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dream

검색결과 550건 처리시간 0.021초

"홍루몽"에 나타난 청대복식 연구 (A Study on the Costume of Ch'ing Dynasty in "Dream of the Read Chamber")

  • 나해연;전혜숙
    • 복식
    • /
    • 제24권
    • /
    • pp.59-82
    • /
    • 1995
  • All kinds of art are the creatures of the daly and reflect the society and the life of the day in literary works. So, in which literary works, we can find the styles of those who lived in the specified days. And the styles of its character's costume are expressed with the day'mood and cultural backgrounds. In this study, we studied on the general meaning, which was shown in the Costume of early Ch'ing Dynasty that was forming the Costume of dress through dividing into the underwear and the outer garment in $\ulcorner$Dream of the read Chamber$\lrcorner$. During the Ch'ing Dynasty, according to the rule : Men followed it but women not" , they held on to the costume of them (both the Man and the Han) with a high pressure and a conciliatory policy. As a result, I have known that there is the Soojean clothe(수전의), which is the late Myung Dynasty's one and their is also Skirt (군), which held on the Costume of the Myung's. Hence in the Ch'ing , there are a lot of difference in the Costume , the economy and the politic because the ruler was not the han but the Ch'ing. Those characters are as follows. first, on the side of the style , it is occured in the coat and the over jacket of the round neckline. The style of the sleeves are also the tightly(고착). Second, on the side o f the material, the use of the furs are found. It seems that are influence of the north area. Third, it is involved not the traditional Costume of the Han, but the over jacket(which is waistlength), These characters had taken root into the Costume of the Ch'ing Dynasty. In case of the jacket, which are found in the novel most frequently , it was represented by the tight jacket (소오), the long jacket (대오), the short jacket(단오) and the Sam (삼). The skirt was used by women only. the Slacks were trousers only for men, so it was not foujnd in the women's wear. In the vest, the over jacket and coat, which are for putting on, its material, insiqnia and varied embroidery are very brillant and elaborate. The used materials are the silks , furs, wools and cottons. Among the dick silks are used most frequently . in case of the over jacket, the precious and varied furs are used for the collar, the sleeve or the decoration and the lining cloth. In the novel, mean followd the Costume of the Man and women followed the Costume of the Han. Especially, it is a special costume that there were women in male attire. Finally, the costume of the Ch'ing had built the unique one with holding on the advantage and the short point s of the northen race and the Han's. Also , I can find the brilliant , eleborate Customes of the aristocratic class in the novel.

  • PDF

중국 6세대 감독의 기억에 관한 역사적 재현 영상콘텐츠 연구 (Visual Contents Study of Historic Re-create about Memory of China 6th Generation Director)

  • 한달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155-164
    • /
    • 2010
  • 본 논문은 중국영화 6세대 감독의 삶에서 그들이 기억하는 역사적 시대를 살펴보고, 역사의 고민과 상처들이 영화에서는 어떠한 방법으로 기억되고 표현되는지 살펴보았다. 그들은 기존세대와 다른, 있는 그대로의 현실을 담아내려고 노력했으며, 역사의 시대적 의미를 기억과 망각 사이에서 무엇을 어떤 방식으로 표현 할지 함께 드러난다. 그것은 중국영화 6세대 작품에서 기억의 은유화를 통해 시대의 상처를 담아내었고, 희망과 절망 사이에 기억이 은폐되면서 꿈을 잃은 생존의 현실을 담아내었으며, 담담하게 현실을 받아들이는 일상의 자아를 보여 주었으며, 변할 수 없는 세상의 시선과 기억에 대항하고 있다. 6세대 작품속에 투영된 욕망은 자신의 정체성을 찾아가려는 과정에서 실현되지 못하는 현실, 전통성을 지켜 나가려는 모습, 변해가는 현실, 이 세 가지 사이에 갈등하며 꿈을 펼치지 못하고 순순히 현실을 받아들이는 수동적 모습을 담아내고 있다. 6세대 감독들은 기억이라는 이름으로 역사를 해석하는 과정에서, 사회적 억압은 가족의 억압, 가족의 억압은 한 개인의 억압으로 이어지고, 억압이 욕망으로 바뀌면서 반작용에 의한 삶이 지속되기도 한다. 그리고 현실에서 개인의 욕망이 실현되지 못하지만 판타지로 대신하면서, 슬픔을 극복하고 현실을 담담하게 이겨내는 모습들로 드러난다. 이런 아련한 정서를 통해 6세대 감독이 기억하는 중국인들의 얼굴로 그려낸다.

