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ried fruit

검색결과 214건 처리시간 0.022초

건조방법에 따른 복분자 분말의 갈변 및 흡습 특성 (Browning and Moisture Sorption Characteristics of Rubus coreanus Prepared by Different Drying Methods)

  • 정헌식;성종환;이영근;김한수;이주백;윤광섭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797-803
    • /
    • 2009
  • 건조방법이 복분자 분말의 갈변 및 흡습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신선 복분자를 천일, 적외선 및 동결 건조한 다음 분쇄하고 이 분말의 색도와 수분활성도 ($a_w$) 0.11-0.90 범위에서 평형수분함량(EMC)을 각각 측정하였다. 갈변지표인 $L^*$값과 $a^*$값은 동결 건조한 복분자 분말이 다른 방법으로 건조한 분말보다 높고 낮은 값을 나타내었고, 황색도인 $b^*$값은 동결 건조 분말에서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다. EMC는 $a_w$의 증가와 함께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0.75 $a_w$ 이상에서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동일한 $a_w$에서 분말의 EMC는 동결건조품이 천일과 적외선 건조품 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복분자 분말의 흡습곡선은 전형적인 sigmoid 형태를 보였고, 천일건조 분말은 Halsey model, 적외선 건조 분말은 Kuhn model, 그리고 동결 건조 분말은 Oswin model이 적합도가 가장 높았다. 단분자층 수분함량은 GAB 방정식으로 설명 할 수 있었으며, 적외선 건조 분말에서 0.005 g $H_2O/g$ dry solid, 천일 및 동결 건조 분말에서 0.019 g $H_2O/g$ dry solid를 각각 나타내었다. 이로써 건조방법은 복분자 분말의 갈변과 흡습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양한 건조방법에 따른 블랙베리 분말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Blackberry Powder obtained by Various Drying Methods)

  • 최소라;송은주;송영은;최민경;한현아;이인석;신소희;이기권;김은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609-617
    • /
    • 2017
  •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enhance the availability of blackberry. Since it is difficult to use blackberry as a fresh fruit, we investiga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lackberry powder obtained by various drying methods (freeze drying and hot-air drying at $40{\sim}80^{\circ}C$). The L- and b-values of freeze-dried powder was higher than hot-air dried powder. The pH (3.2) was lowest and the acidity (14.4%) was highest in freeze-dried powder. In freeze drying, the brix degree was $65.7^{\circ}Bx$, but it increased from $54.7^{\circ}Bx$ to $68.5^{\circ}Bx$ with increasing temperature during hot air drying. The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s contents were the highest in freeze-dried powder, at 9.3 and 6.2 mg/g, respectively. The levels increased as temperature increased in hot air drying. Anthocyanin content in freeze-dried powder was 8.51 mg/g, while it sharply decreased to 1.17~2.45 mg/g in hot-air drying. Vitamin C content in freeze drying ($979.4{\mu}g/g$) was higher than that in hot-air drying ($48.3{\sim}303.2{\mu}g/g$). The sample concentration required for 50% reduction of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RC_{50}$) was $79.7{\mu}g/mL$ in freeze drying, and showed high antioxidant activity. Also it decreased from $122.4{\mu}g/mL$ to $87.7{\mu}g/mL$ with temperature increase during hot air drying. We therefore conclude from the above results that freeze drying is more suitable for the production of blackberry powder, because this method showed high value of chromaticity, total polyphenol, flavonoid, anthocyanin content, vitamin C and antioxidant activity.

유유와 과즙으로 만든 발효유의 동결건조 (Freeze Drying of Fermented Milk Prepared from Milk and Fruit Juices)

  • 고영태;오미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448-1455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과즙-우유 혼합 기질로 만들어진 발효유를 동결건조하고, 동결건조 전과 후의 생균수, pH의 변화, 관능성 및 휘발성 향기 성분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동결 또는 동결건조에 의하여 발효유의 pH는 거의 변화가 없었으나, 생균수는 동결, 특히 동결건조 도중에 급격히 감소하였는데, 동결 전의 균수를 100%로 했을 때, 동결 후의 생존율은 $64.5{\sim}85.2%$, 동결건조 후의 생존율은 $10.0{\sim}21.1%$였다. 사과쥬스-우유의 혼합 비율이 15:35인 기질로 만든 발효유와 동일한 발효유를 동결건조-환원한 시료의 관능성을 비교했을 때, 동결건조 전의 시료가 후의 시료보다 관능성이 우수하며, 이와 같은 경향은 포도쥬스-우유 혼합 시료의 경우에 보다 현저하였다. 동결건조 전과 후의 모든 시료에서 ethanol, diacetyl, butanol, acetoin이 검출되었고, 포도쥬스 함량이 높은 시료에서는 acetone도 검출되었으며, 동결건조에 의하여 모든 시료의 휘발성 향기 성분의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실험에서 검출된 향기 성분 가운데 젖산균 발효에 의하여 생성된 향기 성분은 ethanol, diacetyl, acetoin 이었다.

