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vinity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24초

중세 그리스도 세례 도상의 신체와 복식에 나타난 신성과 인성 (The Expression of Divinity and Humanity of Christ through His Body and Clothes in the Medieval Paintings, Baptism of Christ)

  • 최선영;김민자
    • 복식
    • /
    • 제64권5호
    • /
    • pp.168-183
    • /
    • 2014
  • When expressing Jesus Christ visually in the medieval Christian paintings, the most important issue was portraying Christ's divinity and humanity in a balanced manner; showing both attributes as Son of God and a human being.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both the formative and the symbolic characteristics of divinity and humanity on Christ's clothes in the Medieval paintings, Baptism of Christ. In the paintings, there are iconographical devices to show His divinity including God, Holy Spirit, the Trinity and the Jordan River. But Christ's body is definite evidence to show his humanity. In connection with the body, the clothes reveal Christ's humanity and divinity as well. Through this research, the study found that the divinity and humanity on the Christ's clothes in the baptism of Christ were as follows: Blue, gole, purple, and white are the emblem of divinity, while the colors red and white stand for the humanity of Christ. In addition, the divinity of christ is expressed through the decoration on the clothes, while the humanity of Christ is shown through the structured drapery and transparent material.

Ontological Violence: "Ambiguous Undulations" between "Sunday Morning" and Sunny Day's Morning

  • Jang, Jeong U
    • 영어영문학
    • /
    • 제56권3호
    • /
    • pp.543-555
    • /
    • 2010
  • In his early poems, Wallace Stevens shows us different gestures, compared with his later poems, when he acquires reality by faculty of imagination. The former is made of ontological violence while the latter is revealed by bareness of less sensuality. However, they are the identical gestures, though from different angles, to accomplish things as they are rather than the ideas of things. In "Sunday Morning," ontological violence occurs in such epistemological couples as thought and thing, mind and world, and imagination and reality. Especially, in order to recuperate his poetic reality, Stevens undermines the traditional hierarchy between heavenly divinity and earthly divinity. In the poem, Christianity faces a critical challenge and then it is disempowered by the earthly divinity. Additionally, by disadvantaging religion, he wants to raise his poetic issue of the faculty of imagination to acquire reality. Stevens' concept of imagination is less subjective and more transcendental than Kantian one. After the ontological violence, Christian divinity and mythic gods leave ontological boundary for earthly divinity in an ambiguous way. In other words, between "Sunday" and "sunny day," the ontological conflicts haunt us throughout the poem as if the violence would happen between imagination and reality. For Stevens, both Christian divinity and mythic gods are mere obstacles to real divinity; both play a mere role of imagination before reality is revealed. Whatever reality is, imagination is always ready to draw an ontological line of reality in an ambiguous way, regardless of how long it lasts. In general, most ontological violence requires such physical remnants of conflicts as borderline, deaths, and pains which still prevail in the poem. Those ontological remnants remain to be found on earth. The sky is an abstract borderline between heaven and earth because in a sense, it belongs to both earthly landscape and heavenly sphere. Without any ontological borderline or threshold, there is no recognition of the divinity because the vitality of divinity is inflamed in continuous transgression of the other. After the final ontological conflict between heaven and earth, there remains only ambiguous borderline near the earth beside the friendlier sky.

한국무속의 신격 연구1 - 서울과 고성의 재수굿을 중심으로 - (The Study on the Divinity of Korean Shamanism 1)

