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Book services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22초

e-서비스 품질 평가모형을 이용한 전자책 서비스 이용자 만족도 연구 (E-book Customer Service Satisfaction by Using E-S-Qual)

  • 김동은;안나연;이경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559-570
    • /
    • 2014
  • 본 연구는 기존의 e-서비스 품질 평가에 관한 최근 문헌을 토대로 도서관 위주의 연구에만 국한된 전자책 서비스 품질 연구를 발전시켜, 개인 고객의 전자책 콘텐츠 서비스 이용을 중심으로 시스템, 콘텐츠, 사후관리 서비스에 따른 만족도와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e-서비스 품질 평가 모형과 도서관서비스 품질평가 연구모형을 바탕으로 전자책 서비스 이용자 만족도 측정에 있어 중요한 요소로 작용 가능한 사후 관리 서비스 요인을 추가하였다. 기존의 전자책 서비스 기업들이 보다 효율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나아가 서비스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좀 더 다양한 콘텐츠의 제공과 함께 전자책에 특화된 서비스의 개발 및 다양성과 최신성이 확보된 콘텐츠가 요구된다. 더불어 제품 서비스 판매 이후 이루어지는 신속한 사후관리 서비스는 고객만족을 위한 중요한 변수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콘텐츠 시스템뿐만 아니라, 고객이 원하는 수준의 사후 관리 서비스의 제공을 통해 기존 고객을 만족 시키고 신규 고객을 창출할 수 있다.

스마트기기 기반의 전자책 수용 모형 (An eBook Adoption Model Based on Smart Devices)

  • 전병국;윤미선;김승렬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255-273
    • /
    • 2014
  • The widespread use of smart phones and smart pads has given rise to the use of eBook services based on these smart devices. Consequently, the size of eBook services has exploded both in the domestic as well as overseas market. However, the growth curve becomes flatter than before, and the adoption rate is still not high in Korea. Hence, this study explores the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to use eBook services based on smart devices, and their relationships. Finally, we propose an eBook adoption model, which extends the Technology Adoption Model.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o validate the research model. By applying Partial Least Squares, we found that there are strong relationships among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perceived playfulness, social influence, and intention to use. In addition, we found that smart devices enjoyment positively affects the perceived playfulness of eBooks, and that personal innovativeness positively affects perceived ease of use. Our findings shed some light on how to design eBook services based on smart devices.

공공도서관 전자책 서비스 이용자 만족도 조사 연구 - 서울시 강동구 도서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User Satisfaction of Public Library e-Book Services: Focusing on Gangdong District Library in Seoul)

  • 이윤경;차미경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235-257
    • /
    • 2023
  • 예고 없이 찾아온 팬데믹은 물리적인 장서와 공간의 한계를 체감하게 하였으며, 도서관의 디지털 역량과 지속가능한 도서관 서비스에 관한 논의가 확산되고 있다. 공공도서관의 전자책 서비스는 자치구 단위까지 확대되어 서비스 활성화를 모색해야 하는 단계에 와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 전자책 서비스의 현황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서울시 강동구 도서관을 대상으로 이용자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전자책 콘텐츠 확대, 이용자 지원 서비스 강화, 전자책 시스템 관리체계 개선의 세 가지 측면에서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전자책에 대한 도서관의 학부모 이용자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arents' Perception about E-books in Libraries)

  • 정연경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09-127
    • /
    • 2011
  • 본 연구는 도서관 이용자인 학부모들의 전자책에 대한 인식과 도서관의 전자책 서비스 만족도를 살펴보고, 향후 도서관의 전자책 서비스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5개 도서관의 초등학생을 둔 학부모 150명을 대상으로 도서관 이용, 컴퓨터 이용, 전자책 이용 행태, 도서관 전자책 서비스 이용 행태, 어린이 전자책 선정 등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123명으로부터 설문 응답을 받았다. 이를 바탕으로 도서관의 전자책 서비스 개선 방안을 보다 적극적인 도서관 전자책 서비스 홍보와 이용 교육, 이용하기 편리한 전자책 이용 과정, 도서관의 인적 물적 지원을 통한 전자책 서비스의 인지, 전자책 전담 사서와 전문 교육과정의 준비, 도서관 전자책 서비스 자체 평가를 통한 지속적인 서비스 개선으로 제시하였다.

대학도서관 전자책 관리 및 서비스 실태 분석: A와 B 대학도서관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f the Current Practice of E-book Management and Services in Academic Libraries : Focused on A and B Academic Libraries)

  • 김수정;이지원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167-190
    • /
    • 2016
  • 본 연구는 국내 대학도서관에서 전자책 관리 및 서비스 실태를 파악하고 관련한 현안을 진단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지방에 소재하는 A와 B대학도서관을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각 도서관으로부터 전자책 관리 및 서비스 이용통계를 수집하였으며 전자책 담당사서들과 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은 전자책 도입현황, 예산 및 수서, 접근 및 목록, 이용, 홍보 측면에서 실태를 조사하고 전자책 관리 및 서비스의 어려움과 현안에 대해 의견을 수집하였다. 분석 결과, 두 대학 모두 종이책과 비교했을 때 전자책 이용률이 낮았으며 특히 최근에 이용률이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자책 예산 확보의 어려움으로 인한 신간도서 미비가 주요한 원인으로 보인다. 또한 전자책 수서와 관련한 가장 중요한 현안은 2015년에 제정된 대학도서관진흥법에 따른 대학도서관 평가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도서관 평가기준이 현재 전자책 수서 및 관리 방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논의하였다.