  • PDF

발효 흑대추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Activities of Extracts from Fermented Black Jujube)

  • 홍주연;남학식;윤경영;신승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901-908
    • /
    • 2012
  • 본 연구는 건대추와 건대추를 이용하여 온도 $50^{\circ}C$, 습도 90%의 항온항습기에서 숙성시켜서 제조한 발효 흑대추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에 항산화성을 평가함으로서 대추의 식품학적인 기능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건대추와 발효 흑대추의 열수 및 70% 에탄올 추출물의 수율은 발효 흑대추 추출물에서 높았으며, 70% 에탄올 추출물이 열수 추출물에 비해 높았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흑대추 추출물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열수 추출물이 70% 에탄올 추출물보다 높은 함량을 보였다. 전자공여능은 건대추와 발효 흑대추의 추출물의 열수 및 에탄올 $1,000{\mu}g/mL$의 농도에서 각각 85.0% 이상의 전자공여능을 보였고, SOD 유사활성능은 발효 흑대추 추출물이 건대추 추출물에 비해 높았으며, 대체적으로 열수 추출물에서 높게 나타났다. pH 1.2에서의 아질산염 소거능은 에탄올 추출물에 비해 열수 추출물에서 높았으며, 발효 흑대추보다 건대추 추출물에서 높게 나타났다.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은 건대추 및 흑대추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건대추에 비해 발효 흑대추 추출물의 저해활성이 높았다. 이상의 결과로 발효 흑대추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에서 높은 항산화 활성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발효 흑대추는 우수한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성숙과 건조 대추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Ripe and Dry Jujube ($Ziziphus$ $jujuba$ Miller) Fruits)

  • 홍주연;남학식;신승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87-94
    • /
    • 2012
  • 본 연구는 대추의 성숙과 건조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고자 미숙 및 완숙 대추와 건조 대추의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대추 열매의 수분함량은 미숙 대추 84.66%, 완숙 대추 66.45%이었고 건조대추의 수분함량은 31.48%이었다. 조지방의 함량은 미숙 대추와 완숙 대추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건조 대추에서 0.34%로 성숙의 대추에 비해 두 배 정도의 높은 함량이었다. 조회분 함량은 미숙 및 완숙 대추에서 각각 0.52, 0.74% 이었으며, 건조 대추는 1.62%이었다. 탄수화물의 함량은 미숙 대추 13.51%, 완숙 대추 27.94%, 건조 대추 61.70%이었다. 대추의 수용성 단백질 함량은 미숙 대추가 0.88%, 완숙 대추가 1.73% 및 건조 대추가 3.71%이었고, 환원당 함량은 미숙, 완숙 및 건조 대추에서 각각 4.99, 5.54, 18.82%이었다. 완숙 대추와 건조 대추의 sucrose의 함량은 각각 10.15, 16.66 g/100 g이었으며, 건조대추는 완숙 대추에 비해 약 2배인 33.46 g/100 g의 총 유리당 함량을 나타내었다. 지방산 조성은 미숙 대추에는 palmitic acid, oleic acid, linoleic 및 linolenic acid가 많은 조성비를 나타내었고, 성숙 대추에서는 미숙 대추와는 달리 myristoleic acid, palmitic acid, pamitoleic acid, linoleic acid의 조성비를 나타내었다. 또한 건조 대추에서는 myristoleic acid, arachidonic acid는 높았고, palmitoleic acid는 낮았다. 대추의 무기질 함량은 Ca, K, Mg 및 P이 높았고, 총 무기질의 함량은 미숙 대추가 343.38 mg/100 g, 완숙 대추가 584.94 mg/100 g, 건조 대추가 1,331.56 mg/100 g이었다. 대추의 비타민 C 함량은 각각 309.12, 248.80, 23.34 mg/100 g 이었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미숙, 완숙 및 건조 대추에서 각각 610.04, 310.22, 423.27 mg/100 g이었다. 따라서 상기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대추는 식품소재로서 이용가치가 충분히 있으면, 이용형태에 따라 대추의 성숙 및 건조 대추를 구분하여 사용하는 것이 효률적인 것으로 생각된다.

