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omestic wood

검색결과 363건 처리시간 0.024초

A Study on the Preparation of Wood Plastic Combinations (II). Monomer Impregnations and Gamma-ray Induced Polymerizations

  • Pyun, Hyung-Chick;Kim, Jae-Rok;Lee, Kyung-Hee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4권1호
    • /
    • pp.23-30
    • /
    • 1972
  • 감마선 중합에 의한 목재와 프라스틱의 복합체 제조에 있어서, 각종 목재들에 대한 단량체의 침투량과 침투속도를 검토하였으며, 중합에 있어서는 국산 목재를 주로 하여 이에 각종 단량체 및 그 혼합물, 방사선의 조사량, 조사율, 이에 따르는 중합속도 등을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단량체 침투에 있어서, 침투속도나 침투량은 모두 포플라에서 컸다. 2) 목재내에서의 단량체의 중합속도는 비닐 아세테이트-메찔메타아크릴레이트-스타이렌의 순서이며 필요한 전 조사량은 조사율 4$\times$$10^4$rad/hr에서 3~15Mrad의 범위었다. 따라서 중합속도의 관점에서 볼때 비닐아세테이트나 메찔메타아크릴레이트가 좋은 단량체 이다. 3) 단량체와의 결합에 있어서 리기다송, 육송등이 중합속도로 보아 효과적인 목재이다. 4) 목재 내부에서 단량체는 비교적 낮은 조사율인 2.1$\times$$10^4$rad/hr에서 더 용이하게 중합되었다.

  • PDF

통나무집의 동절기 실내 온열환경 요소의 측정과 온열감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xamination of Indoor Thermal Environment Elements and Thermal Sensation Vote of Log Cabins in Winter Season)

  • 민병철;전지현;국찬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8권2호
    • /
    • pp.21-27
    • /
    • 2007
  • Various buildings constructed by environmentally friendly resources are being built in KOREA. Especially as the wood has distinctive ecological merits in comparison with reinforced concrete and brick, the buildings made by the wood are acknowledged with its superiority of ecological value. Enough field studies for their thermal environment, however, haven't been done. In this study, to investigate indoor environmental condition and occupants' response to it of Log Cabin in Gyeongsangnam-do Hamyang Country Jirisan Natural Recreation Forest, examination of indoor thermal environment and field subjective evaluation have been done in that fundamental information of thermal environment characteristics can be suggested. The results are following; 1) Thermal environment of the Log Cabins; Indoor and outdoor mean dry bulb temperature were $21.9^{\circ}C$ and $-3.1^{\circ}C$, and Indoor and outdoor average relative humidity were 25.8% and 52.1%. These results are below ASHRAE; dry bulb temp. $22.0^{\circ}C$, humidity 30%, and above domestic standards; dry bulb temp. $18{\sim}20.0^{\circ}C$, humidity $40{\sim}60%$. 2) Result of subjective evaluation; Thermal sensation and its comfort were evaluated as 'slightly uncomfortable' because of 'slightly warm'. And humid sensation and its comfort were evaluated as 'slightly uncomfortable' because of 'slightly warm'. 3) Result of vertical temperature and humidity; Vertical temperature difference from head to ankle was $0.54^{\circ}C$ which means most occupants may feel comfortable.

일본잎갈나무 정각재(正角材)의 고온건조(高溫乾燥) 온도(溫度)가 내부온도(內部溫度), 건조속도(乾燥速度) 및 건조결함(乾燥缺陷)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Drying Temperature on Internal Temperature, Drying Rate and Drying Defects for Japanese Larch in High-Temperature Drying)

