports was published in the journal related with e-sports. So, the studies from 2006 to 2011 were chosen for analysis. Using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RISS), the keyword 'e-sports' was searched. By virtue of this process, total 27 studies were selected as final analysis. So, the academic trends are as follows. In Korea, the studies related with e-sports have started from the beginning of 2000s with internet and then it spread out via cable TV. And then from the middle of 2000s, e-sports was discussed seriously. The early subject of the studies usually focused on the measurement of e-sports based on the strategic elements as a product. After that, game addiction and violent tendency which were one of the biggest issues were raised as a constant problem and it became the academic studies of user behavior. E-sports became a recreation culture of teenagers so it has been in charge of the role of exit and the problems related with it have continuously appeared. So, the academic studies tend to have departmentalization like immersion, addiction, sociality, self-regulation and etc. But, there was a tendency that the similar contents were repeated in the view point of subject and method while the subjects were departmentalized. So, for the systematic study of e-sports, development of the unique subject, study method and verification process should be conducted continuously.

e스포츠 전문화 수준이 플로우(Flow)와 관람만족에 미치는 영향 - LOL을 중심으로- (Impacts of e-Sports Specialization on Flow Experience and Satisfaction - The case of League of Legends-)

  • 김주희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61-72
    • /
    • 2019
  • 본 연구는 아웃도어 레크리에이션 활동에 집중되어 있던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이론을 e스포츠에 적용한 점과 e스포츠 흥행을 주도하고 있는 주요 종목인 리그오브레전드를 중심으로 현재의 e스포츠 소비자의 여가 특성에 대한 차이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종목에 적용함으로써 연구를 확대하여 일반화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하며 e스포츠 여가에 대한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 방법의 도입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