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roplet deposition

검색결과 76건 처리시간 0.021초

은 나노입자 전극과 패러데이 모트를 이용한 미세유체 피코리터 주입기의 전압효율 상승 (Increase in Voltage Efficiency of Picoinjection using Microfluidic Picoinjector Combined Faraday Moat with Silver Nanoparticles Electrode)

  • 노영무;진시형;정성근;김남영;노창현;이창수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3권4호
    • /
    • pp.472-477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패러데이 모트를 사용한 기존의 피코리터 주입용 미세유체 칩에 은 나노입자를 이용한 전극을 추가하여 전압을 낮추며 효율을 높이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먼저, 복잡한 제조공정에서 탈피하여 은 나노입자 용액을 한 방울 떨어뜨리는 간단한 과정만으로 미세유체 피코리터 주입기 내에 전극을 제조하였다. 본 개념을 통한 은 나노입자 전극과 패러데이 모트가 통합된 미세유체 칩은 은 나노입자 전극을 사용하지 않는 기존 미세유체 칩의 피코리터 주입 시작 전압인 260 V 보다 낮은 전압인 180 V에서 피코리터 주입이 작동되었다. 또한 미세유체 피코리터 주입기는 피코리터 주입 부피를 7.5 pL부터 27.5 pL까지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음을 주된 장점으로 하고 있다. 본 미세유체 피코리터 주입기는 미세유체 시스템의 새로운 기능을 설계함으로써 각 연구분야를 탐구할 유용한 플랫폼으로 기대되고 있다.

분무성형공정에서의 빌렛형상 모델링 (Modeling of Billet Shape in Spray Forming Process)

  • 장동훈;강신일;이언식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21권6호
    • /
    • pp.961-970
    • /
    • 1997
  • A numerical method is presented to predict and analyze the shape of a growing billet produced from the "spray forming process" which is a fairly new near-net shape manufacturing process.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mechanism of billet growing because one can obtain a billet with the desired final shape without secondary operations by accurate control of the billet shape, and it can also serve as a base for heat transfer and deformation analysis. The shape of a growing billet is determined by the flow rate of the alloy melt, the mode of nozzle scanning which is due to cam profile, the initial positio of the spray nozzle, scanning angle, and the withdrawal speed of the substrate. In the present study, a theoretical model is first established to predict the shape of the billet and next the effects of the most dominent processing conditions, such as withdrawal speed of the substrate and the cam profile, on the shape of the growing billet are studied. Process conditions are obtained to produce a billet with uniform diameter and flat top surface, and an ASP30 high speed steel billet is manufactured using the same process conditions established from the simulation.imulation.

Anti-diabetic effects of blue honeyberry on high-fed-diet-induced type II diabetic mouse

  • Sharma, Anshul;Kim, Joo Wan;Ku, Sae-Kwang;Choi, Jae-Suk;Lee, Hae-Jeung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3권5호
    • /
    • pp.367-376
    • /
    • 2019
  • BACKGROUND/OBJECTIVE: The blue honeysuckle berry (Lonicera caerulea var. edulis L.) is a small deciduous shrub belonging to the Caprifoliaceae family that is native to Russia, China, Japan, and Korea. The berry of this shrub is edible, sweet and juicy and is commonly known as the blue honeyberry (BHB). This study examined the anti-diabetic potential of BHB on high-fat-diet-induced mild diabetic mice. The hypoglycemic, and nephroprotective effects of the 12-week oral administration of blue honeyberry extract were analyzed. MATERIALS/METHODS: The hypoglycemic effects were based on the observed changes in insulin, blood glucose, and glycated hemoglobin (HbA1c). Furthermore, the changes in the weight of the pancreas, including its histopathology and immunohistochemical investigation were also performed. Moreover, the nephroprotective effects were analyzed by observing the changes in kidney weight, its histopathology, blood urea nitrogen (BUN), and serum creatinine levels.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high-fat diet (HFD)-induced control mice showed a noticeable increase in blood glucose, insulin, HbA1c, BUN, and creatinine levels. Furthermore, growth was observed in lipid droplet deposition related to the degenerative lesions in the vacuolated renal tubules with the evident enlargement and hyperplasia of the pancreatic islets. In addition, in the endocrine pancreas, there was an increase in the insulin-and glucagon-producing cells, as well as in the insulin/glucagon cell ratios. On the other hand, compared to the HFD-treated mice group, all these diabetic and related complications were ameliorated significantly in a dose-dependent manner after 84 days of the continuous oral administration of BHBe at 400, 200 and 100 mg/kg, and a dramatic resettlement in the hepatic glucose-regulating enzyme activities was observed. CONCLUSIONS: By assessing the key parameters for T2DM, the present study showed that the BHBe could act as a potential herbal agent to cure diabetes (type II) and associated ailments in HFD-induced mice.

