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oxycycline

검색결과 169건 처리시간 0.028초

일부(一部) 무의촌지역(無醫村地域)과 병원(病院)에서 분리(分離)한 E.coli의 항생제(抗生劑) 감수성(感受性)에 대(對)하여 (Studies on the Antibiotic Sensitivity of Escherichia coli Isolated from a Doctorless Area and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김익상;신희섭;이광호;차창용;장우현
    • 대한미생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10
    • /
    • 1977
  • 40 strains of E. coli isolated from residents of a doctorless area in Korea in 1976 and 40 strains of E. coli isolated from patients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1975 to 1976 were examined for susceptibilities to 14 antimicrobial agents by the agar dilution method. The susceptibilities of the two groups to each antimicrobial agent were compared and correlations in the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of the 80 strains of E. coli among the 14 antimicrobial agents were also analyzed.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 1. With Tetracycline, Oxytetracycline, Doxycycline and Ampicillin, the mean MIC's of E. coli isolated from patients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ere 8.6 to 14 times higher than. those of E. coli isolated from residents of a doctorless area. 2. With Streptomycin, Minocycline and Carbenicillin, the mean MIC's o{ E. coli isolated from patients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ere 4.1 to 5.6 times higher than those of E. coil isolated from residents of a doctorless area. 3. With Kanamycin, Penicillin and Cotrimoxazole, the mean MIC's of E. coli isolated from patients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ere 2.6 to 3.7 times higher than those of E. coli isolated from residents of a doctorless area. 4.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usceptibility to Erythromycin respectively between E. coli isolated from patients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i isolated from residents of a doctorless area. 5. E. coli isolated from patients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ere resistant to Erythromycin(100%), Streptomycin(75%), Tetracycline(72.5%), Oxytetracycline(72.5%), Doxycycline(72.5%), Minocycline(67.5%), Penicillin(82.5%), Ampicillin(60%) and Carbenicillin(65%) respectively and were sensitive to Gentamicin(97.5%), Cephalexin(92.5%) and Kanamycin(72.5%) respectively. 6. E. coli isolated from residents of a doctorless, area were resistant to Erythromycin(100%), Streptomycin(40%) and Penicillin(50%) respectively and were sensitive to Gentamicin(100%), Kanamycin(92.5%), Tetracycline(87.5%), Oxytetracycline(87.5%), Doxycycline(87.5%), Minocycline(87.5%), Ampicillin(95%), Carbenicillin(92.5%) and Cephalexin(97.5%) respectively. 7. There were high correlations among the suscebtibilities of the 80 strains of E. coli to Tetracycline analogues(Tetracycline, Oxytetracycline, Doxycycline and Minocycline) and among susceptibilities of the 80 strains of E. coli to Penicillin analogues(Penicillin, Ampicillin and Carbenicillin). 8. There were relatively high correlations between the susceptibilities of the 80 strains of E. coli to Penicillin analogues and those to Tetracycline analogues, between the susceptibilities to Penicillin analogues and those to Streptomycin and between the susceptibilities to Tetracycline analogues and those to Streptomycin.