대학도서관 전자책 서비스 이용자 만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User Satisfaction with e-Book Services in University Libraries)

  • 남영준;최성은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287-310
    • /
    • 2011
  • 이 연구는 우리나라 대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대학도서관 전자책 서비스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전자책 이용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고자 이용행태를 조사하였고, 전자책 이용행태와 전자책 서비스품질차원에 따른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대학도서관 전자책 서비스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는 평균 2.93으로 보통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이용빈도가 높은 이용자일수록 만족도가 높았고, 저학년 집단에 비해 고학년 집단과 대학원집단이 전자책서비스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전자책서비스품질차원은 콘텐츠이며, 도서관 지원서비스, 시스템 순으로 영향을 미쳤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향후 전자책에 기반한 대학도서관 서비스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도서관 홍보를 비롯하여 이용자 교육의 강화, 콘텐츠의 다양성과 최신성을 유지할 것을 제안하였다.

전자책 서비스 중심의 병영도서관 활성화 방안 (A Study on the Operation Status and Development Strategies of Korean Military Libraries: Focused on the e-Book Services)

  • 전경선;이지수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95-324
    • /
    • 2022
  • 본 연구는 병사들의 독서환경 접근성을 높이고, 병영도서관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전자책 서비스를 중심으로 병영도서관 및 전자책 서비스 운영 현황을 분석하였으며, 병사 대상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전자책 이용현황 및 관리의 문제점을 보다 심층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도서관 관계자 및 전자책 운영 실무자(담당자)와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병사들의 부대 내 전자책 접근 환경에 대한 만족도는 낮게 나타났으며, 전자책 이용 활성화를 위해서는 부대 내 IT 환경, 기기, 접근 허용 시간 등의 환경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인터뷰 결과에서는 전자도서관의 낮은 이용률 및 인지도, 전자책 보급 시 유통업체마다 각기 다른 전자책 뷰어 및 관리 시스템 문제, 진중문고 관리 및 접근성 향상을 위한 전자책 보급, 전자책 전용기기 보급 등의 문제점과 개선사항 등이 제기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전자책 서비스 홍보 및 교육 프로그램 다양화, 전자책 운영 및 이용 증진을 위한 디바이스 및 플랫폼 활용, 전자책 라이선스 및 수서 시스템 개선, 진중문고 전자책 서비스의 단계적 도입 등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도서관을 통한 어린이 전자책 서비스에 관한 연구 - A대학 도서관의 이용 현황 분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f the E-book Services for Children Through Libraries)

  • 정진한;박일종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23-344
    • /
    • 2007
  • 본 연구는 어린이전자책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를 통해 전자적인 형태의 아동 도서에 대한 주도권을 포털사이트에서 도서관으로 이동시키고 도서관의 정보서비스를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A 대학도서관에서 서비스 중인 어린이전자책사이트이용현황을 주 분석대상으로 정하였으며, 도서관어린이전자책서비스의 활성화를 위한 바람직한 수서정책도 제시하였다.

활동이론에 근거한 대학도서관 전자책 서비스 담당자의 업무 분석 (Task Analysis of E-Book Service Academic Librarians Based on Activity Theory)

  • 조예본;이종욱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89-109
    • /
    • 2021
  •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 전자책 서비스 담당자의 업무 활동과 업무 수행의 어려운 점을 분석하여 서비스 업무 개선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학술정보통계시스템을 참고하여 전자책 보유 종수가 많은 대학의 전자책 서비스 담당자 9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였고, 수집한 자료는 활동이론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담당자들은 전자책 서비스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도구를 활용하고 있었으며, 교내외의 여러 구성원들과 소통하고 있었다. 또한 각 구성원들의 분업을 통해 서비스 업무가 지속되고 있었으며, 전자책 서비스 업무 활동과 관련한 교내 및 교외 수준의 규칙이 존재했다. 그러나 업무 활동 과정에서 예산 부족, 국내 전자책의 상이한 제작 방식과 이로 인한 이용의 불편함, 일부 구성원과의 의견 충돌 등의 갈등이 파악되었다. 나아가 담당자들이 언급한 전자책 서비스 개선방안을 콘텐츠 측면, 시스템 측면, 정책적 측면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북스캔을 이용한 도서 손상 단계에 따른 딥 러닝 기반 도서 복구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Book Recovery Method Depending on Book Damage Levels Using Book Scan)

  • 석경호;이주희;박병찬;김석윤;김영모
    •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154-160
    • /
    • 2023
  • Recently, with the activation of eBook services, books are being published simultaneously as physical books and digitized eBooks. Paper books are more expensive than e-books due to printing and distribution costs, so demand for relatively inexpensive e-books is increasing. There are cases where previously published physical books cannot be digitized due to the circumstances of the publisher or author, so there is a movement among individual users to digitize books that have been published for a long time. However, existing research has only studied the advancement of the pre-processing process that can improve text recognition before applying OCR technology, and there are limitations to digitization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book. Therefore, support for book digitization service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physical book is needed. need.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to support digitalization services according to the status of physical books held by book owners. Create images by scanning books and extract text information from the images through OCR. We propose a method to recover text that cannot be extracted depending on the state of the book using BERT, a natural language processing deep learning model.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recovery method using BERT is superior when compared to RNN, which is widely used in recommendation technolog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