인터넷을 이용한 건표고 등급선별장치의 원격제어 및 관리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Remote Control and Management System for Dried Mushroom Grader via Internet)

  • 최태현;황헌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24권3호
    • /
    • pp.267-274
    • /
    • 1999
  • An internet and network based software and related interface have been developed, which can remotely control and manage an on-site operating system. Developed software modules were composed of two parts: monitoring/management modules and control/diagnosis modules were developed for the network status, warehouse, production and selling status. Modules of control with diagnosis were developed for the on-site operating system and interface. Each module was integrated and the whole modules have been tested with an automatic mushroom grading/sorting system which was built in a laboratory. Developed software modules worked successfully without any uncommon situations such as system down caused by the software or data transfer error. Each software module was developed independently in order to apply easily to other existing on-site systems such as rice processing centers, fruit and vegetable sorting, packaging and distribution centers scattered over the country.

  • PDF

Novel Antioxidants, Stc-l and Stc-2, from Stereum ostrea

  • Kim, Young-Hee;Yun, Bong-Sik;Kim, Jong-Pyong;Moon, Suk-Sik;Yoo, Ick-Dong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8년도 Proceedings of UNESCO-internetwork Cooperative Regional Seminar and Workshop on Bioassay Guided Isolation of Bioactive Substances from Natural Products and Microbial Products
    • /
    • pp.131-131
    • /
    • 1998
  • In the course of screening for new natural compounds having antioxidant activity from microbials, mushrooms as well as plants. We have isolated novel sesquiterpenoid and officinalic acid from methanolic extracts of Stereum ostrea. The dried fruit body( 450 g) of Stereum ostrea was extracted with methanol, then methanolic extract was partitioned between water and hexane, chloroform, and ethyl acetate, subsequently. The chloroform extract was subjected on silica gel, Sephadex LH-20 and RP-18 column chromatography, successively. And two compounds were isolated and identified as new triterpenoids and officinalic acid using $^1$H - NMR, $\^$13/C - NMR as well as Mass spectra.

  • PDF

Purification, Structure Determination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20(29)-lupen-3-one from Daedaleopsis tricolor(Bull.ex Fr.)Bond.et Sing.

  • 김은미;정해룡;민태진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2권1호
    • /
    • pp.59-62
    • /
    • 2001
  • The dried fruit-body of Daedaleopsis tricolor was extracted by the petroleum ether. The extracts were purified by liquid-liquid extraction, column chromatography, and recrystallization. The purified compound was a colorless orthorhombic crystal form. Its melting point, molecular weight and molar extinction coefficient $(\varepsilon)$ were estimated $168-170^{\circ}C$, 424 and 3,935 at 208 nm, respectively. Its structure was elucidated to be 20(29)-lupen-3-one by UV-Vis, FT-IR, NMR and X-ray crystallographic analysis. It showed antifungal activities against Saccharomyces cerevisiae and Microsporum gypseum,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against Escherichia coli, Proteus vulgaris, Pseudomonas pyocyanea, Bacillus subtilis, and Staphylococcus aureus. In addition, this compound showed an antioxidative activity on lipid-peroxidation by 6.4%.

기능성 한국잠업의 시대적 배경과 그 현황 (Historical Background and present status of korean sericulture for production of functional materials)

  • 이상풍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11-21
    • /
    • 2019
  • Historical background and present status of Korean functional sericulture was reviewed. Five-year expansion projects began in 1962, and produced 41,700 tons of cocoon in 1976 and exported $271 million. However, the number of silkworm rearing households reduced to 59,800 by 1987 from 488,000 in 1976 due to rapid development of the secondary and the tertiary industries with higher labor cost. That's why functional sericulture was developed in Korea. Freeze-dried silkworm powder was found that it lowered the level of blood glucose. Nuedongchunghacho, Paecilomyces tenuipes, was cultured on silkworm larva. Odi, the fruit of mulberry trees, was studied as a new food ingredient. Mulberry tree varieties for improved Odi production were also developed.

Phenolic Compounds from Fruits of Amorpha fruticosa L.

  • Lee, hak-Ju;Lee, Hyun-Jung;Park, Il-Kwon;Shin, Sang-Chul;Lee, Myung-Koo;Paik, Ki-Hyon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Vol.2-2
    • /
    • pp.190.4-191
    • /
    • 2003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constituents of Amorpha fruticosa (Leguminosae), a shrub originated from North Africa. Dried and ground fruit of A. fruticosa were extracted with methanol and then concentrated to give the crude extracts. The crude extracts was successively fractioned with organic sovents, such as n-hexane, CH$_2$Cl$_2$ and EtOAc. Seven compounds were isolated from the fruits of A. fruticosa. On the basis of spectrosopic data, the structures of these compounds were determined as: kaempferol 7-O-${\alpha}$-L-rhamnopyranoside (I), methyl 3,4,5- trihydroxybenzoate (methyl gallate, II), tephrosin (III), dalbinol (IV), gallic acid (V), 2",4",5",7-tetramethoxyisofavone (Ⅵ) and Dalbinol 2"-O-${\beta}$-D-Glucopyranoside (Ⅶ) respectively. (omitt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