  • 이준호;정희석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5권4호
    • /
    • pp.99-107
    • /
    • 1997
  • This study was executed to test the possibility of replacement for domestic Japanese larch(Larix leptolepis) for hardwoods and to acquire the information about the effects of drying temperature on internal temperature, moisture content and drying defects. In high-temperature drying, internal temperature increased rapidly to boiling point, immediately after that point the internal temperature rising rate was reduced. In the case of drying at temperature of $125^{\circ}C$, internal temperature could reach at boiling point in a very short time. Moisture content in high-temperature drying showed constant drying rate period and first period of falling rate drying together in 4 hours since experiment begun. There was no strong correlation between initial moisture content and final moisture content. Average drying rate at $115^{\circ}C$, $120^{\circ}C$ and $125^{\circ}C$ was 1.42%/hr, 1.88%/hr and 2.02%/hr, respectively; the case of drying temperature of $125^{\circ}C$ showed most rapid drying rate. Drying rate of $125^{\circ}C$ was so rapid that it showed more severe shrinkage, bow, collapse, end check, and internal check development than in other drying condition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e strong possibility of high-temperature drying for Japanese larch, and to dry Japanese larch optimally, dry bulb temperature should not exceed $120^{\circ}C$.

  • PDF

화목 연료 난방설비의 화재 위험 감소 방안에 관한 이론적 연구 (Study on the effective response method to reduce fire risk of wood fuel heating system)

  • 박경진;이봉우;이근출;남기훈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2권2호
    • /
    • pp.163-171
    • /
    • 2019
  • Recently, rural housing in urban areas has been increasing due to the improvement of income level. With the increase of the construction of the power house, the installation of the heating system using the harmonious fuel for the purpose of heating and the beauty of the room is increasing rapidly. In addition to the increasing use of firewood heating equipment, the incidence of fire is also increasing. Analysis of the National Fire Data System of the Fire Department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National Fire Data System Many parts of the fire are incinerated by the accumulation of tar due to the incompleteness of periodic cleaning inside the cylinder. The distance between the fire extinguisher and the combustible materials such as ceiling, Resulting in fir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much of the fire of the firewood heating system in the time zone occurs during the sleeping and resting time and there is not enough time for the residents to cope. This, in turn, causes serious harm to the lives and property of the users of the pyrotechnic heating system. Therefore, in this study, domestic and foreign standards and laws related to fuel oil heating facilities were analyzed and 12 cases of fire accidents were analyzed. Through the revision of the fire prevention and firefighting facilities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law, the installation standards of the alarm and fire extinguishing facilities were presented.

간벌이 한국산 잣나무의 용재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inning on the Timber Quality of Pinus koraiensis Grown in Korea)

  • 정성호;정두진;박병수;전수경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1권2호
    • /
    • pp.16-23
    • /
    • 2003
  • 간벌이 국산 잣나무 조림목의 용재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함으로써 잣나무 인공조림목의 양질재 생산과 효율적 이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된 본 연구에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강도의 간벌을 실시한 곳에서는 원목의 단위 m당 표면옹이 출현수가 감소하였고, 죽은 옹이의 비율도 감소하였으나 옹이의 크기는 커졌으며, 옹이의 상향각은 죽은옹이가 산옹이보다 컸다. 굽은 원목은 간벌을 하지 않은 곳보다 강도간벌을 실시한 곳에서 적게 출현하였고, 원주형질률은 강도간벌을 실시한 곳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지상고 3.2 m 이하 부위의 원목에서 더욱 향상되었다. 무결점재면률은 무간벌구에 비해 강도간벌구에서 향상되었으며, 원목품등은 간벌을 강하게 실시한 경우일수록 높게 나타났다.

국내산 상수리나무와 일본 잎갈나무의 수축율과 열전도율에 대한 주기적인 함수율 변화의 영향 (Effect of Cyclic Moisture Content Changes on Shrinkage and Thermal Conductivity in Domestic Quercus acutissima Carr. and Larix Kaempferi Carr.)

  • 문성희;차재경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0권4호
    • /
    • pp.41-50
    • /
    • 2002
  • 국산재의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사용을 위하여 상수리나무와 일본잎갈나무의 소형 무결점 시편에 대한 열전도율과 수축율 실험을 실시하였다. 모든 시편은 상대습도 86, 66, 20% 및 온도 23℃인 항온항습기에서 함수율 18, 12, 5%순으로 3회 반복·조습처리하였다. 상수리나무와 일본잎갈나무의 방사방향 및 접선방향의 수축율은 모든 함수율에서 주기(cycle)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였다. 또한 전건비중이 증가할수록 방사방향 및 접선방향 수축율은 증가하였다. 열전도율은 주기가 증가하면 모든 함수율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그리고 열전도율과 수축율은 전건비중 및 함수율과 매우 높은 상관계수를 나타냈다.

