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Instruction using the e-Learning in ‘Geological’ Unit of Middle School Science on Long and Short Term Retention

중학교 과학 ‘지질’ 영역에서 e-Learning 활용 수업이 장·단기 파지에 미치는 효과

  • Lee, Chai-Eung (Department of Earth Science Education, Busan National University) ;
  • Lee, Yong-Seob (Department of Earth Science Education, Busan National University) ;
  • Kim, Sang-Dal (Department of Earth Science Education, Busan National University)
  • 이재응 (부산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 이용섭 (부산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 김상달 (부산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Published : 2005.08.01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new learning method called, 'e-Learning,' by applying this method on a middle school science curriculum and study the influence it has on the students’ short and long term memory. The study was performed on two classes of sixth grade students at 'K middle school' in Yangsan. By handing out structured study assignment in e-Learning, I was able to observe how it affected the learners’ short and long term reten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lasses that underwent studies using e-Learning did not show any influence on short term retention. Second, e-Learning had positive influence on long term retention. Third, learners who experienced e-Learning had positive cognition on e-Learning.

본 연구에서는 7차 교육과정에서 크게 대두되고 있는 새로운 형태의 교수?학습방법의 한 형태인 e-Learning이 학습자의 파지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e-Learning을 이용하여 중학생들이 ‘지각의 물질’ 단원에서 장?단기 파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경상남도 양산시의 중학교 1학년 2개 학급 72명을 대상으로 e-Learning을 활용한 수업 전-후에서 과학 학업 성취도와 e-Learning에 대한 인식을 조사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e-learning 활용수업은 학습자의 단기파지에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둘째, 장기파지에 미치는 효과는 유의수준 .05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e-Learning을 활용한 수업이 장기파지에 긍정적인 반응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명희, 2000, 웹 기반 지식창출지원시스템의 개념적 모델. 교육공학연구, 16 (4), 2-21
  2. 교육부, 2000, 초.중등학교 정보통신기술 교육 운영지침. 교육부. 79p
  3. 교육인적자원부, 2001, 2001년도 교사 ICT활용 교육 연수 교재. 37 p
  4. 김상달, 이용섭, 김종희, 2004, 고등학교 지구과학 수업에서 ICT 활용 수업자료의 효과. 한국지구과학회지, 25 (5), 1-11
  5. 윤희숙, 2003, e-Learning에서 자기조절학습 촉진전략이 자기조절학습능력과 학업 성취에 미치는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12 p
  6. 이용섭, 김상달, 김종희, 2004, 초등학교 과학과 지진 학습에 대한 에니메이션 모듈 개발 및 적용. 한국지구과학회지, 25 (5), 293-302
  7. 이지연, 1996, 웹의 메뉴 유형과 학습자 인지양식에 따른 정보 탐색 과정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5 p
  8. 장옥화, 1992, 과학교수 전략으로서의 개념도 활용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0 p
  9.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3, 대학 e-Learning 지원센터 구축 계획안. 12. p
  10. 신혜정, 2003, WBI에서 학습자의 인지양식과 과제 구조화 유형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69
  11. 김언주, 1991, 수업방법이 학습자의 장.단기 파지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7 p
  12. McCombs, B. L., Marzano, R. J., 1990, Putting the self in self-regulated learning: the self as agent in integrating will and skill. Educational Psychology, 25 (1), 51-69 https://doi.org/10.1207/s15326985ep2501_5
  13. Paris, S. G., Newman, R. S., 1990, Developmental aspects of self regulated learning. Educational Psychology, 25 (1), 87-102 https://doi.org/10.1207/s15326985ep2501_7
  14. Young, J. D., 1996, The effect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on performance in computer-based instruction. 44 (2), 17-27 https://doi.org/10.1007/BF02300538
  15. Zimmerman, B. J., 1990,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An Overview Educational Psychologist. 25 (1), 3-17 https://doi.org/10.1207/s15326985ep2501_2
  16. Zimmerman, B. J., Martinez-Pons, M. 1986, Development of a structured interview for assessing student use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23 (4), 614-628 https://doi.org/10.3102/000283120230046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