  • PDF

일부 무의촌지역과 병원에서 분리한 Enterococci의 항균제 감수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of Enterococci isolated at Doctorless areas and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김익상;신희섭;이광호;장우현;임정규
    • 대한미생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63-73
    • /
    • 1978
  • 28 strains of Enterococci isolated at doctorless areas in Korea from Oct. 1976 through Mar. 1977 and 30 strains of Enterococci isolated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Sep. 1976 through Dec. 1976 were examined for susceptibilities to 14 antimicrobial agents by agar dilution method. The susceptibilities of two groups to each antimicrobial agent were compared and incidence of resistant strains in each antimicrobial agent, incidence of multiply resistant strains and correlations in the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of 58 strains of Enterococci among 14 antimicrobial agents were analyzed. 1. With Tetracycline, Oxytetracline, Doxycycline, Minocycline and Erythromycin, the mean MIC's of Enterococci isolated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ere 1.9-2.5 times higher than those of Enterococci isolated at doctorless areas, though there were no statistical significance. 2. Frequency of resistant strains in Enterococci isolated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as the highest with Cephalexin(100%), Gentamicin(100%), and Streptomycin(100%), followed by Kanamycin(93.3%), Carbenicillin(90%), Tetracycline(26.7%), Oxytetracycline(26.7%), Doxycycline(26.7%), Minocycline(20%), Erythromycin(10%), Troleandomycin(10%), Penicillin(6.7%), Cotrimoxazole(6.7%) and Ampicillin(0%). 3. Frequency of resistant strains in Enterococci isolated at doctorless areas was the highest with Kanamycin(100%) and Streptomycin(100%), followed by Cephalexin(96.4%), Gentamicin(96.4%), Carbenicillin(92.9%), Tetracycline(10.7%), Oxytetracycline(10.7%), Doxycycline(10.7%), Minocycline(10.7%), Cotrimoxazole(10.7%), Penicillin(3.6%), Ampicillin(0%), Erythromycin(0%), and Troeandomycin(0%). 4. In study with Penicillin, Ampicillin, Tetracycline, Cotrimoxazole, Erythromycin and Troleandomycin, there were no multiply resistant strains in Enterococci isolated at doctorless areas, while 4 strains of Enterococci isolated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showed multiple resistance. 5. There were high correlation in susceptibility of 58 strains of Enterococci among Tetracycline, Oxytetracycline, Doxycycline and Minocycline(correlation coefficients 0.86-0.97). Correlation coefficients of susceptibility among penicillin analogues(Penicillin, Ampicillin, Carbenicillin and Cephalexin) ranged between 0.75-0.89. Correlation coefficients of susceptibility among aminoglycosides(Kanamycin, Gentamicin and Streptomycin) ranged between 0.09-0.51.

  • PDF

불응성 Helicobacter pylori 감염 환자들에게 유전자형 내성을 기반한 제균 치료는 유용한가? (Is Genotypic Resistance-guide Eradication Therapy Effective for Patients with Refractory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 김성은
    • 대한상부위장관⦁헬리코박터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77-279
    • /
    • 2018
  • 전 세계적으로 Helicobacter pylori의 항생제 내성률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기존의 제균 치료에 실패한 H. pylori 감염 환자들에 대한 효과적인 구제요법(rescue therapy)의 필요성 역시 증가하고 있다. 이 연구는 두 개 기관, 공개, 평행 그룹, 무작위 배정 연구로서 불응성 H. pylori 감염 환자들의 구제요법으로 유전자형 내성을 기반한 치료(genotype resistance-guided therapy)와 경험적 치료(empirical therapy) 중 어느 것이 보다 효과적인지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2012년 10월부터 2017년 9월까지 20세 이상의 불응성 H. pylori 감염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불응성 H. pylori 감염은 과거 두 종류 이상의 H. pylori 제균 치료를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H. pylori 제균에 실패한 환자들로 정의하였다. 이들에게서 한 군은 14일간의 유전자형 내성을 기반한 순차 치료(n=21 in trial 1, n=205 in trial 2)를, 다른 한 군은 환자들의 과거 제균 치료 종류를 감안한 14일간의 경험적 순차 치료(n=20 in trial 1, n=205 in trial 2)를 시행하였다. 순차 치료법은 첫 7일은 esomeprazole 40 mg과 amoxicillin 1 g을 하루 두 번 복용한 다음, 나머지 7일은 esomeprazole 40 mg과 metronidazole 500 mg, 그리고 1) levofloxacin 250 mg 또는 2) clarithromycin 500 mg 또는 3) tetracycline 500 mg을 하루 두 번 복용하는 것으로 구성하였다. 23S ribosomal RNA (rRNA)나 gyrase A에 대한 내성 관련 돌연변이 여부는 direct sequencing을 통한 중합효소연쇄반응(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검사를 이용하였고, 제균 성공 여부는 요소호기검사를 통해 확인하였다. 일차 결과 지표는 치료 방법에 따른 제균율로 정하였다. Trial 1에서는 tetracycline 대신 doxycycline 100 mg을 사용하였는데, 제균 성공률이 유전자형 내성을 기반한 치료군에서는 17명(81%), 경험적 치료군에서는 12명(60%)으로 나타났다(P=0.181). 하지만, 다른 순차 치료군들과 비교하였을 때, doxycycline을 포함한 순차 치료군의 제균율이 현저히 낮은 것으로 나타나서(15/26, 57.7%) doxycycline을 포함한 순차 치료법은 종결하기로 하고, trial 2부터는 doxycycline 대신 tetracycline으로 교체하여 연구를 지속하였다. Trial 2의 intention-to-treat (ITT) 분석 결과, 유전자형 내성을 기반한 치료군에서는 160/205명(78%), 경험적 치료군에서는 148/205명(72.2%)으로 두 그룹 간의 통계적인 제균율의 차이는 보여주지 못하였다(P=0.170). 부작용 및 환자 순응도에서도 양 군 간의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 따라서, 두 종류 이상 H. pylori 제균 치료에 실패한 환자들이라고 할지라도 기존의 제균 치료력을 바탕으로 적절한 경험적 치료를 시행하는 것은 유전자형 내성을 기반한 치료 정도의 효과는 있으며 접근성, 비용, 환자들의 선호도 등의 여러 가지 부가적인 사항들을 고려할 때, 제균 치료력을 고려한 경험적 치료는 간단한 수준의 유전자형 내성을 기반한 치료의 대안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을 것으로 제안하였다.