옻칠의 품등 구분 (I) 전통적인 방법에 의한 옻칠의 품등구분 (Grade Classification of Urushi Lacquer (I) Grade Classification of Urushi Lacquer by Traditional Method)

  • 노정관;김윤근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6권6호
    • /
    • pp.105-112
    • /
    • 2008
  • 옻칠은 채취된 산지별, 기후변화별, 채취시기별, 저장 등 각각의 요인에 따라 구성성분이 달라지며, 도료로서의 품등도 달라지는 성질을 가진 천연도료라는 점을 고려할 때 옻칠의 품등 구분은 매우 어렵다. 전통적 방법에 의한 옻칠의 품등구분은 옻칠종사자 10명의 패널에 대한 관능평가에 의해 실시하였다. 옻칠종사자들의 전통적인 옻칠 품등구분 방법의 공통점은 색조, 냄새, 점도, 한지 위 퍼짐성, 유리판 위 색조 및 건조성에 의해 판단하고 있으며, 그 외 한지 위 문지르기, 알코올램프 가열에 의한 감량 조사가 있었다. 패널요원 10인에 의한 5개 항목에 대한 전체평균의 결과, 중국산 생칠(E)이 7.03로서 가장 우수하였고, 그 다음이 일본산 생칠(C) 6.84, 한국산 생칠(A) 6.41, 중국산 생칠(D) 5.27 그리고 한국산 화칠(B) 2.50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각 패널들이 평가한 결과는 한지위 퍼짐성에 의한 품등구분 이외에는 서로 다른 견해를 나타내는 경우가 있어 전통적인 방법만에 의한 품등구분에는 객관성과 공정성이 결여될 소지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국내 기계등급구조재의 등급구분체계 및 기준설계값 결정방법 연구 (Determination of Grades and Design Strengths of Machine Graded Lumber in Korea)

  • 홍정표;이전제;박문재;여환명;방성준;김철기;오정권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3권4호
    • /
    • pp.446-455
    • /
    • 2015
  • 국내외 기계등급제재목(구조재 및 층재)의 등급기준 및 설계강도 산출방법을 비교 분석하고 국내 제재산업 실정을 고려한 평균 탄성계수(modulus of elasticity, 이하 MOE) 기준방법 적용을 제안하였다. 먼저 올바른 기계등급제재목 기준 정착을 위해 기계등급구조재와 기계등급층재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설명하였다. 최소 고정 MOE 기준 등급을 사용하는 국내 기준은 등급구분에는 편리하나 휨강도(modulus of rupture, 이하 MOR) 예측과 자원이용도 측면에서는 효율성이 낮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해외에서 사용되는 평균 MOE 기준 방법은 초기 컴퓨터 기반 작동을 요구하나 MOR-MOE 직선회귀에 근거한 합리적인 MOR 예측과 품질관리 측면에서 효율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무엇보다도 현 국내 기계등급구조재 등급체계는 수종별 강도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점으로 분석되었으며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MOR-MOE 직선회귀분석에 근거한 기계등급제재목 등급기준 및 기준설계값 산출방법 적용을 제안하였다. 이를 통하여 궁극적으로 부가가치가 높은 국산 기계등급구조재 생산 활성화를 이루고, 기계 등급구조재의 층재 전용 가능에 따른 구조용 집성재 가격경쟁력 제고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사료되었다.

