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PBL

검색결과 65건 처리시간 0.032초

교원 정보화 역량강화 연수 운영 성과분석 연구 (Result Analysis of Training Programs for Stengthening Teacher's ICT Competency)

  • 서순식;김성완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6권10호
    • /
    • pp.111-120
    • /
    • 2011
  • 이 연구는 교원 정보화 역량강화 연수과정 내용 및 운영에 대한 현황조사 및 연수과정에 대한 온라인 설문조사, 연수과정 운영자 심층면담 등을 토대로 기존 교원 정보화 역량강화 연수의 운영 성과를 분석한 것이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차세대 교원 정보화 연수개발을 위한 현 연수과정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온라인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현행 교원 정보화 역량강화 연수과정은 전체적으로 바람직하게 운영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다만, '사고력 신장을 위한 ICT활용 교육 과정', '미래로 가는 교육 과정', 'ICT활용 문제중심학습 과정'과 같이 보통수준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비교적 높은 과정에 대해서는 운영과정의 효과성과 효율성 제고를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특히 목표의 실천가능성, 수준별 고려여부, 연수 장소 및 교통편 등의 접근성, 맞춤형 수준별 전략 등의 하위평가영역은 타 영역에 비해 낮게 평가되었다. 또한 교원 정보화 역량강화 연수운영자에 대한 심층면담 결과, 이들은 교육현장 요구반영에의 필요성, 강사 재훈련 및 자기계발기회 제공, 지역 전달 연수의 질 관리, 해외 연수사례 국내화 과정에서 특성화, 연수기간의 확대, 연수 후 후속지원의 필요성 등을 제안하였다.

사이버영재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모형의 개발 및 검증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eaching-Learning Model for Cyber Education of Giftedness)

  • 이재호;홍창의
    • 영재교육연구
    • /
    • 제19권1호
    • /
    • pp.119-140
    • /
    • 2009
  • 영재교육진흥법에 의거 영재교육의 양적 확대라는 취지에서 사이버영재교육이 본격적으로 시행되고 있지만 그 중요성에 비해 사이버영재교육에 대한 운영 및 교육방법 등과 같은 이슈들에 대한 연구가 미비한 상황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현재 운영 중인 영재교육기관과 관련 교육법 등을 비교 분석하여 사이버영재교육원에 대한 개념을 새롭게 정의하고, 사이버공간에서 효율적으로 적용 가능한 사이버영재교육용 교수-학습 모형과 투입전략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사이버영재교육 교수-학습 모형과 투입전략에 대한 검증을 위하여 2008년 경기도 사이버영재교육지원 센터 초등정보반학생들을 대상으로 각 모형과 전략별로 만족도와 참여도를 조사 분석하였다.

Hot-air 공정을 이용한 무기 CsPbl2Br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진 제작 연구 (Study of Inorganic CsPbI2Br Perovskite Solar Cell Using Hot-air Process)

  • 김리나;이동건;강동원;김은도;김제하
    • Current Photovoltaic Research
    • /
    • 제10권4호
    • /
    • pp.101-106
    • /
    • 2022
  • We prepared a CsPbI2Br solution using Cesium iodide (CsI), Lead (II) bromide (PbBr2) and Lead (II) iodide (PbI2) materials into a polar solvent mixture of N,N-dimethylformamide (DMF) and Dimethyl sulfoxide (DMSO). A simple spin coating technique was used for the fabrication of CsPbI2Br absorber layer in the solution process. In order to prepare uniform coating of absorber film we adopted a hot-air process in assocation with the spin coating. It was confirmed that the thin film manufactured by the hot-air process had a higher absorption rate than that without it, and the optical band gap was measured 1.93 eV. The thin film of absorber was uniformly prepared and revealed the Black α-Cubic crystal phase as proved through X-ray diffraction analysis. Finally, a perovskite solar cell having an n-i-p structure was manufactured with a CsPbI2Br perovskite absorption layer. From the solar cell, we obtained a power conversion efficiency (PCE) of 5.97% in a forward measurement.

Advanced Information Data-interactive Learning System Effect for Creative Design Project

  • Park, Sangwoo;Lee, Inseop;Lee, Junseok;Sul, Sanghun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6권8호
    • /
    • pp.2831-2845
    • /
    • 2022
  • Compared to the significant approach of project-based learning research, a data-driven design project-based learning has not reached a meaningful consensus regarding the most valid and reliable method for assessing design creativity. This article proposes an advanced information data-interactive learning system for creative design using a service design process that combines a design thinking. We propose a service framework to improve the convergence design process between students and advanced information data analysis, allowing students to participate actively in the data visualization and research using patent data. Solving a design problem by discovery and interpretation process, the Advanced information-interactive learning framework allows the students to verify the creative idea values or to ideate new factors and the associated various feasible solutions. The student can perform the patent data according to a business intelligence platform. Most of the new ideas for solving design projects are evaluated through complete patent data analysis and visualization in the beginning of the service design process. In this article, we propose to adapt advanced information data to educate the service design process, allowing the students to evaluate their own idea and define the problems iteratively until satisfaction. Quantitative evaluation results have shown that the advanced information data-driven learning system approach can improve the design project - based learning results in terms of design creativity. Our findings can contribute to data-driven project-based learning for advanced information data that play a crucial role in convergence design in related standards and other smart educational fields that are linked.

기상드론을 이용한 보성 지역 기상 인자의 연직 측정 및 분석 (Vertical Measurement and Analysis of Meteorological Factors Over Boseong Region Using Meteorological Drones)

  • 정지효;신승숙;황성은;이승호;이승협;김백조;김승범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575-587
    • /
    • 2020
  • 기상현상관측은 기상청에서 다양한 방법(지상, 고층, 해양, 항공, 등)으로 관측되고 있다. 하지만, 인간생활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대기경계층 관측에는 한계가 있다. 특히, 존데 또는 항공기를 이용한 기상관측은 경제적인 측면에서 상당한 비용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기상드론을 이용하여 국지기상현상 중 해륙풍 연직분포에 대한 기상 인자들을 측정하고 분석하는 것이다. 해륙풍의 공간적 분포를 연구하기 위해 보성지역 표준기상관측소의 보성종합기상탑을 포함한 다른 세 지점(해안가, 산기슭, 산중턱)에 동일한 통합기상센서를 각 드론에 탑재하였다. 2018년 8월 4일 1100 LST부터 1800 LST까지 30분 간격으로 최대 400 m 고도까지 기온, 상대 습도, 풍향, 풍속, 기압의 연직 프로파일 관측이 수행되었다. 기온, 상대 습도, 기압에 대한 기상현상의 공간적 특성은 네 지점에서 보이지 않았다. 강한 일사량 시간대에 중간지점(~100 m)에서 강한 바람(~8 m s-1)이 관측되었고, 오후에는 풍향이 내륙지역의 상층부터 서풍으로 바뀌었다. 기상드론을 이용하여 관측한 하부 대기층의 분석결과는 보다 정확한 기상예보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