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ry-yeast extract

검색결과 81건 처리시간 0.022초

목질진흙버섯(Phellinus linteus)의 적합한 균사생장 (Favorable Conditions for Mycelial Growth of Phellinus linteus)

  • 이원호;김수영;박영진;김태웅;김호경;성재모
    • 한국균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95-100
    • /
    • 2004
  • 목질진흙버섯의 균사생육에 적합한 배지로는 MYA(malt yeast agar)와 SMS(soybean flour malt extract sugar)이며, MYA를 기본배지로 사용하였다. 균사생육은 $30^{\circ}C$의 온도와 pH는 5.0에서 생장이 양호하였다. 영양원으로는 malt extract 2%, yeast extract 0.2%와 $KH_{2}PO_{4}$ 0.1% 상태에서 균사생장 및 밀도가 양호하였다. C/N비는 10 : 1의 비율이 가장 적합하였다. 삼각플라스크배양을 위해서는 용기부피 300 ml Shake flask에 100 ml의 배양액을 넣고 $5{\sim}6$개 균사체 절편을 접종하여 20일간 배양하면 높은 고립상의 균체를 양호하게 증식시킬 수 있었다. 대량 액체종균 배양을 위해 접종원을 균질기로 분쇄하여 통기량 2.0 vvm의 조건에서 12일 배양하면 높은 균사의 생장을 보였고 접종에도 수월하였다.

Two-Step Fed-Batch Culture of Recombinant Escherichia coli for Production of Bacillus licheniformis Maltogenic Amylase

  • Kim, Myoung-Dong;Lee, Woo-Jong;Park, Kwan-Hwa;Rhee, Ki-Hyeong;Seo, Jin-H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2권2호
    • /
    • pp.273-278
    • /
    • 2002
  • Two-step fed-batch fermentations were carried out to overproduce Bacillus licheniformis maltogenic amylase (BLMA) in recombinant Escherichia coli. The first step was to increase the cell mass by controlling the feeding of a glucose solution, while the second step was designed to improve the amylase expression efficiency by supplementing organic nitrogen sources. The linear gradient feeding method was successfully adopted to maintain the glucose concentration below 0.2 g/l during the fed-batch mode, as effectively minimizing acetic acid formation. When the dissolved oxygen (DO) level became limiting, an accumulation of acetic acid and drastic decrease in specific BLMA productivity were observed. Glucose and organic nitrogen sources consisting of yeast extract and casein hydrolysate were simultaneously supplied in the pH-stat mode to further increase the specific BLMA expression efficiency. An organic nitrogen source consisting of 200 g/1 yeast extract and 100 g/1 casein hydrolysate was found to be the best among the various combinations tested. The feeding of an organic nitrogen source in the second-step fed-batch period was highly beneficial in enhancing the BLMA production. The optimized two-step fed-batch culture resulted in 78 g/l maximum dry cell mass and 443 U/ml maximum BLMA activity, corresponding to 1.5-fold increase in the dry cell mass and 3.7-fold enhancement in BLMA production, compared with the simple fed-batch fermentation.

무청즙액을 이용한 녹엽단백질과 효모균체의 생산 (Production of Plant Protein Concentrate and Yeast Biomass from Radish Greens)

  • Rhee, Yeong-Sang;Kyung, Kyu-Hang;Yoo, Yang-Ja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63-269
    • /
    • 1992
  • 무청즙액을 식물녹엽단백질의 생산과 효모의 균체생산을 위한 두가지 목적으로 이용하는 연구를 하였다. 무청즙액을 80-10$0^{\circ}C$로 가열하거나 pH를 조정하여 침전시켰을 때 침전물의 양은 모두 무청즙액 1리터당 10.0-16.5g(평균 13.5g)이었고 이 침전물의 조단백질 함량은 25-30%이었다. 단백질을 침전시켜 제거한 여액은 전당의 함량이 1.0%정도 되게 희석하여 효모 Candida utilis를 배양하였을 때 무청 여액원액 1리터당 최고 19.59의 효모균체를 생산할 수 있었다. 따라서 무청즙액 1리터로부터 생산할 수 있는 고단백질자원은 33g이었다.

  • PDF

송이균사(Tricholoma matsutake DGUM 26001)의 생육에 미치는 탄소원 및 비타민의 영향 (Effect of Carbon sources and Vitamins on Mycelial Growth of Tricholoma matsutake DGUM 26001)