  • 심상교
    • 공연문화연구
    • /
    • 제36호
    • /
    • pp.365-414
    • /
    • 2018
  • 본고는 한국무속에 나타난 신격의 유형과 성격을 연구하는 과정의 하나로 서울과 강원도 고성의 재수굿에 나타난 신격에 대해 연구하였다. 신격에 대한 연구란 무속신이 각 굿에서 의미하는 바, 무속신의 위계, 무속신 상호간의 관계, 무속신의 각 지역 간 대비점 등에 대한 고찰을 의미한다. 본고의 무속 신격 연구는 채록된 무가를 근간으로 하였다. 서울의 재수굿은 논자에 따라 10거리에서 18거리까지 다양하지만 대체로 10거리 내외다. 본고에서는 김태곤이 채록한 12거리 무가를 근간으로 한다. 12거리는 부정거리, 가망거리, 말명거리, 상산거리, 별상거리, 대감거리, 제석거리, 호구거리, 군웅거리, 성주거리, 창부거리, 뒷전거리 등이다. 강원도 고성의 재수굿은 8거리로 부정굿, 서낭굿, 조상굿, 성주굿, 지신굿, 칠성굿, 말명굿, 거리풀이로 구성되었다. 말명거리는 독립굿이 아니라는 견해도 있지만 분석텍스트에 의거하여 본고에서는 독립된 거리로 본다. 그리고 상산 별상 신장 대감을 분리하기도 하고 묶어 대안주로 보기도 하지만 역시 김태곤무가집의 텍스트대로 분리하여 고찰한다. 재수굿의 핵심은 이성과 과학으로 설명되지 않는 세계를 이용해서 개인의 평안을 기원한 측면이 강하다. 인간의 기억에 저장된 경험의 세계를 이성과 과학이 모두 설명할 수 없는 측면이 반영된 것이고 인간 삶의 넓고 다양한 측면에 대해 해명하고자하는 탐구와 정리가 재수굿에 반영된 것으로 생각된다. 서울의 재수굿 각 굿에는 그 굿의 근간이 되는 주신이 있고 주신의 의미를 분명히 하려는 종신, 속신이 있다. 한 굿의 주신은 다른 굿에서 종신이나 속신이 되기도 한다. 각 신격들은 상하관계로 존재하지 않고 평등하게 존재하는 것이다. 재수기원의 신들은 기본적으로 나라안위${\rightarrow}$지역안위${\rightarrow}$가정안위 순으로 굿을 받게 된다. 국태민안${\rightarrow}$안과태평${\rightarrow}$부귀공명${\rightarrow}$재수소망의 순서가 되는 것이다.

중세 '변형' 도상에 나타난 그리스도의 신성과 인성 (The Expression of Divinity and Humanity of Christ through His Body and Clothes in the Medieval Paintings, Transfiguration)

  • 최선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359-369
    • /
    • 2018
  • 중세 기독교 회화에서 그리스도를 표현하는데 있어 가장 중요시한 문제는 그의 신성과 인성을 동시에 나타내는 것이다. '그리스도의 변형' 도상은 다른 어떤 주제보다 그리스도의 두 가지 속성을 뚜렷하게 보여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예형론과 기독론을 통해 중세 그리스도 변형 도상의 신체와 복식에 나타난 그리스도의 신성과 인성의 표현을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그리스도의 두상표현과 자세, 복식의 종류와 색상, 형태, 재질 및 장식, 조형성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신성은 푸르거나 어두운 색조의 얼굴과 삼위일체와 강복을 상징하는 오른손, 오란스, 공중부양 자세로 나타났고, 인성은 홍조가 도는 따뜻한 색감의 피부를 지닌 장년 남성의 얼굴과 콘트라포스토 자세로 나타났다. 복식에서 흰색, 푸른색, 보라색, 금색 및 탈색효과는 신성을, 붉은색 및 고채도의 색상대비는 인성을 강조하기 위한 표현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비구조적인 주름과 직선적인 드레이퍼리, 목둘레의 장식선 등은 신성의 특징으로, 구조적이며 사실적인 주름의 묘사는 인성의 표현으로 나타났다. 중세 그리스도 도상은 인간의 모습으로 이 땅에 내려온 신의 형상을 구현하기 위해 철저히 계획된 의도의 산물이다. 이는 화가 자신의 신앙의 고백이자 중세 신학의 도그마를 전달하는 수단으로서 중요한 의의가 있으며 추상적인 개념을 시각화하여 전달하는 이미지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옥추경』 48신장의 변천과 도상 (The Evolution and Icons of 48 Divinity in Ogchugyeong(玉樞經))

