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uck meat

검색결과 205건 처리시간 0.033초

조선시대(朝鮮時代) 궁중음식중(宮中飮食中) 찬물류(饌物類)의 분석적(分析的) 연구(硏究) (An analytical Studies on Side Dishes in the Royal Parties of Yi Dynasty)

  • 이효지;윤수석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01-115
    • /
    • 1986
  • This study was designed to establish Korean food culture by analizing 17 sets of Jinyounuigue(진연의궤) Jinchanuigue(진찬의궤), and Jinjarkuigue(진작의궤) which were the records of royal party procedures in Yi dynasty. Side dishes were classified into 20 groups in this study ; Tang (場) 19, Jungol (전골) 3, J'im 18, Jun (전) 20, Jock 14, Pyunuk (片肉) 14, Cho 12, Hyae 17, Po 8, Chae 3, Bung 1, Nanri 1, Sooran 1, Sookran 1, Jaban 1, Kimchi 2, etc. all of 140 different kinds of side dishes. There was no tendency in omission or addition of food materials. Food materials were beef, pork, lamb, chicken, duck, peasant meat, dock's egg, fish, shellfishes, mollusca, curstacea, seaweeds, vegetables, fruits, beancurds, muk (a starch jelly), d'ock, muchrooms, etc. Seasonings were soysauce, pepper, sesame oil, ginger, green-onion, garlic, bean paste, ginger powder, red pepper powder, red pepper paste, salts, vinegar, honey, sesame power, etc.

  • PDF

아스타잔틴 생성 균주(Xanthophyllomyces dendrohous)의 급여가 오리의 성장과 육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Astaxanthin Producing Bacteria (Xanthophyllomyces dendrohous) on the Growth Performance and the Meat Quality of Ducks)

  • 김경수;이민경;이우진;최양일;조성구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3권2호
    • /
    • pp.139-146
    • /
    • 2011
  • 항산화물질인 astaxanthin을 함유한 균주 Xanthophyllomyces dendrohous를 급여하여 오리의 성장 및 육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1일령 오리 450수를 공시하여 배합사료만을 급여한 대조구와 Xanthophyllomyces dendrohous가 함유된 사료첨가제를 사료의 0.1%, 0.2%씩 첨가한 처리구를 두었다. 오리의 성장과 육질을 분석한 결과, 평균증체량은 대조구에 비해 0.2%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높았고 사료요구율은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보였다. 일반성분검사 결과에서는 처리구의 오리고기 지방함량이 유의성 있게 낮았으며, 콜레스테롤 함량 역시 낮게 나타났다. 육질검사 결과 보수력, 육즙손실 및 전단력에 있어서도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우수한 결과를 나타냈다. 지방산 함량분석 결과는 포화지방산인 palmitic acid과 stearic acid이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불포화지방산인 oleic acid과 linoleic acid는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 Xanthophyllomyces dendrohous가 함유된 사료첨가제의 처리는 오리의 성장 및 육질개선과 지방산 조성 등에 있어 효과가 인정되어 고품질의 오리육 생산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저염분 해수사육 강도다리 Platichthys stellatus의 체성분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tarry Flounder Platichthys stellatus Meat Reared in Different Salinity)

  • 임한규;김영수;손맹현;김경덕;정민환;장영진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4권2호
    • /
    • pp.324-332
    • /
    • 2012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food value of starry flounder Platichthys stellatus reared in different salinity. Results of salinity experiment in starry flounder clearly showe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cohesiveness and hardness except springiness. Proximate composition of muscle, crude lipid at the salinity 0 psu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15 psu and 33 psu,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crude protein, moisture and ash. While variations in some amino acid composition, serine and threonine contents were observed among fishes reared in different salinity of water,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other amino acid contents. Muscle fatty acid composi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C16:0, C16:1n-7, C20:1n-9, C22:5n-3 and C24:0. Results of a sensory evaluation clearly indicate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odor and color of fish muscle reared in different salinity. But taste, texture and overall acceptability showed the lowest values in 0 psu.

