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earning quality

검색결과 322건 처리시간 0.028초

콘텐츠 품질 향상을 위한 교원연수 이러닝 콘텐츠 분석 (Analysis of e-Learning Contents in Distance Teacher Training for Quality Improvement)

  • 김용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9호
    • /
    • pp.476-484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교원 원격 연수의 연수 효과 제고를 위해 총 67종의 이러닝 콘텐츠에 대해 품질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연수 내용' 영역이 가장 품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수 설계', '교수학습 전략', '평가', '상호 작용' 순이었다. '교수학습 전략', '평가', '상호 작용'은 품질인증 기준인 80점 미만의 점수를 나타내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증된 콘텐츠와 부적합 콘텐츠 간의 품질 수준차이 분석에서는 '교수 설계', '교수학습 전략', '평가' 평가 영역 순으로 효과크기(ES)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 요인분석에서는 '화면구성', '교수학습 전략 선정' 등의 대부분의 평가 요인이 효과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원격 연수를 위한 이러닝 콘텐츠 개발에서 어느 부분을 개선해야하는지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이 러닝의 질적 우수성에 대한 재고(再考)무엇이 질을 결정하는가? (Reconsidering of critical factors for high quality e-Learning)

  • 조은순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5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36-50
    • /
    • 2005
  • 지난 수년 동안 우리나라에서 이 러닝은 특히 기업을 중심으로 빠른 시간에 확산이 되었으며, 양적으로 팽창한 만큼 질적인 부분에 대한 의구심이 팽배한 것이 사실이다. 기존의 오프라인 교육에 비하여 이 러닝의 질적 수준을 분석하는 이유는 그 동안 급속도로 발전된 이 러닝이 학습자들에게 훌륭한 학습경험을 주지 못하였고, 생각보다 결과가 저조하였으며, 무엇보다 투자된 비용에 비해 효과성이 저조하였다는 지적이 많기 때문이다 . 그동안 이 러닝에서의 많은 경험은 오랜 세월동안 익숙해왔던 오프라인수업을 중심으로 구성되어왔으며, 이 러닝에 종사하는 많은 전문가들도 대부분 오프라인에서의 교수-학습에 대한 경험을 바탕으로 이 러닝의 체제를 이해하여 왔다. Dublin&Cross (2003)에 의하면 과연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이 러닝에 대한 공통된 개념을 가지고 있으며, 학습자들이 단지 문제없이 이 러닝에 접속하여 끝까지 기술적인 문제없이 도달하는데서 끝나지 않고 얼마나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이 러닝이 의도한 학습과정에 흡수되는 가를 분석해 낼 수 있는가에 따라 이 러닝의 성공여부가 달려 있다고 한다. 본 논문은 이 러닝의 확산속도에 맞추어 질적 향상이 쉽게 이루어지지 않는 이 러닝의 현상을 분석해보고 이 러닝의 질적 발전을 위하여 고려하여야 하는 요소들은 무엇이 있으며 이들이 어떻게 조화를 이루어야 이 러닝이 질적으로 우수성을 가질 수 있는지에 대한 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 PDF

미디어 융복합 이러닝 콘텐츠 개발대가 산정기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andard Policy for the Development Cost of Media Convergence e-Learning Contents)