  • 구중회
    • 대순사상논총
    • /
    • 제24_2집
    • /
    • pp.165-196
    • /
    • 2015
  • This research starts based on the purpose to investigate the evolution and nature of 48 divinity depends on Gu-Cheon-EungWon-Nweh-Seong-Bo-Hwa-Cheon-Jon(九天應元雷聲普化天尊, Highest ruling Entity and Majesty of Heaven by lightning and thunder raising and ruling all the universe which response to the Supreme) as well as to look at the iconography of that. Ogchugyeong(玉樞經) still exercise enormous influence on Korean folk belief neither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nor till now. The reason for authority of Ogchugyeong(玉樞經) is because Ogchugyeong(玉樞經) was the sutras of being used in the original royal families 48 divinity depends on Gu-Cheon-Eung-Won-Nweh-Seong-Bo-Hwa-Cheon-Jon which appears in Ogchugyeong(玉樞經) is created in Korea. 48 divinity is finally approved at 1888, after it started from 41 at the beginning of the deity general theory(神將論) through developing 47. The figure of 48 seems the result of the syncretism with 48 wishes of Buddhism. Okuchugyong was originally China Taoist scripture, but Okuchugyong entered Korea and reproduced a different look. In China Okuchugyong has two volumes and 44 stature of the deity general(神將) but in Korea Okuchugyong changed to have three volumes and 48 stature.

베트남 사파(Sapa)지역 신전(神殿)의 신격(神格) 구성 고찰 - 덴항포(Den Hang Pho, SAPA)를 소재삼아 - (A Study on the Divinity Construction of Temples in Sapa Region, Vietnam : Case of Den Hang Pho)

  • 이윤선
    • 역사민속학
    • /
    • 제34호
    • /
    • pp.253-281
    • /
    • 2010
  • 본고는 베트남 북부지역인 Sapa의 신전(神殿) '덴항포Den Hang Pho'의 신격구성을 소재로, 베트남의 종교 관념을 살펴보기 위해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우선 베트남의 신전 유형을 4가지로 구분하여 Chua, Den, Dinh, Mieu의 유형을 살펴보았다. 이중에서 'Den'에 주목한 것은 이곳에 베트남의 역사와 관련된 영웅들이 신격으로 좌정되어 있기 때문이었다. 이를 통해 베트남의 전반적인 종교 신앙의 성격을 추정하는 사례로 삼을 수 있다는 판단이었다. 먼저 성모신격을 분석해보았다. 대개 3위 체계와 4위 체계의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여신으로 부터 출발하여 각각 하늘과 땅, 바다(강), 산(숲)을 관장하는 신격으로 확장되었음을 살펴보았다. 진흥 도장군은 베트남에서 최고의 권위를 갖는 역사인물로 주로 '덴'이라는 신전에 모셔졌다. 다양한 설화와 의례를 통해 출산과 관련된 신앙, 질병을 치료해주는 신앙으로 확대되어 나왔으며, 성모신앙과 대칭관계를 이루는 신격으로 좌정하게 되는 맥락을 살펴보았다. 현장 사례로 덴항포의 신격구성을 살펴보았다. 여기서는 성모신앙 중의 산신성모(聖母)가 강조되는 사례를 확인하였다. 특히 성모신격과 대칭되는 개념으로 진흥도 장군이 신격화되고 있으며, 나아가 한 쌍의 뱀이 각 실마다 배치되어 강조되고 있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이는 베트남 북부지역이 갖는 소수민족 중심의 토착성(지역성)과 베트남이라는 국가적 정체성, 그리고 준령의 계곡을 흐르는 강줄기의 생태적 조건이 강조되는 삼원체계의 종교 관념이 만들어낸 구성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런 융합지향의 종교 관념이 자연스럽게 지역과 국가 그리고 생태적 환경조건을 대응하게 하면서, 다신 신격의 베트남 신앙으로 확대되었다는 결론을 얻게 되었다.

