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커머스

검색결과 81건 처리시간 0.025초

중국의 웨이신(WeChat) 기반 소셜커머스에서 온라인 구전 신뢰성의 결정요인: 휴리스틱-체계적 모델(HSM)의 적용 (Determinants of Credibility of Electronic Word-of-Mouth (eWOM) in WeChat-based Social Commerce: Applying the Heuristic-Systematic Model)

  • 곡민;최수정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26권4호
    • /
    • pp.107-135
    • /
    • 2017
  • Purpose Along with the growth of smart phones and social networking service (SNS), social commerce continues to expand. Although online reviews have become an important source of the information that consumers use to make purchasing decisions, theoretical development and empirical testing in this area are still limited. Thus, there is a need to develop further understanding about the influence of electronic word-of-mouth (eWOM). Drawing upon the heuristic - systematic model (HSM) which is one of the dual-process theories, this study develops a research model that explains key factors influencing consumers' eWOM credibility. Furthermore, this study verifies that consumer's eWOM credibility is a key determinant of eWOM and purchase intentions. Design/methodology/approach The proposed model is empirically tested with 493 users who have experience in WeChat-based social commerce.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analysis is used to evaluate the research model and hypotheses. Finding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rgument quality of eWOM (a systematic factor) has a positive effect on eWOM credibility. Second, source credibility and recommendation consistency of eWOM (heuristic factors)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eWOM credibility. Finally, purchase and eWOM intentions greatly depend on eWOM credibility. These results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HSM in explaining eWOM mechanisms in SNS-based social commerce. The details of findings and implications are presented.

소셜커머스의 쇼핑 가치와 재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및 소셜커머스 특성과 지각된 보안의 조절효과에 대한 연구 (An Empirical Study on Individual and Social Commerce Factors Impacting Shopping Value and Intention to Repurchase in Social Commerce and Moderating Effects of Perceived Security)

  • 김상현;박현선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31-53
    • /
    • 2013
  • Web 2.0 has affected existing e-commerce and created a new business model of e-commerce, known as social commerce. Social commerce is a subset of e-commerce using social network services and is emerging as an important platform due to increased popularity of social networking services. This study focuses on analyzing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shopping value and intention to repurchase of social commerce users. Based on prior researches, we develop a research model, including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social commerce users (Collectivism, Price Sensitivity, Impulse Buying) and social commerce characteristics (Cost saving, Product Variety, Shopping Convenience). Furthermore, this study proposed the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Securit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hopping value and intention to repurchase. To empirically validate,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20 social commerce users. The results indicated that individual characteristics (collectivism, price sensitivity, impulse buying) were positively related to hedonic shopping value. In addition, social commerce characteristics (cost saving, shopping convenience) were positively related to utilitarian value. The shopping value(hedonic and utilitarian)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intention to repurchase. The moderating effects of perceived security also was significant. Lastly, the implications for theory and practice are discussed.

공동구매형 소셜커머스에 대한 중국 소비자의 재구매 의도에 관한 연구:쇼핑습관을 조절변수로 (Study on Chinese Repurchase Intention of Group-buying Social Commerce:The Moderating Role of Shopping Habit)

  • 천슈앙;이경락;이상준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169-181
    • /
    • 2017
  • 본 연구는 공동구매형 소셜커머스 이용자의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행된 연구이다. 연구 가설을 검정하기 위해 최근 중국에서 공동구매형 소셜커머스를 이용해 본 소비자를 대상으로 396부 설문지를 수집하였으며 AMOS 22.0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치, 만족, 신뢰는 재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영향강도는 만족, 신뢰, 가치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시스템품질, 서비스품질과 정보품질은 가치, 만족 및 신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쇼핑습관의 조절효과에 대한 검증 중에서 쇼핑습관이 낮은 경우보다 높은 경우에 가치가 재구매의도에 더 영향을 미치고 쇼핑습관이 높은 경우보다 낮은 경우에 신뢰와 만족이 재구매의도에 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점도 제시되었다.

