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PBL

검색결과 65건 처리시간 0.031초

수도권 대기질 모델링 정확도 향상을 위한 WRF모델링: 계절별 물리옵션 민감도 연구 (WRF Modeling Approach for Improvement of Air Quality Modeling in the Seoul Metropolitan Region: Seasonal Sensitivity Analysis of the WRF Physics Options)

  • 정주희;오인보;강윤희;방진희;안혜연;석현배;김유근;홍지형;김지영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67-83
    • /
    • 2016
  • In order to improve the prediction of the regional air quality modeling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 sensitivity analysis using two PBL and microphysics (MP) options of the WRF model was performed during four seasons. The results from four sets of the simulation experiments (EXPs) showed that meteorological variables (especially wind field) were highly sensitive to the choice of PBL options (YSU or MYJ)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depending on MP options (WDM6 or Morrison) regardless of specific time periods, i.e. day and night, during four seasons. Consequently, the EXPs being composed of YSU PBL option were identified to produce better results for meteorological elements (especially wind field) regardless of seasons. On the other hand, the accuracy of all simulations for summer and winter was somewhat lower than those for spring and autumn and the effect according to physics options was highly volatile by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he observation site.

SW 교양 교육을 위한 VPBL 모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VPBL Model for SW Liberal Education)

  • 김시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7호
    • /
    • pp.51-56
    • /
    • 2021
  • 교양 SW교육은 전공 SW교육과는 다르게 다양한 전공의 학생들이 동일학습과정에 참여하므로 교수자가 문제 설계에 어려움이 많다. 본 논문은 교육의 문제 해결 향상을 위하여 PBL로 수업 운영에 있어 다양한 전공의 학생들에게 전공의 특성에 맞게 문제를 설계 구현할 수 있도록 VPBL(Various Problem-based Learning) 모델을 연구하고 수업에 적용 및 결과를 분석하였다. VPBL은 프로그래밍 언어에 대한 제약조건을 교수자가 제시하고 학습자는 제약조건을 적용하여 전공의 특성을 반영한 문제를 설계 운영한다. 교수자는 설계된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mini_class를 실시한 후 전체에 공유한다. VPBL 모델 적용 결과 전통적인 수업 방식의 비교 분석결과 전통적 교수법은 3.34점 VPBL 모델 적용은 4.42점으로 "상호작용, 학습 내용 이해, 교과 관련 지식 습득" 등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VPBL의 경우 다양한 문제 해결을 기반으로 하고 있어 해결 과정에서 학습 범위를 확장하는 장점을 보였다. 향후 다양한 SW 교양 교과에 확대 적용 및 활용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수학 문제중심학습(PBL)에서 융합적 사고력 신장 도모에 관한 의의 - 역사 소재를 중심으로- (The study on the Integrated Thinking Ability in Problem Based Learning Program Using Historical Materials in Mathematics)

  • 황혜정;허난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0권2호
    • /
    • pp.161-178
    • /
    • 2016
  • 창의 융합 능력은 교육과정 문서상에 새롭고 의미 있는 아이디어를 다양하고 풍부하게 산출할 수 있는 수학적 과제를 제공하여 학생의 창의적 사고를 촉진시키도록 하는 것이며, 또한 수학과 이외의 타 교과나 실생활의 지식, 기능, 경험을 연결 융합하여 새로운 지식, 기능, 경험을 생성하고 문제를 해결하게 하는 것으로 규정되고 있다(교육부, 2015). 이렇듯, 최근 교육의 변화를 반영하여 수학 지식의 일방적인 전달이 아닌 학습자 스스로 개념을 구성하고 능동적으로 발전시키는 데 초점을 두고 타 교과와의 연계를 통한 문제 상황 및 이로부터의 해결은 PBL(Problem Based Learning)이 이론이 추구하는 목적과 그 역할이 부합한다고 하겠다. 본고에서는 타교과와의 연계를 통한 융합적 사고력 요소 탐색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역사 교과를 대상으로 수학 PBL의 수업 및 평가 활동을 통하여 수학개념에 관한 이해를 돈독히 하고, 이러한 두 교과의 연계를 통해 도달 가능한 융합적 사고력 요소를 마련하는데 중점을 두고자 한다. 또한, 역사 소재를 활용한 PBL 수업 진행을 위한 문제 및 이의 수업지도안을 마련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멀티미디어를 이용한 문제중심 증례 개발 (Development of Problem-based Learning case using Multimedia)

  • 이진형;유선미;박일환;이상훈;이태수
    • 대한의용생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의용생체공학회 1997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68-171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development of PBL(problem-based learning) system using visual C++5.0 as a window-based application program. A patient who complains of weight loss was used in PBL case. Initial frame is made by dialog-based in MFC(microsoft foundation class). Also, sample medical images are composed of ultra-sound, chest PA, Thyroid scan, otherwise. we will make this program as CD-ROM and the internet application or computer assisted learning and continuous medical education.