양식장 배출수에 첨가된 항생제 제거 위한 수중 비열 유전체장벽 방전 플라즈마 처리 효과 (Effect of plasma treatment using underwater non-thermal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to remove antibiotics added to fish farm effluent)

  • 조규석;강한승
    • 환경생물
    • /
    • 제40권4호
    • /
    • pp.641-650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양식장 배출수 내에 포함된 5종의 항생제(tetracycline, doxycycline, oxytetracycline, clindamycin 및 erythromycin)를 제거하기 위해 사용한 수중 비열 유전체장벽 방전 플라즈마(Dielectric Barrier Discharge plasma, DBD plasma) 장치 안으로 공기와 산소를 각각 주입했을 때 항생제의 제거효율을 비교하는 것이다. DBD plasma를 발생시키기 위해서 주어진 전압은 27.8 kV이었고, 처리간격은 0, 0.5, 1, 2, 4, 8, 16 및 32분이었다. 3종의 tetracycline계 항생제는 공기를 주입했을 때는 4분만에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산소를 주입했을 때는 30초만에 유의성을 나타내었다. 32분째 공기와 산소를 각각 주입한 결과, tetracycline은 78.1%와 95.8%, doxycycline은 77.1%와 96.3% 그리고 oxytetracycline은 77.1%와 95.5% 감소하였다. Clindamycin은 공기를 주입했을 때 59.6%가 감소되었고, 산소는 83.0% 감소되었다. 또한, erythromycin은 공기주입 시 53.3%가 감소되었고 산소 주입 시 74.3%가 감소하여 두 항생제 모두 tetracycline계 항생제보다 낮은 제거 효율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수중 DBD plasma는 양식장 배출수 내에 포함된 5종의 항생제를 감소시킬 수 있고, 제거 효율은 공기보다 산소를 주입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지속성 기흉에서 자가혈액을 이용한 흉막유착술의 효과 (The Effects of Autologous Blood Pleurodesis in the Pneumothorax with Persistent Air Leak)