소셜커머스의 이용동기와 혜택 및 손실요인이 제품 구매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otives and benefits and loss factors of social commerce on the product purchase satisfaction)

  • 이상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9호
    • /
    • pp.149-158
    • /
    • 2016
  • 최근 전자상거래의 이슈가 되고 있는 소셜커머스를 이용하는 쇼핑에 대한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이려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소셜커머스 이용동기와 혜택 및 손실요인이 구매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소셜커머스 사이트를 이용하는 동기요인중 경제적동기와 쾌락적동기 및 편의적 동기요인이 구매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셜커머스 쇼핑이용을 통해 얻은 혜택요인 중 심리적혜택과 가격혜택요인이 구매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소셜커머스 이용 시 경제적 손실감을 적게 느낄수록, 이용불편감이 적게 느낄수록 구매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혜택요인이 손실요인에 비해 상대적 영향력이 크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소셜커머스 사이트를 이용하는 소비자 관점에서 의미있는 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협업필터링을 이용한 사회연결망서비스(SNS)용 온라인 평판시스템 신뢰도 향상에 관한 연구 (Credibility Enhancement of Online Reputation Systems for SNS Using Collaborative Filtering Method)

  • 조진형;강환수;김시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2호
    • /
    • pp.115-120
    • /
    • 2017
  • 본 연구는 온라인 사회연결망서비스(SNS)를 기반으로 하는 전자상거래, 즉 소셜 커머스 상의 콘텐츠 또는 상품광고에 대하여 형성되는 사용자 평판 형성의 신뢰도를 강화시키는 기법을 도출하고자 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온라인 평판정보는 소비자들의 의사결정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평가자의 주관적 성향에 의존적이고 또한 이러한 평가를 자신 또는 판매자의 이익을 위해 악용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온라인 여론 형성의 신뢰도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협업필터링 기법을 기반으로 각 사용자 평판에 차별적인 가중치를 부여하는 방식을 적용해 SNS용 온라인 평판시스템 신뢰도를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사용자 평가 값에 각 개인의 신뢰도 가중치를 반영함으로써 좀 더 신뢰할 수 있는 평판결과를 제시할 수 있고, 아울러 특정집단의 이익을 위해 사용자 평판시스템을 악용하는 것을 막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라이브 커머스의 충동구매행동에 대한 영향 요인 - 의사사회적 상호작용, 과업 복잡성과 지각된 정보의 양을 중심으로 - (Factors Boosting Impulse Buying Behavior in Live-streaming Commerce - Roles of Para-social Interactions, Task Complexity and Perceived Amount of Information)

  • 김효정;이유리;박민정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70-83
    • /
    • 2021
  • Live-streaming commerce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noticeable trend in the retail industry. It is a new mobile shopping service platform developed by combining live streaming with e-commerce technologies. This study examined the impact of para-social interactions on consumer impulse buying behavior and investigated the impact through task complexity as well as perceived amount of information. To achieve this goal, 203 women using a mobile commerce participated in an online survey after experiencing beauty live-streaming commerc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AMOS 23.0, and SPSS PROCESS Macro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that para-social interactions negatively influenced task complexity, positively influenced perceived amounts of information, and positively influenced impulse buying behavior. In addition, impulse buying behavior was negatively influenced by task complexity versus positively that was influenced by perceived amounts of information. The impact of para-social interactions on impulse buying behavior is mediated by task complexity and perceived informa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ntribute to the theoretical extension of para-social interaction on impulse buying behavior in the context of live-streaming commerce.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suggest practical marketing strategies for digital media commerce retailers.

A Study on Blockchain-Based Mass NFT Content Minting

  • Byong-Kwon Lee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5호
    • /
    • pp.49-56
    • /
    • 2023
  • 현재, 전자상거래는 디지털 트윈에서 메타버스 세상으로 변화되고 있다. 메타버스 세상은 가상 및 현실세계의 중간 형태로 코인 기반의 메타커머스(Meta-commerce)로 운영된다. 이러한, 메타커머스 세상은 아이템(콘텐츠)을 거래할 경우 블록체인 기반의 NFT 코인을 사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단일형태의 NFT 발행이 아닌 대량 NFT 코인(인증)을 발행하는 방법에 관해 연구했다. 연구방법은 대량 NFT 색인 및 자동생성 방법으로 콘텐츠를 레이어(layer) 기반으로 제작하고 원하는 수량만큼 자동생성하도록 설계했다. 본 연구에서는 대량 민팅(minting)을 위해 NodeJS 기반의 프로그램으로 레이어 중첩 방법(배경, 본체, 기타)을 사용했다. 이렇게 만들어진 NFT 콘텐츠는 그룹 증명의 가치로 모임 및 그룹의 증명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의 증명서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제작된 콘텐츠 NFT 색인하고 NFT 마켓플레이스(Martplace) 사이트에 폴리곤 코인으로 NFT를 발행했다.