Au-Si을 촉매로 급속화학기상증착법으로 성장한 Si 나노선의 구조 및 광학적 특성 연구 (Structural and optical properties of Si nanowires grown with island-catalyzed Au-Si by rapid thermal chemical vapor deposition(RTCVD))

  • 곽동욱;이연환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79-285
    • /
    • 2007
  • 나노크기의 Au-Si을 촉매로 급속화학기상증착법을 이용하여 Si(111) 기판에 성장한 Si 나노선의 구조적인 형태 변화과정과 광학적 특성을 연구하였다. 액상 입자인 Au 나노 점은 기상-액상-고상(vapor-liquid-solid mechanism) 성장법에 의한 Si 나노선 형성 과정에서 촉매로 사용되었다 이 액체 상태인 나노점에 1.0Torr 압력과 $500-600^{\circ}C$ 온도 하에서 $SiH_4$$H_2$의 혼합가스를 공급하여 Si 나노선을 형성하였다. <111> 방향으로 형성한 Si 나노선의 형태를 전계방출 주사전자현미경(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으로 관찰하였다. 특히, 대부분의 나노선이 균일한 크기를 가지고 있으며, Si(111) 기판 표면에서 수직하게 정렬된 것을 확인하였다. 형성된 나노선의 크기를 분석한 결과, 직경과 길이가 각각 60nm와 5um의 분포를 가지는 것을 확인 하였다. 고 분해능 투과전자현미경(High Resolution-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을 통해 약 3nm의 다결정 산화층으로 둘러 싸여 있는 Si 나노선이 단결정으로 형성된 것을 관찰하였다. 그리고 마이크로 라만 분광(Micro-Raman Scattering) 실험으로 Si 나노선의 광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라만 측정결과 Si의 광학 포논(Optical Phonon) 신호가 Si 나노선의 영향으로 에너지가 작은 쪽으로 이동하며, Si 포논 신호의 폭이 비대칭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 하였다.

한우 성장단계 특이발현 유전자의 발현양상 분석 (Expression Patterns of the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During Growth Stages of Hanwoo(Korean Cattle))

  • 장요순;윤두학;김태헌;정일정;조진기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6호
    • /
    • pp.677-684
    • /
    • 2002
  • 한우 성장단계 특이발현 유전자 탐색에 관한 연구(장 등, 2002)에서 선정된 후보유전자 중, EPV 20, TCTP 및 aldolase A를 비롯하여 24개월령 cDNA probe에 대하여 강한 signal을 나타낸 ADRP 유전자의 발현양상을 분석하기 위하여 성장단계별 한우 등심조직 시료를 사용하여 semiquantitative RT-PCR 및 northern blot 분석을 실시하였다. EPV 20 유전자는 한우 등심조직에서 성장단계에 따른 발현량 차이가 거의 없는 결과를 근거로, 근육조직에서 항상 발현되는 유전자로 판단하였다. 또한 발달단계에 따라 발현량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고된 aldolase A 유전자 역시 뚜렷한 발현량 차이는 없었으며, aldolase A의 muscle specific promoter와 근육분화 관련 transcription factor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근육분화 및 근육수축에 있어 aldolase A의 역할 및 조절작용을 밝힐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성장관련 단백질로 알려져 있는 TCTP의 발현양상을 분석한 결과, 한우 등심조직에서 성장함에 따라 발현량이 약간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발현양상 분석결과로 TCTP 유전자는 성장과 관련된 기능이 있지만 동물의 성장에 있어 직접적으로 관여하지는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지방세포 분화의 초기단계에서 발현량이 급증하고 lipid droplet 형성에 관여하며 지방축적과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된 ADRP 유전자의 transcript의 크기는 약 1.82 kb 이었고, 24개월령 한우 등심조직에서 발현량이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30개월령 조직에서는 감소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ADRP 유전자를 한우 성장단계 특이발현 유전자로 선정하였으며, ADRP 유전자의 발현양상은 근육내 지방축적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이후에는 발현조절 기작의 해명 및 근육내 지방축적과의 관련성 분석을 위하여 ADRP 유전자의 전체적인 구조 및 전사조절 인자 분석을 비롯하여 다른 지방대사 및 지방축적 관련 유전자와의 상호작용 및 다형성 탐색분석에 관한 연구가 필요 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미세유체시스템 제작을 위한 3D 프린팅 방식 및 소재 별 표면특성 비교 (Comparison of Surfac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3D Printing Methods and Materials for the Fabrication of Microfluidic Systems)

  • 배서준;임도진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7권5호
    • /
    • pp.706-713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미세유체 시스템 제작에 적합한 3D 프린팅 방식 및 소재 별 표면특성 분석을 통해 각 응용 사례에 적합한 프린터 및 소재 선정에 가이드라인을 줄 수 있는 기초 연구를 수행하였다.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적층 방식과 해상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광경화 방식에 대해 프린팅 방식과 소재에 따른 표면 특성을 살펴보았다. 적층 방식의 프린트물은 소재에 무관하게 후처리 전에는 친수성 특성을 보이나 아세톤 증기에 의한 후처리 후에는 소수성 특성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SEM을 이용한 표면 조도 관찰을 통해 이러한 접촉각의 변화가 후처리에 의한 표면의 결 구조의 제거에 기인한 것임을 확인하였다. 광경화식 프린트물은 적층식 대비 친수성의 특성을 보였으나 소수성 코팅을 이용해 표면 개질이 가능함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다. 두 프린팅 방식 중 투명한 재질이 요구되는 경우, 적층 방식은 투명한 시편을 만드는 것이 불가능함을 확인하였으며 광경화 방식의 경우 충분한 투명도가 확보됨을 확인하였다. 액적 접촉충전 현상에 기반한 디지털 전기천공 시스템의 electroporation chip을 광경화 방식으로 제작하였으며 성공적으로 전기천공을 시연함으로써 미세유체 시스템에 직접 적용이 가능함 또한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