새롭게 출현한 Arcobacter butzleri의 유기산과 trisodium phosphate 처리에 의한 생육저해효과 (Growth Inhibition of Newly Emerging Arcobacter butzlrei by Organic Acids and Trisodium Phosphate)

  • 장정순;이영덕;박종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1169-1173
    • /
    • 2003
  • 새롭게 출현한 식중독 세균으로 국내 유통 계육 등에 많이 오염이 되어 있는 Arcobacter butzleri를 제어하기 위해 여러 위생제 처리에 따른 생육영향을 평가하였다. 이들 균체에 1%농도의 유기산과 trisodium phosphate를 5, 10분간 처리한 결과 대부분이 10분 이내에 사멸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젖산의 경우는 5분 이내에 모든 균주가 사멸하였다. 배양할 때의 유기산의 농도별 생육영향은 1%의 농도로는 1시간 이내에, 0.1%의 농도에서 72시간 이내에 A. butzleri가 사멸한 것을 볼 수 있었으며, trisodium phosphate의 경우 2% 농도에서는 1 시간이내에 사멸하였다. 유기산 중에는 젖산의 생육저해효과가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hydrogen peroxide, sodium hypochlorite와 ethanol에 대한 사멸효과를 보았으나, 이 처리제는 효과가 나쁘거나 풍미에 영향을 주어 좋은 처리제라 할 수 없었다. 그리고 마늘과 양파즙에 대한 항미생물 작용에서 마늘에만 생육저해작용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젖산균이 생산하는 유기산에 의한 낮은 pH에 의한 저해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계육 등의 육가공 및 취급 시에 유기산 및 TSP 등을 이용하여 주요 Arcobacter에 의한 식중독저해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Effects of Dietary Energy Level on Growth Efficiency and Carcass Quality Traits of Finishing Pigs

  • Ha, Duck-Min;Kim, Gap-Don;Han, Jeong-Cheol;Jeong, Jin-Yeun;Park, Man-Jong;Park, Byung-Chul;Joo, Seon-Tea;Lee, C.-Young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2권3호
    • /
    • pp.191-198
    • /
    • 2010
  • A total of 96 non-lean-type (Yorkshire $\times$ Landrace) $\times$ Duroc gilts and barrows weighing approximately 80 kg were randomly allocated to 24 pens under a 2 (sex) $\times$ 3 [diet; 3.4, 3.2, and 3.0 Mcal DE/kg {'high'-, 'medium'-, and 'low'-energy diets (HE, ME, and LE), respectively}] factorial arrangement of treatments. All animals were slaughtered approximately at 115 kg, after which carcass quality traits and grades and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the loin related to meat quality were analyzed. The ADG and gain:feed were not affected by the sex or dietary treatment, whereas ADFI was greater in the ME vs HE group. Backfat thickness was greater in barrows vs gilts and also in ME and HE vs LE only in barrows. Enumerated carcass marbling and quality grade, which were highly correlated (r=0.56; P<0.01), were greater in barrows vs gilts.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including the color, pH, drip loss and contents of moisture, protein, and fat of fresh loin, as well as sensory characteristics of fresh and cooked loin, were not affected by the sex or dietary treatment, except for shear force for cooked loin which was greater (P<0.05) in LE and ME vs HE. In conclusion, it is thought that ME is comparable to HE in terms of the effect on growth and carcass quality of finishing pigs, but that the relative effect of LE vs ME needs to be further studied.

축육과 유사한 텍스쳐를 가진 어육단백질 농축물의 가공조건 및 저장중의 품질변화 -제 2 보 : 저장중의 품질변화- (Processing Conditions and Quality Stability during Storage of Meaty Textured Fish Protein Concentrate -II. Quality Stability during Storage and Utilization of Meaty Textured Fish Protein Concentrate from Filefish and Sandfish-)

  • 이응호;조덕제;전중균;차용준;김세권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43-48
    • /
    • 1982
  • 말쥐치 및 도루묵을 보다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축육과 유사한 텍스쳐를 가진 어육단백질농축물 저장 중의 품질 안정성 및 이용방안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제품은 함기포장하여 상온에 저장하여도 복수성, TBA값 및 갈변도 등에 큰 변화없이 90일간 품질이 안정하게 유지되었다. 햄버어그 및 튀김어단을 만들때 쇠고기 대신에 축육과 유사한 텍스쳐를 가진 어육단백질농축물을 50%까지 섞어도 맛, 냄새 및 텍스쳐 등에 별다른 손색이 없었다.