  • 윤수미;신성준;김영찬;손장원;양석철;윤호주;신동호;정원상;박성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9권6호
    • /
    • pp.724-732
    • /
    • 2000
  • 연구배경 : 심한 폐기능 장애가 만생 폐질환 환자에서 발생한 기흉은 그 정도가 심하지 않더라도 심한 호흡곤란을 일으켜 환자의 생명을 위협하기도 한다. 우선 공기 천자 및 흉관삽입을 시행한 후에도 공기누출이 지속되는 경우 흉강경을 이용한 수술적 치료로 공가누출을 근원적으로 막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다. 그러나 심한 폐 손상으로 흉강경 삽입을 할 수 없는 경우에는 삽입된 흉관을 통하여 흉막유착을 시도하게 된다. 흔히 사용되는 제재는 tetracycline, talc powder, silver nitrate 등이며 때로는 OK-432, 항암제인 bleomycin, mitomycin등이 사용되기도 한다. 한가지 방법으로는 실패한 경우 다른 약제로 재시도 하지만 그래도 공기누출이 지속되는 경우에는 입원기간이 장기화 되면서 경제적 손실이 따르고 호흡기 합병증이 발생가능하며 때로는 사망할 수도 있다. 또한 주로 사용되던 주사용 tetracycline과 doxycycline 마저 최근 국내 생산이 중단되어 새로운 흉막유착물로의 대체가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외상등으로 발생한 혈흉에서 적절히 배액되지 않으면 섬유흉(fibrothorax)이 발생 하며, 심한 경우 외과적 흉막박피술로 이를 제거하여야 할 정도로 혈관 밖으로 나온 혈액은 흉강내에서는 강력한 자극제로서 조직간에 유착을 일으킨다는 사실이 이미 알려져 있어 이를 이용한 자가혈액 흉막유착술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공기누출이 지속되는 기흉이 합병된 중증 만성 폐질환 환자에서 자가혈액 흉막유착을 시행하였다. 이들은 수술적 치료에 적응증이 되지 않았고 일차적으로 시행한 doxycycline 흉막유착술에 실패한 예이다. 흉관 삽입 후 폐가 충분히 펴진 다음에 정맥에서 채취한 환자의 혈액과 50% dextrose를 같은 비율로 섞은 용액을 흉관 또는 pig-tail 카테터를 통하여 흉강대로 주입하여 흉막유착술을 수회 시행하였다. 이의 효과와 통증의 정도, 합병증 여부를 확인하였고, 기흉 발생 이전과 흉막유착후의 호흡곤란 정도와 폐기능의 변화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결과 : 자가혈액 흉막유착술은 지속적인 공기누출이 있는 기흉을 가진 대부분의 대상환자에서 성공적이었으며 1예에서만 6개월 뒤 재발하였다. 자가혈액 흉막유착술 이전의 공기누출기간은 평균 18.4일 이었고 이후는 5.2일 이었다. 일차로 시행한 doxycycline 흉막유착술에 비하여 통증이 적었으며 시술중 4예에서 미열이 있었고 이외의 다른 합병증은 없었다. 평균 21개월(2~68개월)간 추적검사 하였는데 흉막유착은 8예에서 경도로 있었다. 기흉발생 이전과 흉막유착술 시행 후의 호흡곤란 정도와 폐기능 변화는 없었다. 결론 : 자가혈액은 흉막유착술에 이용될 수 있는 유용한 제재로 생각된다. 지속척인 공기유출이 있는 기흉에서 쉽고 적은 비용으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었고 시술중이나 시술후에 큰 합병증도 발견되지 않았으며 무엇 보다도 혈액은 얻기가 쉽다. 기존의 doxycycline을 이용한 흉막유착술에 비하여 환자가 통증을 적게 호소하여 편안할 뿐만 아니라 tetracycline계의 약물과 달리 혈액은 때로는 patch로 작용하여 공기누출을 막는 효과가 더 높으며 추적 관찰 결과 시술후의 늑막유착은 심하지 않았다. 따라서 중증 만성 폐질환 환자에서 지속적인 공기누출이 있는 기흉이 있고 수술적 치료에 의한 적용이 되지 않는 경우 자가혈액을 이용한 흉막유착술은 유용한 치료법이라고 사료된다.

  • PDF

새로운 Tetracycline 유도적 유전자 발현 System의 In Vitro 검정 (Examination of Improved Tetracycline Inducible Gene Expression System In Vitro)

  • 권모선;김태완;구본철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제37권3호
    • /
    • pp.109-115
    • /
    • 2013
  • Until recently the most popular tetracycline-inducible gene expression system has been the one developed by Gossen and Bujard. In this study, we tested the latest version of same system an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Compared with previous one, the difference of new system are minor changes of nucleotide sequences in transactivator and tetracycline response element (TRE) regions. Sensitivity to the doxycycline (a tetracycline derivative) was improved. Leakiness of GFP marker gene expression in non-inducible conditio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Higher expression of the marker gene was observed when the cells were fed with doxycycline-containing medium. Optimal insertion site of woodchuck posttranscriptional regulatory element (WPRE) sequence which was known to increase gene expression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origin of cells. In chicken embryonic fibroblast, location of WPRE sequence at 3' end of TRE resulted in the highest GFP expression. In bovine embryonic fibroblasts, 3' end of transactivator was the best site for the GFP expression.