  • 한태인;노규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7호
    • /
    • pp.47-55
    • /
    • 2015
  • 지금까지 이러닝 콘텐츠 개발의 대가 기준은 실제 이러닝 산업의 특성을 반영하지 않은 채 기존의 유사한 산업의 산정표나 가이드라인에 따라 산정되어 왔다. IT와 교육이 융합된 이러닝 산업에서 콘텐츠 개발 대가 기준의 부재는 이러닝 산업을 이끌어 가는 기업들에게 큰 애로사항으로 인식되어 왔다. 이러닝 산업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한 개발 대가의 산정은 콘텐츠의 품질에 큰 영향을 끼치고 있으며, 이는 이러닝 산업의 성장과 발전을 저해하는 요인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이러닝 산업의 특성을 고려한 이러닝 콘텐츠 개발에 적합한 대가 기준을 제시하였다. 본문에서는 이러닝 산업의 콘텐츠 개발 대가 기준 책정에 대한 문제점과 그 특성을 분석하고, 기존의 대가 기준 산정 방식을 응용하여 이러닝 산업을 위한 콘텐츠 개발 대가 기준을 분류하고 정의하였다. 발주기관의 설문조사를 통해 이러닝 산업의 특성을 반영한 개발 대가 기준의 산정과 콘텐츠 개발 대가 기준 산정에 필요한 연구 방법론을 제시하여 이러닝 산업의 발전과 콘텐츠의 품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정책을 마련하고, 실질적으로 반영하여 사용함으로써 이러닝 산업이 보다 발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 러닝의 질적 향상 방안에 대한 연구 (A Study on e-Learning Quality Improvement)

  • 조은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5권5호
    • /
    • pp.316-324
    • /
    • 2005
  • 우리나라의 이 러닝은 그동안 양적으로 팽창한 만큼 질적인 부분에 대한 의구심이 팽배해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현재 시점에서 이 러닝의 질적 수준을 분석해야 하는 이유는 그 동안 급속도로 발전된 이 러닝이 학습자들에게 훌륭한 학습경험을 주지 못하였고, 생각보다 결과가 저조하였으며, 무엇보다 투자된 비용에 비해 효과성이 저조하였다는 지적이 많기 때문이다. 지난 몇 년 동안 이 러닝에서의 학습경험은 오랜 세월 익숙해왔던 오프라인수업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왔으며, 이 러닝에 종사하는 많은 전문가들도 대부분 오프라인에서의 교수-학습에 대한 경험을 바탕으로 이 러닝의 체제를 이해하여 왔다. Dublin&Cross에 의하면 과연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이 러닝에 대한 공통된 개념을 가지고 있으며, 학습자들이 단지 문제없이 이 러닝에 접속하여 끝까지 기술적인 문제없이 도달하는데서 끝나지 않고 얼마나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이 러닝이 의도한 학습과정에 흡수되는 가를 분석해 낼 수 있는가에 따라 이 러닝의 성공여부가 달려 있다고 한다 [12]. 본 논문은 이 러닝의 확산속도에 맞추어 질적 향상이 쉽게 이루어지지 않는 이 러닝의 현상을 심층 분석해보고 이 러닝의 질적 향상을 위하여 고려해야 하는 요소들은 무엇이 있으며 이들이 어떻게 조화를 이루어야 이 러닝이 질적으로 우수성을 가질 수 있는지에 대한 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 PDF

이러닝 활성화를 위한 이용자의 이용 동기와 만족도에 관한 실증적 연구 (Study on e-Learning Users' Motivation and Satisfaction for its Growth)

  • 백현기;하태현;강정화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5권1호
    • /
    • pp.131-140
    • /
    • 2007
  • This paper studies characteristics of e-Learning users' motivation, attitudes and satisfaction. For this purpose, surveys were conducted of university students who choose e-Learning as one of main learning tools. The research found that stable service and proper service charges were critical to the loyalty to e-Learning service. It also showed that both quality and quantity of contents were very important factors to e-Learning growth.

  • PDF

자기효능감과 서비스 품질이 e-학습 시스템의 사용용이성과 유용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elf-Efficacy and Service Quality on Ease of Use and Usefulness of an e-Loaming System)

  • 이웅규;이종기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12권2호
    • /
    • pp.41-56
    • /
    • 2003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s of e-teaming users' self-efficacy and perceived service quality for e-teaming staffs such as instructors or teaching assistants on two main perceptions for e-learning systems in a view of information technology -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usefulness which have been considered as important antecedents fo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so called in Technology Acceptance Model. For this purpose, we suggest a research model and test it empirically by sampling in students of virtual universities. In result, all hypotheses except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elf-efficacy and perceived usefulness are accepted. This result implies that self-efficacy for computers and service quality for staffs such as instructors or teaching assistants should be considered as important ones for success of e-learning systems in addition to those related with information technology.