  • 이창윤;홍운표;정명준;한영환
    • 한국균학회지
    • /
    • 제25권3호통권82호
    • /
    • pp.226-232
    • /
    • 1997
  • 경주시 남산으로부터 송이를 채집하여 균사를 분리하였다. 집락 및 균사의 형태, 균사의 독특한 송이향(1-octene-3-ol)을 기준으로 하여 Tricholoma matsutake DGUM 26001이라 명명하였다. T. matsutake DGUM 26001은 사용한 복합액체배지 중 yeast malt extract 및 Czapek-Dox 배지에서 가장 우수한 균사생육을 보여주었으며, nutrient glucose 배지, Macaya-Lizano 배지, 및 Tricholoma matsutake 배지(TMM)에서의 균사생육은 양호하였다. 세균 배양에 사용되는 colombia 배지, brain heart infusion 배지, Luria-Bertani glucose 배지 및 brucella 배지에서의 균사 생육은 매우 저조하였다. TMM 배지에 다양한 탄수화물을 탄소원으로 첨가하였을 때, 다당류의 starch, 이당류의 trehalose 및 maltose, 단당류의 sorbitol, xylitol 및 glucose를 사용하였을 때 균사생육이 양호하였다. Starch를 탄소원으로 하는 TMM 배지에서 30일간 균사를 배양하였을 경우, 8.85 g/L의 건조 균사중량을 얻을 수 있었다. 포도당을 탄소원으로 하는 TMM 액체배지에 coconut water 및 pyridoxine을 비타민으로 첨가하여 30일간 배양 후, 가장 우수한 균사 건조체를 얻을 수 있었으며 각각 8.65 및 8.32 g/L의 균사 건조량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배지조성 및 배양환경 최적화에 의한 Bifidobacterium의 고농도 배양 (High Density Cell Culture of Bifidobacterium by Optimization of Medium Composition and Culture Conditions.)

  • 송수한;김택범;지근억;오훈일;오덕근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63-67
    • /
    • 2002
  • 본 연구에서 사용된 Bifidobacterium은 모유를 섭취한 유아의 분변으로부터 분리었으며 16s rRNA 염기서열분석 결과 Bifidobacterium longum속으로 동정되어 Bifidobacterium SH2라 명명하였다. Bifidobacterium SH2의 고농도 배양을 위하여 기본 배지로 MRS 배지를 변형하여 최적화한 결과 최적 배지의 조성은 50g/L lactose, 10 g/L beef extract, 10 g/L peptone, 5 g/L yeast extract, 7 g/L sodium acetate, 2 g/L ammonium citrate, 2 g/L disodium phosphat, 1 g/L tween 80, 0.2 g/L $MnSO_4$, 0.5 g/L L-cysteine이었다. 배양조건을 최적화한 결과 pH는 5.0에서, 온도는$ 37^{\circ}C$에서 균체량이 최대로 나타났다. 배지와 배양 조건을 최적화하여 건조 균체량과 생균수가 MRS 배지 보다 각각 2.7배, 1.8배 증가한 결과를 얻었다.

바이오제닉 아민 비생성 Bacillus subtilis의 선별 및 반응표면 분석법에 의한 균체량 증가를 위한 배지 최적화 (Screening of Non-Biogenic-Amine-Producing Bacillus subtilis and Medium Optimization for Improving Biomass by the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양희종;정수지;정성엽;허주희;최낙식;정도연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571-583
    • /
    • 2016
  • 바이오제닉 아민은 주로 발효식품에 존재하는 미생물에 의해 발생하며, 종종 사람의 체내에서 심각한 독성을 나타내기도 한다. 따라서 바이오제닉 아민 비생성 균주의 선별을 위하여 순창군에서 제조된 전통 장류 200여 종으로부터 620종의 다양한 미생물을 분리하였고, 이중에서 다양한 생리활성 분석 및 바이오제닉 아민 생성여부를 조사하여 최종적으로 바이오제닉 아민 비생성 균주로써 Bacillus subtilis SCJ1을 선별하였다. 최종 선별한 SCJ1의 생화학적 특성과 16S rR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하여 Bacillus subtilis SCJ1로 명명하였다. Bacillus subtilis SCJ1의 산업적 적용이 가능한 최적배지 조성을 확립하기 위해 먼저 SCJ1균체 성장을 조사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통계학적 방법인 반응표면 분석법을 사용하여 최적화를 수행하였다. 실험계획법은 배지 조성 성분의 선별을 위해 Plackett-Burman design을 사용하여 모델을 설정하였다. 실험 모델을 통하여 선별된 배지 성분으로는 molasses, yeast extract, peptone으로 예측되었으며, 배지조성에 대한 최적 농도를 설정하기 위해 중심합성계획법을 사용하여 최적화를 수행하였다. 최종적으로 예측된 배지 성분의 농도는 molasses 27.5 g/l, yeast extract 7.5 g/l, peptone 17.5 g/l로 예측되었고, 이때의 최대 균체량은 2.03704 g/l로 예측되어 모델의 검증실험을 통한 예측 모델과 실제 결과가 동일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기본 배지와 균체량을 비교하였을 때 1.32 g/l에서 1.9722 g/l로 약 49.4% 증가하였고, 효소활성과 항균활성 또한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생선 내장에서 분리한 Alteromonas putrefaciens KS-90에 대한 Eicosapentaenoic Acid 생산 (Eicosapentaenoic Acid Production of Allteromonas putrefacients KS-90 Isolated from Fish Intestines)