인터넷 비즈니스 소셜커머스 충성도에 관한 연구 -중국소비자들을 중심으로- (Study on internet social commerce business loyalty -Focusing on Chinese consumers-)

  • 정인숙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471-482
    • /
    • 2015
  • 최근 IT업계의 최대 이슈는 소셜커머스이며, 유통시장의 거대한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소셜커머스의 시장은 앞으로 성장성이 높을 것이라 기대하며, 소셜커머스 업체들이 급속도로 생겨날 것이다. 현재 한국과 중국 모두 소셜커머스 시장이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중국소비자들의 소셜커머스 이용에 있어 고려하는 요인과 만족요인 그리고 손실요인과 소셜커머스 쇼핑가치 요인은 무엇인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첫째, 소셜커머스 이용에서 고려요인은 가격요인, 편의요인, 제품요인 그리고 사이트 요인의 4개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소셜커머스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만족요인을 확인하였다. 셋째, 소셜커머스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손실요인을 확인하였다. 넷째, 소셜커머스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쇼핑가치요인은 쾌락요인과 실용적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중국소비자들의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중국인의 인터넷 소비문화에 대한 이해와 중국 온라인 시장에서의 문화마케팅전략을 수립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CJ E&M의 성장성 요인과 촉진전략: 다이아모델 분석과 4P를 중심으로 (Growth factors and promotion strategies of CJ E&M: Focusing on the diamond model analysis and 4P)

  • 김정연;박상현
    • 산업진흥연구
    • /
    • 제6권4호
    • /
    • pp.11-21
    • /
    • 2021
  • 본 연구는 콘텐츠 산업 대표 기업인 CJ E&M를 대상으로 기업 성장성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먼저 CJ E&M 성장 동력을 분석하고자 마이클 포터의 다이아몬드 모델을 활용하여 핵심요인을 검토하였으며, 이후 4P 모델을 기준하여 향후 기업 성장을 도모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기업 성장요인으로는 생산조건 측면에 다양한 장르에 기준한 미디어 콘텐츠와 스타급 인재 영입을 제시할 수 있으며, 수요조건 측면에서는 중국시장 수요조건을 충족 시켜왔다. 또한 관련 산업 측면에 K-Culture를 겨냥한 한류 산업을 뽑을 수 있으며 경영 여건 즉 전략, 구조, 경쟁 측면에 '투 트랙 전략인 글로벌·글로컬 전략, 미디어 커머스 전략이 유효하였다. 향후 발전 방향을 제시해 보면, 계열사 협업체계에 기초한 다양한 제품, 가격 측면에서 넷플릭스를 벤치마킹한 티빙을 제시하고자 하며, 유통경로 측면에서는 OTT 플랫폼의 글로벌 확장과 촉진 측면에서는 틱톡 플랫폼을 활용한 챌린지 마케팅을 활성화 시켜나갈 필요성이 있다.

소셜 커머스의 소비자 지각된 위험과 구전 방향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Consumer Perceived Risks and Valence of Word of Mouth Information on Purchase Intention in Social Commerce)

  • 심이석;이형재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73-93
    • /
    • 2013
  • This paper is a research on perceived risk of social commerce which has influence on purchase intention. This study uses a 3-dimension concept of perceived risk and then, deals with influencing a purchase intention. In addition, to search other influential variable to purchase intention, this study adds a variable with expected moderating effect. This study proposes several hypothesis and processes an experiment to test and attest these hypothesis.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effect that perceived risk in social commerce has on purchase intention. By the results of data analysis, all dimensions of perceived risk are found to have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on purchase intention. In addition, this study proves moderating roles of valence of WOM Information on purchase intention. Additional managerial implications are also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