  • PDF

수정된 고객만족지수를 이용한 품질속성의 동태성 분석 (Quality Dynamics Using a Modified Satisfaction Index)

  • 송해근;김인주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5권1호
    • /
    • pp.37-45
    • /
    • 2022
  • It is well known that the Kano model measures customer satisfaction and classifies quality attributes into must-be, attractive as well as one-dimensional.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ynamics of e-learning quality attributes by applying the proposed method using Kano's satisfaction index in the rapidly changing online learning environment. For this, the current study examined 27 e-learning quality attributes and conducted a comparative study using Kano's results obtained in 2013 and 2020. The result shows that the dynamics of quality attributes suggested by Kano(2001) is confirmed in the case of e-learning. The proposed approach shows better results in terms of Kano's direct classification method, and has potential application areas such as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n the area of risk assemement. Some suggestions for better understanding of the proposed SI-DI diagram are also included in this study.

Educational Paradigm Shift from E-Learning to Mobile Learning Toward Ubiquitous Learning

  • Gelogo, Yvette;Kim, Hye-jin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4권1호
    • /
    • pp.8-12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possible effect of the learning paradigm shift from traditional method to ubiquitous learning. What are the societal issues that need to be address in order to design a new pedagogical platform trending from e-learning to m-learning and now the u-learning? That without the proper study of how learning environment may affect the learn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ll lead to poor quality of education. This new era of learning environment offer a big opportunity for "anytime, anywhere" learning. Thus, Lifelong learning is at hand of everyone. Maximizing the benefit of new trend will be a great help and addressing the limitations will lead to quality education.

e-Learning 질향상을 위한 교수자 연수과정 개발사례 (A Case Study of Developing an e-Learning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Promoting Quality e-Learning Teaching)

  • 신소영;정애경;홍유나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65-75
    • /
    • 2006
  • 정보통신기술의 발단과 함께 학교교육에서도 e-Learning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지만, 새로운 교수방법의 활용에 따른 교수자 연수 프로그램의 보급은 미흡하다. 이에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는 공단에서 실시하는 e-Learning의 질 향상을 목적으로 e-Learning에서 교수활동을 제공하는 교수자의 능력향상을 위한 e-Learning 강사과정을 개발하였다. 과정개발을 위하여 e-Learning 교수자의 역할 및 역량을 탐색하고 현재 개발된 과정에 대한 분석과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내용구성이 이루어졌다. e-Learning에서의 교수자 역할을 콘텐츠개발과 운영으로 나누어, 개발 및 운영에 공통적으로 필요한 이론적 기반의 공통 모듈, 콘텐츠개발 모듈, e-Learning 운영모듈 등 3개 모듈로 개발하였다. 이들 모듈은 e-Learning 콘텐츠 개발과정 및 e-Learning 운영과정 등 2개의 과정으로 교수자의 역할에 따라 선택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각각의 과정에 공통모듈이 포함되도록 하였다. 이들 과정은 e-Learning에 참여하고자 하는 교수자에게 e-Learning에 대한 인식제고 및 교수활동에 실제적인 도움을 주어 e-Learning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e-Learning 플로우가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flow on learning performance in the e-Learning systems)

  • 이문봉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85-94
    • /
    • 2010
  • e-Learning으로 대변되는 교육의 변화는 교육환경의 기술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패러다임 자체를 바꾸어 놓고 있다. e-Learning 환경에서의 사용자는 시스템 사용자뿐만 아니라 학습자의 역할을 동시에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런 복잡한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보다 포괄적인 시각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포괄적인 시각을 연구하기에 앞서 학습자의 동기 유발에 초점을 두고 학습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플로우 이론을 이용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 첫째, 플로우의 구성 요소인 내재된 흥미와 주의집중은 종속 변수인 학습 성과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특히 내재된 흥미가 주의집중보다 더 중요한 요인으로 밝혀졌다. 둘째, 내재된 흥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정보 품질과 숙련도로 나타났으며, 셋째, 주의집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인지된 사용용이성, 숙련도, 컴퓨터 자기효능감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