  • PDF

Analysis and Examination of Trends in Research on Medical Learning Support Tools: Focus on Problem-based Learning (PBL) and Medical Simulations

  • Yea, Sang-Jun;Jang, Hyun-Chul;Kim, An-Na;Kim, Sang-Kyun;Song, Mi-Young;Han, Chang-Hyun;Kim, Chul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60-68
    • /
    • 2012
  • Objectives: By grasping trends in research, technology, and general characteristics of learning support tool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esent a model for research on Korean Medicine (KM) to make use of information technology to support teaching and learning. The purpose is to improve the future clinical competence of medical personnel, which is directly linked to national health. Methods: With papers and patents published up to 2011 as the objects, 438 papers were extracted from "Web of Science" and 313 patents were extracted from the WIPS database (DB). Descriptive analysis and network analysis were conducted on the annual developments, academic journals, and research fields of the papers, patents searched were subjected to quantitative analysis per application year, nation, and technology, and an activity index (AI) was calculated. Results: First, research on medical learning support tools has continued to increase and is active in the fields of computer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and surgery. Second, the largest number of patent applications on medical learning support tools were made in the United States, South Korea, and Japan in this order, and the securement of remediation technology-centered patents, rather than basic/essential patents, seemed possible. Third, whe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research trends were comprehensively analyzed, international research on e-PBL- and medical simulation-centered medical learning support tools was seen to expand continuously to improve the clinical competence of medical personnel, which is directly linked to national health. Conclusions: The KM learning support tool model proposed in the present study is expected to be applicable to computer-based tests at KM schools and to be able to replace certain functions of national KM doctor license examinations once its problem DB, e-PBL, and TKM simulator have been constructed. This learning support tool will undergo a standardization process in the future.

튜터를 활용한 "컴퓨터정보통신 기초설계" 교과목의 e-Learning 강의사례 (A Case Study of Online Tutoring on Computer Engineering Basic Design Education)

  • 박현석
    • 공학교육연구
    • /
    • 제12권1호
    • /
    • pp.73-81
    • /
    • 2009
  • 본 논문은 공학기초설계 과목에서의, 사이버강좌를 통한 교육에서의 튜터의 역할에 관해서 논한다. 창의설계과목은 학생들과의 피드백이 매우 중요한 교과목으로서, 튜터와 교수, 학생간의 역할이 정확히 정립되어 있어야 함이 매우 중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튜터의 역할 중 교수법, 선후배간 유대관계, 관리차원과 기술적인 측면에서의 튜터들의 역할을 논의하고 있으며, 학생들의 참여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튜터 활용의 중요성을 논하고 있다.

USB Type-C 응용을 위한 Embedded Flash IP 설계 (Design of an Embedded Flash IP for USB Type-C Applications)

  • 김영희;이다솔;김홍주;이도규;하판봉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312-320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110nm eFlash 셀을 사용한 512Kb eFlash IP를 설계하였다. eFlash 셀의 프로그램, 지우기와 읽기 동작을 만족시키는 row 구동회로(CG/SL 구동회로), write BL 구동회로( write BL 스위치 회로와 PBL 스위치 선택 회로), read BL 스위치 회로와 read BL S/A 회로와 같은 eFlash 코어회로(Core circuit)를 제안하였다. 그리고 프로그램 모드에서 9.5V와 erase 모드에서 11.5V의 VPP(Boosted Voltage) 전압을 공급하는 VPP 전압 발생기회로는 기존의 단위 전하펌프 회로로 cross-coupled NMOS 트랜지스터를 사용하는 대신 body 전압을 ground에 연결된 12V NMOS 소자인 NMOS 프리차징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노드 전압을 부스팅하는 회로를 새롭게 제안하여 VPP 단위 전하펌프의 프리차징 노드를 정상적으로 VIN(Input Voltage) 전압으로 프리차징 시켜서 VPP 전하펌프 회로의 펌핑 전류를 증가시켰다. 펌핑 커패시터로는 PMOS 펌핑 커패시터에 비해 펌핑전류가 크고 레이아웃 면적이 작은 12V native NMOS 펌핑 커패시터를 사용하였다. 한편 110nm eFlash 공정을 기반으로 설계된 512Kb eFlash 메모리 IP의 레이아웃 면적은 $933.22{\mu}m{\times}925{\mu}m(=0.8632mm^2)$이다.