  • PDF

Astaxanthin을 생성하는 Phaffia rhodozyma를 포함한 미생물제제의 급여가 오리의 성장과 육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Probiotics Supplementation Contained with Astaxanthin Produced by Phaffia rhodozyma on the Productivity and Meat Quality of Ducks)

  • 김경수;이준훈;신명수;조미선;김영필;조성구;강연중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73-80
    • /
    • 2005
  • 본 연구는 갓 부화한 오리에게 astaxanthin 생성균주인 phaffia rhodozyma를 포함한 미생물제제를 사료에 첨가하여 급여시킴으로써 오리의 성장에 미치는 효과와 오리고기 육질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암수 동수의 1일령 오리 150수를 공시하여 배합사료에 미생물제제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C)와 Phaffia rhodozyma를 포함한 미생물제제를 첨가한 처리구(T)를 두었다. 처리구는 Phaffia rhodozyma가 제제에 $1\times10^8cfu/g$이 함유되도록 제조하여 사료에 $0.1\%$씩 혼합하여 급여하였다. 사양실험을 통하여 폐사율과 증체량, 사료효율을 조사하였고 45일령 때 도압하여 고기에 대한 일반성분조사, 육질검사, 관능검사, 지방산 분석, 콜레스테롤 분석, 저장시험, astaxanthin 함량 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미생물제제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는 $3.7\%$의 폐사율을, 처리구에선 $0\%$의 폐사율을 보여 병에 대한 저항성이 증가하였음을 보였다. 대조구의 경우 평균 2.68 kg의 증체를, 처리구는 2.84 kg의 증체를 보였다. 사료요구율도 대조구 2.15, 처리구 1.83으로 처리구의 효율이 유의성있게 개선되었다. 오리고기에 대한 육질검사 결과 대조구와 비교하여 처리구의 육질이 부드럽고 고소하였다. 일반성분검사 결과 처리구의 오리가 대조구에 비해 지방은 줄고 단백질함량은 높아졌으며, 콜레스테롤은 줄고 불포화 지방산의 함량이 높은 고품질의 고기임을 알 수 있었다. 오리 조직내의 카로티노이드 함량의 경우 처리구의 오리 조직 내에 astaxanthin과 $\beta-carotein$이 축적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레토르트 살균처리가 적색육 및 백색육 어류의 성분변화에 미치는 영향 -1. 함질소엑스분 및 텍스튜어의 변화- (Changes in Food Components of Dark, White-Fleshed Fishes by Retort Sterilization Processing -1. Changes in Nitrogenous Extractives and Textures-)

  • 오광수;성대환;최종덕;이응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23-129
    • /
    • 1991
  • 수산물을 원료로 한 고온가열처리 식품의 성분 및 품질변화에 관한 기초자료를 얻을 목적으로, 가다랑어육과 명태육을 각각 마쇄 균질화하여 각 3B관에 충전, 밀봉한 후 자숙처리($98^{\circ}C$, 30분) 및 $121.1^{\circ}C$에서 Fo 5, Fo 10, Fo 20에 달하는 열처리를 하여 이들 가열처리가 어육의 함질소엑스분 및 텍스튜어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실험하였다. 가열처리에 따른 시료 어육의 일반성분 변화에서, 수분함량은 가열처리 전에 비해 가열처리 후에, 또한 Fo값이 증가할수록 약간씩 감소하였고, 조단백질 및 조회분 함량은 상대적으로 약간씩 증가하였으며, 조지방 함량은 거의 변화가 없었다. 시료가다랑어육 및 명태육의_pH는 각각 5.46 및 6.63이었고, Fo 20 시료는 5.75 및 6.82로서 가열처리에 따라 점차 증가하였고, 휘발성염기질소량 역시 가열처리에 따라 현저히 증가하였다. 히스타민 함량은 시료 가다랑어육이 6.1mg/100g, 명태육이 0.1mg/100g이었고, 자숙처리에서는 각각 11.6mg/100g 및 0.3mg/100g, Fo 20 시료의 함량은 각각 8.2mg/100g, 0.1mg/100g이었다. 가다랑어육의 총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은 984.8mg/100g으로 histidine, taurine, alanine, leucine 및 lysine 등이 전체의 $87\%$를 차지하고 있었고, 명태육은 총함량이 282.3mg/100g이었고, taurine, alanine, glycine, glutamic acid 및 lysine 등의 함량이 많았다. 가열처리 정도가 커질수록 이들 총함량은 약간씩 감소하였고, 가다랑어육이 명태육에 비해 감소량이 많았다. 가다랑어육에서는 histidine, taurine 및 alanine의 감소가, 명태육에서는 taurine의 감소가 현저하였다. IMP함량은 가다랑어육의 142.2mg/100g, 명태육이 95.5mg/100mg으로 시료 조제 및 가열처리 중 상당량 감소하였으며, TMAO 함량은 가열처리 중 급속히 감소한 반면, TMA는 가열 전에 비해 급증하였다. Total creatinine 함량의 변화도 비교적 현저하여 Fo 20의 열처리에서 약 $10\%$ 내외가 감소하였다. 시료 어육의 경도, 질김성, 응집성 및 탄성의 변화에서 양 시료 모두 $95^{/circ}C$에서 30분간의 열처리보다 Fo 5의 열처리 쪽이 텍스튜어의 저하가 심하였다.

