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earning

검색결과 3,315건 처리시간 0.025초

e-learning의 학습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actors Associated with Effect of e-Learning)

  • 류근호;김병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5권2호
    • /
    • pp.53-60
    • /
    • 2005
  • e-teaming은 시간적, 공간적 제약으로부터의 자유스러움으로 인해 전통적 교육의 보조 도구로써, 또는 전통적 교육을 대신해서 이미 많은 부분에서 e-learning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은 e-learning의 중요성과 그것이 차지하는 비중이 상당히 커져 있는 시점에서 e-learning 교육 경험자들이 인터넷 기반 e-learning의 학습효과를 전통적 교육에 비해 어느 정도로 인식하고 있는지에 대한 조사를 수행하였다. 또한 인터넷 기반 e-learning의 학습효과에 대한 요인변수를 도출하고, 인터넷 기반e-loaming의 학습효과로 인식하는 정도가 어떠한 요인에 의해 얼마만큼의 영향을 받고 있는지를 파악하여 제시하였다.

  • PDF

규칙유도기법을 이용한 이러닝 시스템의 재이용의도 영향요인 분석 및 예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and Forecast of Effect Factors in e-Learning Reuse Intention Using Rule Induction Techniques)

  • 배재권;김진화;정화민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17권2호
    • /
    • pp.71-90
    • /
    • 2010
  • Electronic learning(or e-learning) has created hype for companies, universities, and other educational institutions. It has led to the phenomenal growth in the use of web-based learning and experimentation with multimedia, video conferencing, and internet-based technologies. Many researchers are interested in the factors that affect to the performance of e-learning or e-learning services. In this sense, this study is aimed at proposing e-learning system reuse prediction models in which e-learner intention to reuse influence factors(i.e., system accessibility, system stability, information clarity, information validity, self-regulated efficacy, computer self-efficacy,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flow, and parental expectation) affect e-learner intention to reuse positively. A web survey was conducted for the full members of the e-learning education institute A in Seoul, Republic of Korea, an exclusive e-learning company that provides real time video lectures via the desktop conferencing system. The web survey was conducted for 20 days from November 5, 2009, through the e-learning web site of the company A. In this study, three data mining techniques were used : the multivariate discriminant analysis, CART, and C5.0 algorithm.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the e-learning service providers, e-learning operators, and contents developers with marketing and management strategies for improving the e-learning service companies, based on the data mining analysis results.

  • PDF

e-Learning 이용자 특성과 만족에 관한 연구

  • 문태현
    • 정보학연구
    • /
    • 제6권3호
    • /
    • pp.137-150
    • /
    • 2003
  • e-Learning 시장은 급속도로 성장할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 반면 이와 관련한 정책적 제도는 아직까지 미흡한 실정이다. e-Learning 서비스를 이용하는 소비자들은 상대적으로 저연령의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기존 사교육인 학원 등과 병행하여 이용되고 있고, 지출비용은 평균 4만원 정도로 나타났다. e-Learning 이용경험자들은 비교적 만족하고 있으나 계약 및 해약과정, 이용요금 분야에서는 상대적으로 만족 수준이 낮았다. 특히, e-Learning을 이용함에 있어서 소비자의 과거 피해경험 여부가 소비자의 만족도에 상당한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어 e-Learning 사업자들의 소비자보호가 상당히 중요한 요인으로 대두되고 있음을 보여 주었다.

  • PDF

e-Learning 환경에서의 협력학습을 위한 학습모형 및 학습행위요소 개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ollaborative Learning Model and Behavioral Elements in e-Learning Environment)

  • 이인숙;임정훈;성은모;진성희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27-36
    • /
    • 2006
  • 본 연구는 e-Learning 협력학습 기술 개발 지원을 위한 기반 연구로서, e-Learning 에서의 협력학습을 위한 기본모형 개발과 협력학습 활동에서 발생하는 학습자들의 학습행위요소를 세부적으로 분석 제시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면대면 교실수업에서 이루어져 온 다양한 협동학습 모형들을 분석하였으며, 면대면과 온라인 환경에서 협력학습 및 커뮤니케이션 활동을 강조하는 문제중심학습, 프로젝트 학습, 탐구학습, 토론학습 등 교수모형에 기초한 주요 학습모형들의 절차와 단계, 학습활동 등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e-Learning에서의 협력학습을 위한 일반 모형과 세부 학습행위요소들, 그리고 시스템적 지원기능들이 제시되었으며, 추후 연구를 위한 과제가 제안되었다.