『전경』에 나타난 '미륵'의 성격 (The Meaning of 'Maitreya(彌勒)' in 『Jeon-gyeong』)

  • 이봉호
    • 대순사상논총
    • /
    • 제26집
    • /
    • pp.45-75
    • /
    • 2016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plain characteristics of Maitreya and Maitreya belief from a point of view that 'Jeungsan is the very Maitreya(甑山卽彌勒)'. In 『Jeon-gyeong』, Maitreya is mentioned several times. Thus, new religions of Jeungsan of Daesoonjinrihoe take 'Jeungsan is the very Maitreya' belief for truth. Due to the fact that characteristics of Maitreya are so multi-layered and complicated, it is necessary to explain clearly what kind of feature Maitreya has in 『Jeon-gyeong』. If believing and following 'Jeungsan is the very Maitreya' without clarifying it, they will be faced with a problem that they regard Jeungsan of Supreme being of the Ninth Heaven as one of Maitreya and take its belief for truth. Furthermore, with respect to the characteristics of 'Jeungsan is the very Maitreya' belief, while believing in Mireukasaeng, longed-for Millenarian movement by people through Messianism and Mireukasaeng belief is found in Daesoon Thought, whereas there is a need how to understand the point that we cannot finped Messianism and Millenarian movement in Daesoon Thought. To solve this problem, I draw a conclusion that 'Jeungsan is the very Maitreya' in 『Jeon-gyeong』 has to be understood with two meanings by four demonstrations. First of all, the people perceived late Joseon dynasty as the age of decadence but Maitreya's divinity which is desired by the people is not divinity of Maitreya Sutra(Mileuggyeong). Maitreya's divinity is reflected in the people's cherished desire and it is newly created as the Messiah. Thus, the idea of Jeungsan being the very Maitreya was developed in a way that the people desired the Messiah, encompassing this inclination. That is the Messiah of the people and the divinity of Jeungsan. Although Jeungsan as Supreme being of the Ninth Heaven satisfied the people's desire, it shows a different way to salvation from the way in Maitreya Sutra(Mileuggyeong). It is 'the Great Reordering of the Universe' and 'the Great Reordering of the Three Realms'. Reordering in Jeungsan shows that divinity of Jeungsan is not limited to the people's Messiah. In other words, divinity of Jeungsan is established as The Messiah, surpassing divinity of Maitreya Sutra(Mileuggyeong). And following statements prove this divinity of Jeungsan. Jeungsan's emphasis is not only the people's desire and the Gods' appeal. Jeungsan's emphasis is that only does Supreme being of the Ninth Heaven correct heaven and earth, which is the Gods' appeal. Therefore, 'Jeungsan is the very Maitreya' belief embraces the people's Messianism and at the same time it runs with he Gods' appeal. Thus, Reordering through the Great Reordering of the Universe and the Great Reordering of the Three Realms builds up a new ideal world.

서울 마을굿 무속복식에 나타난 관모 연구 (A Study of Official Hats Shown on Shaman's Costumes of Seoul Village Gut)

  • 김은정;임린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364-371
    • /
    • 2015
  • This study investigated and analyzed Sadanggut for General Namyi, Agisee Gutdang in Haengdang-dong, Dodanggut in Bonghwa Mountainto examine the type and characteristics of official hats for shaman's costumes based on Seoul village gutas a spiritualistic shaman revealing the divinity of music for gutthrough singing, dancing, divine material and official hats. Commonly worn official hats were Goggal(conical hats), Jeonlip(soldier's felt hats), and Heuklip(black hats) for Seoul village gut as the object of thisstudy. Each official hat had a close relationship with subjects for divinity and musical meaning for gut. Julip(Red hats), Jokduri(bride's headpiece), helmets, Iksubgwan(King's official hat), and Daesu(Queen's a big wig with various hairpins) were also worn. Official hats worn for Seoul village gutwere understood to symbolize divinity and raise authority and dignity to the public through aggressive appearance, exaggeration and splendor. Concretely, official hats at Seoul village gut first had roles to materialize the divinity of each music of gut. Second, recognized as a part of performance or traditional culture in present day, aggressive official hats were favored to supply splendid attraction and maximize scenes of divined heroic epic poem in gut. Third, for Seoul village gut, colors and silhouettes of modern traditional costumes were reflected pursuing partial change and focused on exaggeration and splendor to express the mirth and festival of gutwhile maintaining traditional costumes.