  • PDF

광주지역 유통 가금육에서 분리된 캠필로박터균의 유전적 특성 및 항생제 내성 (Antimicrobial Resistance and Genetic Characterization of Pathogenic Campylobacter spp. Isolated from Distribution Poultry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 이민규;정혜진;이세미;이향희;서은진;박정희;오그네;서시은;서정미;김애경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6-25
    • /
    • 2024
  •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에 유통·판매되고 있는 가금육을 대상으로 식중독 발생 가능성 높은 캠필로박터균의 검출여부와 분리된 균주의 항생제 내성 및 유전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전체 307건의 가금육(닭 223건, 오리84건) 중 111건에서 캠필로박터균이 검출(36.2%)되었고 116균주(Campylobacter jejuni 102균주, Campylobacter coli 14균주)를 분리하였다. 가금류별 캠필로박터균 검출률은 닭고기 26.0%, 오리고기 63.1% 이었고, 5건(닭 1건, 오리 4건)의 시료에서 Campylobacter jejuni, Campylobacter coli가 동시에 검출되었다. 분리된 균주의 항생제 내성 시험결과 99균주(85.3%)는 1가지 이상의 항생제에 대하여 내성을 보였다. 그 중 ciprofloxacin, nalidixic acid에 내성을 보이는 균주가 각각 98균주(84.5%), 96균주(82.8%)로 가장 많았고, 그 외에 tetracycline (44.0%), gentamicin (2.6%)에 내성을 나타냈다. 분리된 균주의 혈청형 확인 결과, HS2형 20균주, HS15형 11균주, HS19형 9균주, HS8형 8균주 등이 확인 되었고, HS42형, HS6형, HS53형, HS4A형, HS5형, HS18형, HS12형, HS27형 그리고 HS37형이 확인 되었다. 따라서 조리 가공 시 교차오염이 발생하지 않도록 조리기구 등에 대한 위생적 관리와 충분한 가열 조리 등의 식중독 예방을 위한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Interaction of Porcine Myofibrillar Proteins and Various Gelatins: Impacts on Gel Properties

  • Noh, Sin-Woo;Song, Dong-Heon;Ham, Youn-Kyung;Kim, Tae-Kyung;Choi, Yun-Sang;Kim, Hyun-Wook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229-239
    • /
    • 2019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determine the interaction between porcine myofibrillar proteins and various gelatins (bovine hide, porcine skin, fish skin, and duck skin gelatins) and their impacts on gel properties of porcine myofibrillar proteins. Porcine myofibrillar protein was isolated from pork loin muscle (M. longissimus dorsi thoracis et lumborum). Control was prepared with only myofibrillar protein (60 mg/mL), and gelatin treatments were formulated with myofibrillar protein and each gelatin (9:1) at the same protein concentration. The myofibrillar protein-gelatin mixtures were heated from $10^{\circ}C$ to $75^{\circ}C$ ($2^{\circ}C/min$). Little to no impacts of gelatin addition on pH value and color characteristics of heat-induced myofibrillar protein gels were observed (p>0.05). The addition of gelatin slightly decreased cooking yield of heat-induced myofibrillar protein gels, but the gels showed lower centrifugal weight loss compared to control (p<0.05). The addition of gelatin significantly decreased hardness, cohesiveness, gumminess, and chewiness of heat-induced myofibrillar gels. Further, sodium dodecyl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SDS-PAGE) showed no interaction between myofibrillar proteins and gelatin under non-thermal conditions. Only a slight change in the endothermic peak (probably myosin) of myofibrillar protein-gelatin mixtures was foun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addition of gelatin attenuated the water-holding capacity and textural properties of heat-induced myofibrillar protein gel. Thus, it could be suggested that well-known positive impacts of gelatin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processed meat products may be largely affected by the functional properties of gelatin per se, rather than its interaction with myofibrillar protei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