연분홍색 홑꽃 다화성 절화용 프리지아 신품종 '볼레로' 육성 (A Light Pink Freesia 'Bolero' with Single Multi-flowering for Cut Flower)

  • 조해룡;이혜경;김미선;박상근;신학기;정향영;임진희
    • 화훼연구
    • /
    • 제19권2호
    • /
    • pp.115-118
    • /
    • 2011
  •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는 2007년 연분홍색 홑꽃 프리지아 신품종 육성을 위한 목적으로 1999년 2월에 'Yellow Ballet'과 'Yellow Dream' 조합의 실생 계통과 'Sandra' 품종을 교배하여 연분홍색 홑꽃, 다화성 품종인 'Bolero'를 개발하였다. 1999년 2월 교배하여 258개의 종자를 획득하였으며, 실생으로부터 파종 7개월 후 화색이 선명한 연분홍색 홑꽃 다화성 우수개체를 1차로 선발하였다. 2003년부터 2006년까지 4년에 걸쳐 생육특성 및 수량 검정을 실시하였으며 안정성, 균일성, 초세, 절화수명 및 구근 증식력이 우수하다고 판단되어 2007년 농작물 직무육성 신품종선정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Bolero'로 명명하였다. 'Bolero'는 연분홍색 (RHS, R55B) 다화성 홑꽃 품종이다. 화형이 매우 안정되어 있고 초세가 강하며 잎과 꽃대가 직립하는 성질을 갖고 있다. 절화 수확량은 평균 7.5개로 매우 많고 개화소요일수는 대비품종에 비해 다소 빠르다. 구근 증식량이 많으며 국내 시설재배 환경에 적합한 품종이다.

대학생들의 상담심리학 전공 인식에 관한 질적 연구 (The Qualitative Study on the Counseling Psychology Major Recognition of University Students)

  • 박종환;김현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406-420
    • /
    • 2021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상담심리학 전공 인식에 관하여 Glaser의 근거이론 방법을 활용하였다. 상담심리학을 전공하는 3, 4학년 학생 중에서 19명의 학생이 연구에 참여하였는데, 5개월 동안 이들을 중심으로 개별 인터뷰 과정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를 분석한 결과로는 103개의 개념, 26개의 하위범주, 9개의 상위 범주, 1개의 핵심 범주가 도출되었다. 연구 결과로는 첫째, 참여자들은 사람들의 마음의 짐을 덜어주고 싶고, 치료자가 되고 싶은 희망을 품고 있었다. 둘째, 참여자 중에는 전공영역에 대한 자신의 성격과 적성면에서 '전공과 잘 어울린다.' '잘 선택했다.' '삶의 전환점이 되었다.' 등의 기쁨과 만족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적성의 부조화, 상담사 역할의 부담감, 전공에 대한 거부감 등, 전공의 부적합성을 인식하기도 하였다. 셋째, 참여자들이 전공 학습에서 유용성을 발휘하였을지라도 전공영역의 진로에 대한 인식은 고민과 갈등으로 작용하고 있었는데, 이들의 고민과 갈등은 앞으로 장기간 공부함으로 생기는 금전적 어려움, 직업적 열악한 조건, 감정소모가 심한 직업에 대한 부담감, 상담직에 대한 두려움, 학부 졸업의 한계, 진로의 불확실성 등에 관한 인식으로 전공 진로 선택의 걸림돌로 작용하였다. 넷째, 참여자들의 인터뷰 자료들을 분석한 결과 '이해와 성장 그리고 상담사의 꿈 실현 의지'라고 하는 핵심 범주를 도출하였다. 결론적으로 참여자들이 가진 전공 인식은 자신에 대한 변화와 성장 그리고 타인과의 건강한 관계 형성, 더불어 전공과 자신의 적성과의 적합성에 대한 만족 등은 진로에 대한 고민과 갈등 상황에서도 전문 상담사의 꿈을 실현하기 위한 지속적인 의지를 간직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한국 여성영화에 반복적으로 나타난 '거울'과 '새장' 모티프 연구 (A Study on 'Mirror' and 'Cage' Motifs Repeatedly Displayed in Korean Female Movies)

