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udy on the Divinity of Korean Shamanism 1

한국무속의 신격 연구1 - 서울과 고성의 재수굿을 중심으로 -

  • Received : 2018.01.09
  • Accepted : 2018.02.05
  • Published : 2018.02.28

Abstract

This paper studied the type and character of the Divinity in Korean shamanism. The study of the Divinity means the hierarchy of shamanism, the relationship between shamanism and divinity, and the comparison between shamanism and divinity. The study of the shamanistic divinity based on Kim Tae - Gon's collection of anthology by Shaman(1971). The Jaesugut was composed of the contents of the gods blessing human beings. The JaesuGut of Seoul vary from 10 to 18 depending on the author. The JaesuGut of Goseong consists of 8 Gut. The essence of the ritual gut is to pray for the peace of the individual by using the world which is not explained by reason and science. It is a reincarnation that reflects the world of experience that is stored in the memory of human being that both reason and science can not explain. And the desire to escape from fear was reflected in Jaesu Gut. Every Jaesu Gut in Seoul and Goseong has a main divinity. This main divinity is attached to the divinity in another Gut and becomes a subordination divinity. It also becomes a subordinate-subordination divinity to the another Gut. The gods of reincarnation are basically taken in the order of national security ${\rightarrow}$ local security ${\rightarrow}$ home security.

본고는 한국무속에 나타난 신격의 유형과 성격을 연구하는 과정의 하나로 서울과 강원도 고성의 재수굿에 나타난 신격에 대해 연구하였다. 신격에 대한 연구란 무속신이 각 굿에서 의미하는 바, 무속신의 위계, 무속신 상호간의 관계, 무속신의 각 지역 간 대비점 등에 대한 고찰을 의미한다. 본고의 무속 신격 연구는 채록된 무가를 근간으로 하였다. 서울의 재수굿은 논자에 따라 10거리에서 18거리까지 다양하지만 대체로 10거리 내외다. 본고에서는 김태곤이 채록한 12거리 무가를 근간으로 한다. 12거리는 부정거리, 가망거리, 말명거리, 상산거리, 별상거리, 대감거리, 제석거리, 호구거리, 군웅거리, 성주거리, 창부거리, 뒷전거리 등이다. 강원도 고성의 재수굿은 8거리로 부정굿, 서낭굿, 조상굿, 성주굿, 지신굿, 칠성굿, 말명굿, 거리풀이로 구성되었다. 말명거리는 독립굿이 아니라는 견해도 있지만 분석텍스트에 의거하여 본고에서는 독립된 거리로 본다. 그리고 상산 별상 신장 대감을 분리하기도 하고 묶어 대안주로 보기도 하지만 역시 김태곤무가집의 텍스트대로 분리하여 고찰한다. 재수굿의 핵심은 이성과 과학으로 설명되지 않는 세계를 이용해서 개인의 평안을 기원한 측면이 강하다. 인간의 기억에 저장된 경험의 세계를 이성과 과학이 모두 설명할 수 없는 측면이 반영된 것이고 인간 삶의 넓고 다양한 측면에 대해 해명하고자하는 탐구와 정리가 재수굿에 반영된 것으로 생각된다. 서울의 재수굿 각 굿에는 그 굿의 근간이 되는 주신이 있고 주신의 의미를 분명히 하려는 종신, 속신이 있다. 한 굿의 주신은 다른 굿에서 종신이나 속신이 되기도 한다. 각 신격들은 상하관계로 존재하지 않고 평등하게 존재하는 것이다. 재수기원의 신들은 기본적으로 나라안위${\rightarrow}$지역안위${\rightarrow}$가정안위 순으로 굿을 받게 된다. 국태민안${\rightarrow}$안과태평${\rightarrow}$부귀공명${\rightarrow}$재수소망의 순서가 되는 것이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연구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