국내산 리기다소나무를 이용한 목재 모형 사방댐의 강도 성능 평가 I (Strength Properties of Wooden Model Erosion Control Dams Using Domestic Pinus rigida Miller I)

  • 김상우;박준철;이동흡;손동원;홍순일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6권6호
    • /
    • pp.77-87
    • /
    • 2008
  • 국내산 주요 침엽수 소경목의 활용 방안으로 리기다소나무를 이용한 목재 모형 사방댐을 제작하여 강도 성능을 평가하였다. 목재 모형 사방댐은 직경 90 mm의 CUAZ-2 (Copper Azole) 처리한 리기다소나무 방부 원주목을 사용하여 3 Type으로 접합부를 달리하여 제작하였다. 각 Type별 사방댐은 횡목 5층 종목 4층 총 9층의 높이 790 mm로 제작 하였으며 수평 재하 시험과 충격 시험을 통한 강도 성능 평가와 화상처리를 통한 구조물의 변형을 검토 하였다. 직경 90 mm의 원주목을 사용한 목재 모형 사방댐의 수평 재하 시험 결과 직결나사를 사용한 경우 쇄석의 유무는 강도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변형은 23% 감소하였다. 전선볼트를 사용한 일체형 사방댐의 경우 쇄석을 채운 경우 1.5배 강도가 증가하고 변형은 감소하였다. 직결나사에 고리가 달린 전선볼트로 보강한 경우 4.8배 강도가 증가하였다. 직경 90 mm 목재 모형 사방댐의 충격 시험 결과 쇄석을 채우지 않은 직결나사 사방댐은 1회 충격에 구조물 전체가 파괴되었으며 전선볼트를 사용한 사방댐은 1회 충격시 779 kgf의 충격이 직접적으로 가해지는 횡목에서 파괴되었다. 2회 충격시 기초부가 파괴되며 545 kgf로 반력이 감소하였고 3회 충격시 기초부 전체가 파괴되며 263 kgf로 반력이 감소하였다.

소나무재선충병 피해를 받은 곰솔 원목의 열처리 소요시간 예측 (Prediction of Heat-treatment Time of Black Pine Log Damaged by Pine Wilt Disease)

  • 한연중;서연옥;정성철;엄창득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3호
    • /
    • pp.370-380
    • /
    • 2016
  • 제주도 지역에서 소나무재선충병 피해를 받은 곰솔 원목의 이용확대를 위하여 열처리를 수행하였다. 열처리는 처리 원목의 중심부가 소나무재선충의 사멸온도인 $56^{\circ}C$를 30분간 유지하여야 한다. 곰솔 원목의 초기함수율과 말구지름은 각각 46% ~ 141%, 180 mm ~ 500 mm의 범위이고, 기본비중과 전건비중은 각각 0.47, 0.52이었다. $105^{\circ}C$ 조건에서 함수율과 말구지름에 따라 열처리에 소요되는 시간은 7.7 h ~ 44.2 h의 범위로 측정되었다. 다양한 함수율 및 지름을 갖는 곰솔 원목의 열처리 소요시간을 예측하기 위하여 열처리 진행 중 처리목 내부의 온도분포를 유한차분법을 적용한 2차원 열전달 해석을 통하여 제시하였다. 열전달 해석을 위한 목재의 열적 특성은 함수율에 따른 열전도계수와 비열을 적용하였으며, 자연대류와 강제대류를 합한 형태의 혼합대류에 의한 혼합대류계수를 적용하였다. 실험값과 예측 값의 오차는 3 ~ 45%의 범위로 분석되었다. 곰솔 원목에서 초기함수율이 50%이고, 말구지름이 200 mm, 300 mm, 400 mm인 경우, 예측된 열처리 소요시간은 각각 10.9 h, 18.3 h, 27.0 h이었다. 초기함수율이 75%일 때, 지름에 따라 각각 13.6 h, 22.5 h, 32.8 h이고, 초기함수율이 100%일 때, 지름에 따라 각각 16.2 h, 26.5 h, 38.2 h이었다. 이러한 열처리 소요시간의 예측방법에 소나무와 잣나무 등 다른 소나무재선충병 피해목의 물리적 특성을 적용하면, 함수율과 말구지름에 따른 열처리 소요시간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