  • 김남석
    • 공연문화연구
    • /
    • 제40호
    • /
    • pp.37-69
    • /
    • 2020
  • 이 연구는 한국 여성영화의 흐름을 통해, 그 특징과 미학 그리고 유사성과 차이점을 살피기 위해 구상된 연구이다. 이 연구를 시행하기 위해서 시대별 대표성을 간직한 네 편의 영화를 선택해야 했다. 일제 강점기에 제작된 영화 <미몽>, 1950년대 여성주의에 대한 논쟁을 대대적으로 촉발한 <자유부인>, 여성의 황폐해진 삶과 이율배반적 남성 시각을 결합한 1990년대 영화 <은마는 오지 않는다>, 그리고 한국 페미니즘 영화의 미래 전형을 제시한 <바람난 가족>이 그 대상 작품이다. 특히 이러한 작품들은 시대별 한국 영화의 전형성과 대표성을 담보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되는 대상작이 아닐 수 없다. 이를 바탕으로 이 작품들에 나타나는 두 개의 공통 모티프를 집중적으로 조명했다. 하나는 여성의 영어 된 처지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새장' 모티프이고, 다른 하나는 여성들이 자신의 처지를 자각하고 현재 상황을 점검하는데 필요한 '거울' 모티프이다. 한국의 여성영화는 '새장'과 '거울'의 모티프를 일정 부분 공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모티프의 연계를 통해 궁극적으로 겨냥했던 작가적 전언을 전달하는 데에도 주력해왔다.

성경신(誠敬信)의 의미 고찰 - 종도 차경석(車京石)의 행적(行蹟)과 성경신 변화 과정을 통한 고찰 - (Consider the Meaning of Sincerity(誠), Reverence(敬) and Faith(信))

  • 유병무
    • 대순사상논총
    • /
    • 제22권
    • /
    • pp.345-385
    • /
    • 2014
  • The object of this thesis is to consider the meaning of sincerity(誠), reverence(敬) and faith(信) through Cha gyungseok's historical record. Cha gyungseok(車京石, 1880-1936) is a key disciple of Kang Jeungsan Sangjenim(姜甑山, 1871~1909) to whom Cha kyungseok has begun to follow since 1907, completing his wandering around Yeonghak-gye(英學契), Iljin-hoe(一進會) and Cheondo-gyo(天道敎) after the loss of his father[Cha Jikoo(車致九), 1851-1894] in Tonghak peasants revolution. To examine the meaning of sincerity, reverence and faith as cardinal points in Daesoonjinrihoe(大巡眞理會) creed, this research has taken note of Cha kyungseok's sincerity, reverence and faith who is said to be thought of himself as a head of Reconstruction Work for the Tonghak spitit's resolution of grievances, despite the Sangjenim's intention of using him for different usage due to his sincerity, reverence and faith. Especially, emphasis was given to the illumination of Cha gyungseok's change of sincerity, reverence and faith through closely reviewing his life prior to the encounter with Sangjenim, the process of following Sangjenim and his whereabouts after the ascension of Sangjenim. In addition, through Jeonkyeong(典經), this research also examines Cha kyeong seok's sincerity, reverence and faith along with his ambition contained in that sincerity, reverence and faith. Up to his ascension, Sangjenim has never saved his advice on Cha gyungseok's ambition. Leaving Sangjenim's advice behind, Cha gyungseok moves on to become a head of the Reconstruction Work for the Tonghak spitit's resolution of grievances without deserting the dream of being the Son of Heaven. Although, he showed his prowess as a religious sect leader called Bocheon-gyo boasting its 6 million believers and as a provisional emperor of the country named Sikuk, he ends his life as a head for the Resolution of grievances of kings, princes, generals and premiers due to the change of faith on Sangjenim and interruption of Japanese Imperial Government, without accomplishing his dream. The feature of past disciples suggests the direction of cultivation for our cultivators. Through Cha gyungseok's sincerity, reverence and faith, we could look back upon the meaning of sincerity, reverence and faith and conclude that a real sincerity, reverence and faith is the heart-mind trying to participate in Reconstruction Work of Heaven and Earth with a pure mind, contrary to the one coming out of greed.

BMGIM 심상경험의 심리학적 해석 : 융 학파의 관점에서 본 두 여성의 사례를 중심으로 (Psychological Interpretation of Imagery Experiences in the Bonny Method of Guided Imagery and Music (BMGIM) Focused on the Cases of Two Women from a Jungian Perspective)

  • 김언지
    • 심성연구
    • /
    • 제35권1호
    • /
    • pp.1-65
    • /
    • 2020
  • Bonny Method of Guided Imagery and Music(BMGIM)은 음악에 의해 떠오른 심상경험을 통해 자기인식에 이르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개인 심리치료법이다. BMGIM에서는 심상을 다룰 때 내담자의 통찰에 중점을 두지만, 내담자들이 때로는 심상경험의 의미를 이해하지 못해 혼란스러워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치료사와 내담자들은 BMGIM의 경험을 인과적-환원적 관점에서 보는 경향이 있다. 이 논문은 BMGIM 심상경험의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 심상을 상징으로 보고, 목적의미를 중시하는 융 학파의 관점에서 심상경험을 해석해 본 것이다. 먼저 BMGIM의 정의와 절차를 다루어 보았고, 그 다음에 BMGIM의 구성 요소로서의 음악과 심상을, 그리고 마지막으로 두 여성 내담자의 BMGIM 심상의 상징적 의미를 살펴보았다. 치료사와 내담자 모두 심상경험을 보다 깊이 살펴봄으로써 심상의 상징적 의미뿐 아니라 내담자의 상처와 고통의 목적의미를 새롭게 인식할 수 있었고, 특히 다음 세 가지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로, BMGIM도 꿈이나 적극적 명상과 마찬가지로 정신의 자발적 내용을 다룬다는 것이다. 둘째로, BMGIM에서도 인격의 발전, 치유와 전체성을 지향하는 객체정신의 자율성이 나타난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융 학파의 관점이 심상경험의 의미를 보다 깊고 풍부하게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BMGIM도 꿈 분석이나 적극적 명상처럼 무의식을 다루는, 유용한 치료적 도구가 될 수 있으리라 여겨진다.

