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Divinity Construction of Temples in Sapa Region, Vietnam : Case of Den Hang Pho

베트남 사파(Sapa)지역 신전(神殿)의 신격(神格) 구성 고찰 - 덴항포(Den Hang Pho, SAPA)를 소재삼아 -

  • 이윤선 (목포대 도서문화연구원) ;
  • Received : 2010.10.15
  • Accepted : 2010.11.25
  • Published : 2010.11.30

Abstract

This study has its purpose on figuring it out to the religious notion in Vietnam with the material of the divinity construction of Den Hang Pho in Sapa where is the northern region of Vietnam. To make this, the study divides the type of Vietnamese temples into four parts; Chua, Den, Dinh, and Mieu. Among them, the study pays attention to 'Den' because Vietnamese historical heroes are seated as divinity. This reason makes a reasonable case to this study to figure out a typically and generally religious faith. First of all, the study analyzes immaculate divinity, which generally consists of three and four layered system. The study confirms that the immaculate divinity started from the goddess and then extended to the concept to dominate the sky, the ground, the sea(river), and the mountain(forest). General Tran Hung Dao is the best historical hero in Vietnam and has been placed in temples called Den. The study exams the context that the divinity extended to the religious beliefs, for examples, the belief related in a childbirth by lots of narrations and ceremonies and the belief to treat a sickness, and also exams the context that the divinity placed in a divinity to make a symmetrical relation with immaculate faith. The study exams the divinity construction of Den Hang Pho as its authentic case. In this case, the study could verify a case emphasized by mountain Holy Mother among immaculate faiths. Especially, the study can confirm that General Tran Hung Dao was apotheosized as a concept to be symmetrized with immaculate divinity, and futhermore, a couple of snakes was emphasized by their positioning to every room. Tri-system lays stress on the aboriginality(locality) centered on minority races in the northern Vietnam, the national identity of Vietnam, and the ecological condition of rivers flowing the valley of high and steep peak. The confirmed facts could be said to a construction what the religious notion of tri-system makes. The study makes a conclusion that this kind of conversion-oriented religious notion naturally corresponded with region, nation, and ecologically environmental condition, and extended to the Vietnamese faith with polytheistic divinity.

본고는 베트남 북부지역인 Sapa의 신전(神殿) '덴항포Den Hang Pho'의 신격구성을 소재로, 베트남의 종교 관념을 살펴보기 위해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우선 베트남의 신전 유형을 4가지로 구분하여 Chua, Den, Dinh, Mieu의 유형을 살펴보았다. 이중에서 'Den'에 주목한 것은 이곳에 베트남의 역사와 관련된 영웅들이 신격으로 좌정되어 있기 때문이었다. 이를 통해 베트남의 전반적인 종교 신앙의 성격을 추정하는 사례로 삼을 수 있다는 판단이었다. 먼저 성모신격을 분석해보았다. 대개 3위 체계와 4위 체계의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여신으로 부터 출발하여 각각 하늘과 땅, 바다(강), 산(숲)을 관장하는 신격으로 확장되었음을 살펴보았다. 진흥 도장군은 베트남에서 최고의 권위를 갖는 역사인물로 주로 '덴'이라는 신전에 모셔졌다. 다양한 설화와 의례를 통해 출산과 관련된 신앙, 질병을 치료해주는 신앙으로 확대되어 나왔으며, 성모신앙과 대칭관계를 이루는 신격으로 좌정하게 되는 맥락을 살펴보았다. 현장 사례로 덴항포의 신격구성을 살펴보았다. 여기서는 성모신앙 중의 산신성모(聖母)가 강조되는 사례를 확인하였다. 특히 성모신격과 대칭되는 개념으로 진흥도 장군이 신격화되고 있으며, 나아가 한 쌍의 뱀이 각 실마다 배치되어 강조되고 있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이는 베트남 북부지역이 갖는 소수민족 중심의 토착성(지역성)과 베트남이라는 국가적 정체성, 그리고 준령의 계곡을 흐르는 강줄기의 생태적 조건이 강조되는 삼원체계의 종교 관념이 만들어낸 구성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런 융합지향의 종교 관념이 자연스럽게 지역과 국가 그리고 생태적 환경조건을 대응하게 하면서, 다신 신격의 베트남 신앙으로 확대되었다는 결론을 얻게 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