한우(韓牛)에서 면역조절세포(免疫調節細胞)의 활성(活性)에 관한 연구(硏究) : I. 말초혈액(末梢血液) 임파구(淋巴球)의 E Rosette 형성능(形成能) (Studies on the Activity of Immune Regulatory Cells in the Korean Native Cattle : I. E Rosette Formation Rate of Peripheral Blood Lymphocytes)

  • 유남선;김종면;송희종;채효석;강명대;이주묵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53-258
    • /
    • 1987
  • The erythrocytes(E) rosette forming capacity of peripheral blood lymphocytes(PBL) in Korean native cattle was determined with 2-aminoethylisothiouronium bromide hydrobromide(AET) and dextran(Dex)-treated sheep erythrocytes(SRBC). To further standardize the assay, optimum concentration of AET and/or Dex-treatment and incubation time for rosette forming cell(RFC) counts were determined. In untreated SRBC resuspended in the rosetting medium(RPMI 1640 containing 10% FCS), PBL from 7 animals formed low percentage of rosettes($7.8{\pm}6.0%$). Both AET and Dex treatment not only enhanced the rosette formation but also made it easy to enumerate rosettes by increasing numbers of SRBC attached on them. SRBC treated with 0.1M AET for 20 min or 8% Dex formed the highest percentages of rosettes, ($35.7{\pm}6.0%$ and $48.3{\pm}4.7%$, respectively) and were used in subsequent studies. With SRBC treated with 0.1M AET for 20 min and suspended in 8% Dex, the maximum RFC observed were $56.6{\pm}6.8%$ in female and $65.8{\pm}6.3%$ in male and the rates of RFC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between 3 and 20 hr incubation time at ${4^{\circ}C}$.

  • PDF

수도권지역 도시화가 국지기상에 미치는 영향 모델링 (Modeling the Impacts of Increased Urbanization on Local Meteorology in the Greater Seoul Area)

  • 강윤희;김유근;오인보;황미경;송상근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9권12호
    • /
    • pp.1361-1374
    • /
    • 2010
  • The impact of urbanization on local meteorology (e.g., surface temperature, PBL height, wind speed, etc.) in the Greater Seoul Area (GSA) was quantitatively evaluated based on a numerical modeling approach during a 1-month period of 2001 (9 Sep. through 8 Oct. 2001). The analysis was carried out by two sets of simulation scenarios: (1) with the global land use and topographic data from the U.S. Geological Survey (USGS) in 1990s (i.e., LU-USGS case) and (2) with the land use data from the Environment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EGIS) along with the 3 sec elevation data from the Shuttle Radar Topography Mission (SRTM) in 2000s (i.e., LU-EGIS case). The extension of urban areas in the GSA (especially, the southern parts of Seoul) accounted for 1.8% in the LU-USGS case and 6.2% in the LU-EGIS case. For the simulations, the surface temperature and PBL height due to urbanization in the LU-EGIS case was higher (the differences of up to $0.1^{\circ}C$ and 36 m, respectively) than those in the LU-USGS case, whereas the wind speed (up to 0.3 $ms^{-1}$) in the former was lower than that in the latter at 1500 LST. The increase in surface temperature due to urbanization in the GSA (especially, the southern parts of Seoul) was led to the strong convergence of air masses, causing the early sea breeze and its rapid propagation to inland locations. In addition, the vertical mixing motion in the extended urban areas for the LU-EGIS case was predicted to be stronger than that for the LU-USGS case and vice versa for the original urban areas.

Robert Lee Moore의 교수법과 한국에서의 의미 (R. L. Moore's Moore Method and its meaning in Korea)

  • 이상구;이상욱;김덕선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79-96
    • /
    • 2008
  • 1890년에 설립된 시카고대의 초대 수학과장으로 미국수학사에서 결정적 역할을 담당했던 E. H. Moore는 걸출한 인재들을 길러내며 20세기 전반에 미국수학이 수학연구의 주류로 진입하는데 결정적 기여를 하였다. 그는 시카고대에서 실험적 교수법을 시도하였고, 그 결과, 연구력이 뛰어난 수많은 제자를 배출하였다. R. L. Moore는 E. H. Moore의 실험적 교수법과는 차별화된, 지금은 Texas 교수법 또는 Moore 교수법으로 알려져 있는 새로운 방식의 수학교수법을 대학수학교육에 적용하였다. 그는 20세기 전반, 미국수학이 빠르게 발전하는 과정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담당했던 Veblen이나 Birkhoff와는 차별화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였다. 따라서 미국수학의 발전에 특별한 역할을 수행했던 R. L. Moore의 연구 경력과 Moore 교수법 및 R. L. Moore가 배출한 제자들의 역할에 대한 의미 있는 분석을 필요로 한다. 본 원고는 텍사스대에서 학문적 일생을 보낸 R. L. Moore와 그의 Moore 교수법, 또 그의 영향으로 탄생한 'American school of topology'가 미국수학사에서 갖는 의미를 분석하고, 20세기 전반 미국 수학의 학문적 도약과정이 현재의 한국수학계에 시사하는 바를 고찰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