이식면역학의 역사적 고찰 (Transplantation Immunology from the Historical Perspective)

  • 박정규
    • IMMUNE NETWORK
    • /
    • 제4권1호
    • /
    • pp.1-6
    • /
    • 2004
  • Transplantation would be the only way to cure the end-stage organ failure involving heart, lung, liver, kidney and pancreas. The replacement of the parts of the body damaged to lose its function or lost to trauma must be a dream of human-being. Human history is replete with chimeras, from sphinxes to mermaids, making one wonder if the ancients might actually have dreamed of what now is called 'xenotransplantation'. In the 20th century, the transplantation of organs and tissues to cure disease has become a clinical reality. The development in the fields of surgical techniques, physiology and immunology attributed to the successful transplantation in human. In the center of the successful transplantation lies the progress in understanding the cellular and molecular biology of immune system which led to the development of immunosuppressive drugs and the invention of the concept of immunological tolerance. The mandatory side effects of immunosuppressive drugs including infection and cancer forced us to search alternative approaches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new immunosuppressive agents. Among the alternative approaches, the induction of a state of immunologic tolerance would be the most promising and the most generic applicability as a future therapy. Recent reports documenting long-term graft survival without immunosuppression suggest that tolerance-based therapies may become a clinical reality. Last year, we saw the epoch making success of overcoming hyperacute rejection in porcine to primate xenotransplantation which will lead porcine to human xenotransplantation to clinical reality. In this review, I dare to summarize the development of transplantation immunology from the perspective of history.

창의적 업무지원을 위한 공용공간 활성화 현황조사에 관한 연구 (The Research on the Present Situation for Supporting Creative Work by Revitalization of Common Space)

  • 신동관;한영호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1권4호
    • /
    • pp.172-180
    • /
    • 2012
  • Recently, the definition of work space contains so many meanings. Basically, this means space where handling various information and developing numerous creative activities. Moreover, the work space is important not only for individual itself but also organizational development. This research is studied for suggesting revitalization of advanced work efficiency, deriving motivation as well as creative operation support for harmonious communication. In order to make the better creative work places, "concentration and motivating interests between members of organization", "Necessity of environment for development and operational progress of work", "improvement and creativity of work and importance of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harmonious communication and development of advanced community" should be considered. This research arranged based on ALCEMIS model and used actual examples on each step for better understanding of creative work spaces. ALCEMIS model is as follows: (1) Opportunity Finding (2) Fact Finding (3) Opportunity Definition (4) Idea Finding (5) Evaluate & Select (6) Plan (7) Acceptance (8)Execution' over the eight-step details to proceed through the 1. Discovert ((1)+(2)) 2. Dream ((3)+(4)) 3. Design((5)+(6)) 4. Destiny((7)+(8))y" It has been understood that many works related to creative jobs make good use of public spaces to progress operational improvement. The place where co-workers share with can create more effective and fulfilling outcome and satisfaction than independent and exclusive places. Especially creative jobs need this kind of spaces for better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 PDF

한국판 5요인 마음챙김 단축형 척도 타당화 연구 (The Validation of Korean Version of Five Facet Mindfulness Questionnaire Short Form)

  • 정문주;채은영;류영수;강형원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07-216
    • /
    • 2017
  • Objectives: To simplify the mindfulness scale and to ensur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cale. Methods: To develop scale items using the original scale and to identify factor structure of the scal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results of factor analysis, the short-form 5-factor mindfulness scale item was selected. Internal consistency coefficient was calculated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reliability of the short-form scale. Finally, to verify validity of the abbreviated scale, we conducted correlation analysis with the abbreviated scale and the mindfulness scale (FFMQ). Results: As with the original scales, scaled scales were composed of 5 factors and consisted of 15 items in total. Factor analysis revealed factor loadings were adequate and reliability and validity were secured. Conclusions: It provided that mindfulness shortening scale validation can be used more simply to measure mindfulness in the clinical sce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