A Study of Green and Its Imagery in Western Costume

  • Park, Mi-Yeon;Cho, Kyu-Hwa
    • 패션비즈니스
    • /
    • 제7권6호
    • /
    • pp.67-75
    • /
    • 2003
  • In fashion history, the color "green" has been used from ancient to modern times constantly. Especially nowadays, the worth of green in fashion is becoming bigger than ever before to express the longing for pure na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green's imageries in western costume history. For the basic about green, first of all, this study researched green of origin, effect and costumes in western history, then classified green's imageries. Green's imageries expressed in western costumes can be divided mainly into a 'nature imagery' and a 'religious divinity imagery'. Nature imagery was extended again into 'youth, devil, citizen and ecology image'. Youth image came from the luxurious feature of nature and it was extended again into 'innocent love, virgin and immaturity'. Religious divinity imagery has been represented in the ancient Egypt, Islam and Christian religion. In those cultures, green was considered as a sacred color of Osiris, Mahomet and Holy spirit.

증산 강일순의 신명(神明)사상 (The Concept of Divine Beings Coined by Jeungsan Kang Il-Sun)

  • 김탁
    • 대순사상논총
    • /
    • 제35집
    • /
    • pp.109-145
    • /
    • 2020
  • 증산 강일순의 신관은 다양한 신적 존재를 인정하는 신명사상으로 정리할 수 있다. 증산은 만물에 신적 존재가 깃들어있다고 주장했다. 나아가 증산은 온갖 현상이 신(神)이라고 주장하며, 모든 사건의 배후에는 신이 작용하고 있다고 강조하였다. 그는 우주가 천상계(天上界), 지상계(地上界), 지하계(地下界)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기 많은 신들이 존재한다고 주장했다. 그리고 증산은 자신이 살던 시기를 신명시대라고 정의했는데, 이는 신명들이 활발하게 활동하는 시대라는 뜻이며, 신명들이 이 세상의 역사를 주도적으로 이끌어가는 시간대라는 의미다. 신명은 인간사에 적극 개입하며, 인간에게 보은(報恩)과 앙갚음을 하는 존재이며, 인간의 행동과 인식을 변화시키는 신격(神格)이며, 인간의 행위를 심판하는 존재다. 그런데 증산은 이상향인 후천선경(後天仙境)이 지상에 세워질 때가 되면 신명이 오히려 인간의 심부름을 하게 될 것이라고 예언했다. 나아가 증산은 선천에서는 신명도 인간과 마찬가지로 원한을 지닐 수 있는 존재였는데, 후천이 되면 신명도 궁극적으로 완성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리고 증산은 신명계와 인간계가 서로 밀접한 관계에 있다는 신인상관론, 신명과 인간은 상호작용하고 상호영향을 주고받는 관계에 있다는 신인감응론, 신명계와 인간계는 상호 순환하는 관계에 있다는 신인순환론, 신명은 인간은 함께 어울려 존재한다는 신인공존론, 신명과 인간은 본디부터 가지고 있는 고유한 특성이 같다는 신인동질론을 주장했다. 증산은 "신(神)은 인간의 사후존재양식이다."라고 주장하여 신관(神觀)을 새롭게 규정한 인물이다. 나아가 증산은 인간의 영혼불멸 혹은 존재의 영속성에 대한 믿음을 강조했으며, 인간과 신명의 공존(共存)을 주장했다. 그리고 증산은 만물에는 신성(神性)이 본질적으로 내재한다고 강조했으며, 신명계는 인간계와 마찬가지로 일정한 위계에 따른 질서가 유지된다고 주장했다. 또한 증산은 신명 중심에서 인간 중심의 신관으로 혁명적 변화와 새로운 인식을 강조하였다. 결국 증산은 새롭고 독창적인 신관을 제시하여 신명과 인간에 대한 사유방식의 대전환을 시도한 종교적 인물이다. 결론적으로 증산은 한국 전통적인 신관을 독창적으로 재해석하여 신명사상으로 체계화시킨 종교적 인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