  • PDF

중학교 과학 ‘지질’ 영역에서 e-Learning 활용 수업이 장·단기 파지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Instruction using the e-Learning in ‘Geological’ Unit of Middle School Science on Long and Short Term Retention)

  • 이재응;이용섭;김상달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469-476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7차 교육과정에서 크게 대두되고 있는 새로운 형태의 교수?학습방법의 한 형태인 e-Learning이 학습자의 파지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e-Learning을 이용하여 중학생들이 ‘지각의 물질’ 단원에서 장?단기 파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경상남도 양산시의 중학교 1학년 2개 학급 72명을 대상으로 e-Learning을 활용한 수업 전-후에서 과학 학업 성취도와 e-Learning에 대한 인식을 조사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e-learning 활용수업은 학습자의 단기파지에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둘째, 장기파지에 미치는 효과는 유의수준 .05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e-Learning을 활용한 수업이 장기파지에 긍정적인 반응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과지도를 이용한 e-Learning 품질관리 모델링 (Modeling of e-Learning Quality Assurance using CLD)

  • 이준희;류관희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427-435
    • /
    • 2010
  • 교육기관들은 e-Learning이 지속적으로 교육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오프라인 교육에 대한 대안으로 증가되었기 때문에 e-Learning 품질관리를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e-Learning이 전통적인 교수-학습 모델과 항상 일치하지는 않으며, 서비스 설계와 구현에서 더 많은 주의가 필요하기 때문에 현재까지 다양한 e-Learning 품질관리 기법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학습 객체 중심의 e-Learning 품질관리는 부분적이고 정적인 관리를 사용하기 때문에 많은 문제점을 가진다. 본 논문에서는 인과지도(CLD: Causal Loop Diagram)를 이용한 동태적인 e-Learning 품질관리를 제안하였다. 제안 방법은 기존 방법보다 더 효율적이며 e-Learning에서 관리적인 문제들에 대해서도 중요한 전략을 제공한다.

  • PDF

수정된 SCORM 표준을 적용한 목표지향 개인화 이러닝 시스템 설계 연구 (The Study on Goal Driven Personalized e-Learning System Design Based on Modified SCORM Standard)

  • 이미정;박종선;김기석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231-246
    • /
    • 2008
  • This paper suggests an e-learning system model, a goal-driven personalized e-learning system, which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learning. An e-learning system following this model makes the learner choose the learning goal. The learner's choice would lead learning. Therefore, the system enables a personalized adaptive learning, which will raise the effectiveness of learning. Moreover, this paper proposes a SCORM standard, which modifies SCORM 2004 that has been insufficient to implement the "goal driven personalized e-learning system." We add a data model representing the goal that motivates learning, and propose a standard for statistics on learning objects usage. We propose each standard for contents model and sequencing information model which are parts of "goal driven personalized e-learning system." We also propose that manifest file should be added for the standard for contents model, and the file which represents the information of hierarchical structure and general learning paths should be added for the standard for sequencing information model. As a result, the system could sequence and search learning objects. We proposed an e-learning system and modified SCORM standards by considering the many factors of adaptive learning. We expect that the system enables us to optimally design personalized e-learning system.

A SCORM-based e-Learning Process Control Model and Its Modeling System

  • Kim, Hyun-Ah;Lee, Eun-Jung;Chun, Jun-Chul;Kim, Kwang-Hoon Pio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5권11호
    • /
    • pp.2121-2142
    • /
    • 2011
  •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Learning process control model that aims to graphically describe and automatically generate the manifest of sequencing prerequisites in packaging SCORM's content aggregation models. In specifying the e-Learning activity sequencing, SCORM provides the concept of sequencing prerequisites to be manifested on each e-Learning activity of the corresponding tree-structured content organization model. However, the course developer is required to completely understand the SCORM's complicated sequencing prerequisites and other extensions. So, it is necessary to achieve an efficient way of packaging for the e-Learning content organization models. The e-Learning process control model proposed in this paper ought to be an impeccable solution for this problem. Consequently, this paper aims to realize a new concept of process-driven e-Learning content aggregating approach supporting the e-Learning process control model and to implement its e-Learning process modeling system graphically describing and automatically generating the SCORM's sequencing prerequisites. Eventually, the proposed model becomes a theoretical basis for implementing a SCORM-based e-Learning process management system satisfying the SCORM's sequencing prerequisite specifications. We strongly believe that the e-Learning process control model and its modeling system achieve convenient packaging in SCORM's content organization models and in implementing an e-Learning management system as well.

미래 e-러닝 시나리오에 기반을 둔 e-러닝 표준화 로드맵 (E-learning Standardization Roadmap Based on the Future E-learning Scenarios)

  • 최현종;조용상;박웅규;김태영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27-38
    • /
    • 2007
  • 이 연구는 미래 e-러닝 모습에 기반을 둔 e-러닝 표준화 로드맵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우선 IT 기술, 교육, 표준화 기관 전문가로 구성된 e-러닝 표준화 위원회를 구성하였고, 이 위원회는 본 연구의 진행 과정과 연구물을 검토해 주었다. 연구의 첫 단계로 국내외 e-러닝 현황과 관련 연구를 조사한 다음, 이를 바탕으로 e-러닝 시나리오를 먼저 작성하였다. e-러닝 시나리오는 탑다운 방식의 로드맵 개발 방법론을 채택하여 2015년의 초중등 교육 대학 교육, 평생 교육 세 개의 e-러닝 시나리오를 작성하였다. 두 번째 단계로는 이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현재 e-러닝 표준화 요소와의 차이 분석을 통해 e-러닝 표준화 로드맵 v2를 작성하였다. 작성된 미래 e-러닝 시나리오와 e-러닝 표준화 로드맵은 교사, 교육 전문가 등 e-러닝 수혜자들이 미래의 e-러닝을 대비하고, e-러닝 표준화를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