  • 안문구;정수자;류병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46-252
    • /
    • 1991
  • Marine baceteria of fish interstines were screened for high eicosapentaenoic acid(EPA) productivity. An isolated bacteria, KS-90, identified and designated as Allteromonus putrefaciens KS-90. A. putrefaciens KS-90 was found to be a rich source of EPA production and it was observed on incuibation at 4~12.5$^{\circ}C$ and pH 7.0. The production of EPA reached 18mg/g of dry cell weight when A. putrefaciens KS-90 was grown in the medium containing 1.0% pepton, 0.5% yeast extract, 0.025% meat extract and 2.0% glucose in 1/2 concentration of an artificial seawater, pH for 48 hr at $25^{\circ}C$. This value accounted for 24.7% of the total fatty acid in the extractable lipids.

  • PDF

PHB Accumulation Stimulated by Ammonium Ions in Potassium-limited Cultures of Methylobacterium organophilum

  • Kim, Seon-Won;Kim, Pil;Kim, Jung-Hoe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8권4호
    • /
    • pp.301-304
    • /
    • 1998
  • Methylobacterium organophilum can use nitrogen in the form of ammonium ions ($($NH_4$)_2SO_4\;and\;NH_4Cl) and from nonammonium sources such as glycine, alanine, peptone, and yeast extract. When potassium was limited, significantly more PHB was produced when the ammonium ion was the nitrogen source rather than a nonammonium form. With ammonium, the amount of PHB produced was 0.50-0.53 g PHB/l or $52.0~53.2\%$ of the dry cell weight. If nitrogen was from a nonammonium source, the respective values were 0.04~0.06 g PHB/1 or $8.1~11.3\%$ of dry cell weight. When ammonium sulfate was the sole source of nitrogen under potassium-limited conditions, cell growth and PHB accumulation increased as the pH increased from 6.0 to 7.5. Cell growth and PHB amount at pH 7.5 were 2.50 g dry cell weight/1 and 1.40 g PHB/1, respectively.

  • PDF

항보체 활성을 갖는 Phellinus linteus 균사체 생산의 최적화 (Optimization for Production of Phellinus linteus Mycelia with Anti-Complement Activity)

  • 서호찬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3권3호
    • /
    • pp.179-183
    • /
    • 2010
  • 각종 버섯에서 항보체 활성균주를 선별하기 위해 보관균주 50여종과 임업협동조합에서 분양 받은 20여종의 균주를 대상으로 항보체 활성을 검색한 결과, 항보체 활성이 65.3%를 나타낸 상황버섯 (Phellinus linteus)을 선별하였다. 본 균주가 생산하는 항보체 활성의 본체를 파악하기 위해 pronase 처리와 periodate 산화를 행한 결과 pronase로 처리한 사료는 무처리군과 비교하여 차이가 없었던 반면 periodate로 산화시킨 시료는 항보체 활성이 크게 감소함에 따라 P. linteus가 생산하는 항보체 활성의 본체는 다당에 기인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항보체 생산을 위한 최적 배양조건은 soluble starch 3.0%, peptone 0.3%, yeast extract 0.4%, $MgSO_4{\cdot}7H_2O$ 0.1%, $K_2HPO_4$ 0.2%, 초기 pH 7.0, 배양 온도 $30^{\circ}C$ 및 교반속도 150rpm이었다. 상기의 최적 배양조건에서 jar fermentor로 18일 배양하였을 때 88%의 항보체 활성과 15mg/mL의 균사체 생육을 나타내었다.

전통 발효주로부터 glutathione 고함유 효모 Saccharomyces cerevisiae FF-8의 분리.동정 및 최적 생산조건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the High-Glutathione Producing Saccharomyces cerevisiae FF-8 from Korean Traditional Rice Wine and Optimal Producing Conditions)

  • 박진철;옥민;차재영;조영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6권4호
    • /
    • pp.348-352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glutathione({\gamma}$-L-glutamyl-cysteinyl-glycine)을 다량으로 함유하는 효모 균주를 전통 발효주로부터 분리하여 glutathione 생산 조건을 검토하였다. 분리된 균주는 형태학적, 생리학적 및 생화학적 특성을 검토한 결과 Saccharomyces cerevisiae로 동정되어 FF-8로 명명하였다. Saccharomyces cerevisiae FF-8의 glutathione 생산 조건은 YM(glucose 1.0%, acid peptone 0.5%, yeast extract 0.3%, malt extract 0.3%) 배지를 기본으로 하여 최적 온도, 교반속도 및 초기 pH의 조건을 검토하였다. Glutathione 생산은 온도 $30^{\circ}C$, 교반속도 100 rpm 및 pH 6.0에서 72시간 동안 진탕 배양하였을 때 가장 높았으며, 이때 glutathione 생산량은 72.0 mg/l이였으며, 건조 균체량은 5.2 g/l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