Postantibiotic Effects and Postantibiotic Sub-MIC Effects of Antibiotics on Fusobacterium nucleatum and Porphyromonas gingivalis

  • Hong, Jin;Lee, Si-Yo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Oral Biology
    • /
    • 제30권2호
    • /
    • pp.59-63
    • /
    • 2005
  • Postantibiotic effects (PAE) refer to suppression of the bacterial growth following limited periods of exposure to an antibiotic and subsequent to the removal of the antibiotic agent. Fusobacterium nucleatum and Porphyromonas gingivalis are Gram-negative anaerobic bacteria associated with several periodontal diseases. In this study, postantibiotic effects (PAE), postantibiotic sub-MIC effect (PA SME) and sub-MIC effect (SME) of antibiotics on F. nucleatum ATCC 25586 and P. gingivalis W50 were investigated. The PAE was induced by 10X the MIC of antibiotic and antibiotic was eliminated by washing. The PA SMEs were studied by addition of 0.1, 0.2 and 0.3X MICs during the postantibiotic phase of the bacteria, and the SMEs were studied by exposition of the bacteria to antibiotic at the sub-MICs only. Amoxicillin, doxycycline and tetracycline induced PAE for F. nucleatum ATCC 25586 and P. gingivalis W50. But metronidazole and penicillin induced PAE for only F. nucleatum ATCC 25586. Metronidazole and doxycycline induced PA SME and SME for both species of anaerobic bacteria used in this study. The PA SME values for both strains were substantially longer than the SME values. The present study showed the existence of PAE, PA SME and SME for various antibiotics against F. nucleatum ATCC 25586 and P. gingivalis W50.

넙치에서 분리된 Edwardsiella tarda의 약제내성 전달성 R plasmid (Transferable R plasmid of Edwardsiella tarda isolated from diseased flounders, Paralichithys olivaceus)

  • 김은희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15-121
    • /
    • 1999
  • 양식넙치에서 분리된 Edwardsiella tarda가 갖는 약제내성을 전달하는 R plasmid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16종의 화학요법제에 대한 E. tarda의 감수성 정도를 비교하였으며, 내성형태 및 내성전달을 확인하고 transferable R plasmid를 분리하였다. E. tarda는 ampicillin, amoxicillin, erythromycin, flumequine, doxycycline(DOXY), nalidixic acid, novobiocin, oxolinic acid, oxytetracycline(OTC), thiamphenicol(TP) 그리고 sulfonamide의 11약제에 대하여 다양한 조합으로 복합내성을 보였으며, DOXY, OTC, TP 내성이 Escherichia coli로 전달되었다. 복합내성의 두 균주에서 transconjugant가 형성되었으며 이들로부터 분리된 transferable R plasmid는 서로 상이한 DNA 구조였다. 이는 넙치에서 분리되는 E. tarda에는 적어도 두 종류 이상의 thansferable R plasmid가 분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 PDF

경북지방에서 발견된 Tsutsugamushi 병 치험 1례 (A Case of Tsutsugamushi Disease)

  • 박시화;윤성철;이영현;정재천;김종설;홍석일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4권1호
    • /
    • pp.173-176
    • /
    • 1987
  • 저자들은 경북 고령지방에서 발생한 tsutsugamushi 병 1예를 Weil-Felix test로 확진하였으며 Doxycycline으로 치료하여 그 경과를 보았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특히 환자의 거주지가 경북지역이고 최근 타지역을 여행한 경험이 없었다는 사실에 미루어 휴전선, 강원도, 경기도 지역뿐만 아니라 남부 지방에서도 tsutsugamushi 병이 발생가능하다는 사실을 본 증례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