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vergent thinking questions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5초

제7차와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초등 과학과 교과서 물질 영역의 발문 유형 비교 분석 (The Comparative Analysis of Questions in the Matter Units of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between the 7th Curriculum and the Revised Curriculum Year 2007)

  • 최미숙;김용권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1권3호
    • /
    • pp.347-357
    • /
    • 2012
  • The focus of this dissertation is o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Questions in the 'Matter Units of Elementary Science Textbook between the 7th Curriculum and the Revised Curriculum Year 2007. The results of the comparative Analysis in the dissertation are as follows: There were more closed questions than open questions in these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both of the 7th Curriculum and the Revised Curriculum Year 2007. Cognitive-memory questions were the most frequently asked in all grade levels. In the Revised Curriculum Year 2007, Convergent thinking questions presented with higher rate than the 7th Curriculum. Divergent thinking questions and evaluative thinking questions was presented with a relatively lower rate than the 7th Curriculum. Question types were appli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unit rather than on children's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인지적 접근을 이용한 언어중재가 전도성 실어증자의 언어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사례 연구 (The Effects of Cognitive Language Intervention in a Subject with Conduction Aphasia: Case Study)

  • 이옥분;권영주;정옥란
    • 음성과학
    • /
    • 제8권4호
    • /
    • pp.119-129
    • /
    • 2001
  • Language is one aspect of cognition, along with attention and concentration, learning and memory, visuospatial abilities, and executive fun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language intervention by cognitive approach on language expressive performance in a patient with conduction aphasia. This study used several tasks such as Attention and concentration task, visual memory tasks, memory tasks, categorization, divergent thinking, self-monitoring and evaluate thinking. The effects of treatment were evaluated by periodic probing of both trained and untrained familiar words in three tasks; picture naming, answering to questions and telling stories. The results showed improvements both in trained and untrained words. Therefore, we concluded that expressive language performance of this aphasic patient is amenable to this intervention, and that cognitive therapy approach can be useful.

  • PDF

창의적 문제 해결력 신장을 위한 중학교 과학 교육과정 연구-현행 교육과정과 수업현장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for the Middle School Science Curriculum to Enhance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ies-Focusing on the 6th National Curriculum and Classroom Observations-)

  • 최경희;조연순;조덕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49-160
    • /
    • 1998
  • 본 연구는 창의적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한 중등 과학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연구를 위해 수행된 것이다. 기초 연구로서 제 6차 과학과 교육과정에는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관한 내용이 어떻게 반영되고 있으며, 교실현장에서는 창의적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한 수업이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제 6차 중 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의 성격, 목표, 방법에 나타난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요소를 조사하였으며, 과학 수업 관찰, 교사면담을 실시하였다. 중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은 특정, 총괄목표, 하위목표 모두 창의성 및 문제해결력이라는 용어를 명시함으로써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강조하였다. 그러나 현 중학교 과학교육에 있어 창의적 문제해결력은 교육과정의 성격 및 총괄 목표에만 포괄적으로 기술되어 있을 뿐, 실제적으로는 실시되지 못하고 있음이 드러놨다. 또한 과학 교사들은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대하여 대체로 이해하고 있었으나 교과진도 문제, 학급당 과다한 학생수, 지식중심의 교과 내용, 입시와 연관된 평가, 교사의 준비 부족으로 인하여 창의적 문제해결력 배양을 위한 수업은 거의 하지 못하고 있음을 밝혔다.

  • PDF

초등학교 교사의 시스템 사고를 적용한 과학 교수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A Phenomenological Stud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System Thinking-based Science Teaching Experiences)

  • 김형욱;이효녕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68-85
    • /
    • 2019
  • 이 연구는 시스템 사고 기반 과학 탐구 수업을 진행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경험을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이해하는 것이다. 4명의 초등 교사가 참여했으며,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사용한 질문은 Seidman(1998)과 Schuman(1982)이 제시한 면담법을 재구성하였으며, Giorgi(1985)의 현상학적 체험 연구 방법 4단계를 적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수업 중에 시스템 사고를 증진시키는 확산적 발문을 많이 하였고, 학생 중심의 물리적, 심리적인 환경을 조성하여 시스템 사고를 향상시켰다. 둘째, 교사들은 시스템 사고 기반 과학 탐구 수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교수학습 예시 자료의 부족과 수업 주제 선정의 어려움을 언급하였다. 또한, 평가 도구와 측정 방법이 부족하여 학생들의 학습 내용과 과정을 올바르게 평가하는 것이 어렵다고 지적하였다. 초등학생들의 탐구 활동 능력 부족으로 시스템 사고를 기반으로 한 과학 탐구 수업의 효과를 극대화 시키는 데 한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초등학교 교사들은 시스템 사고 기반 과학 탐구 수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여러 역할을 수행하고, 어려움을 겪으면서도 더 나은 수업의 방향을 찾고 있었다. 이 연구 결과는 앞으로 초등학교 수업 현장에서 시스템 사고를 적용하는 데에 가치 있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디자인 인공물을 매개로한 질문 중심의 창의성 개발 (Question-Centered Creativity Development Mediated by Design Artifacts)

  • 권성규
    • 공학교육연구
    • /
    • 제23권2호
    • /
    • pp.3-13
    • /
    • 2020
  • Key objective of cornerstone design is that students are able to experience developing creative design concepts through team activities, but the objective is hard to achieve. Based on a study of research materials, this paper asserts that the possibilities of creative problem solving can be promoted in question-centering ideation model if design artifacts are represented in some forms that could invoke design thinking and then the solution space is appropriately established. In particular, design problem on which divergent questions are asked should be explored and defined so that it can be a linguistic artifact represented by various visual aids. It is recommended that curriculum is modified so that students can experience creative conceptual design.

Ability and Creativity : Their Role in Science and Technology

  • Kurt-A. Heller
    • 영재교육연구
    • /
    • 제3_4권1호
    • /
    • pp.37-77
    • /
    • 1994
  • In addition to exceptional abilities and domain-specific aptitudes, frequently creativity potentials are used to explain high achievements in science and technology. In the Guilford tradition, research focuses increasingly on convergent versus divergent thinking, that is, a suspected dichotomy between intelligence and creativity. Despite important insights from this about relationship of ability and creativity, a number of important questions remain unanswered. These relate not only to conceptualization and measurement problems regarding the hypothetical constructs "scientific ability" and "creativity", but also their diagnosis and nurturance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It would appear that, in view of current research paradigms, the role of ability and creativity needs to be redefinded in order to more reliably predict and explain excellent achievements in science and technology. Advances are mostly expected from synthetic approaches. Thus, I will be presenting new theoretical models and empirical research results. Finally, consequences for the prediction and promotion of mathematical-scientific and technical talents will be discussed including the consideration of sex-related problems.

  • PDF

국제천문 및 천체물리 올림피아드 현황과 기출문항에 대한 과학탐구 유형 분석 (PRESENT STATUS AND SCIENTIFIC FACTOR ANALYSIS ON ITS PAST PROBLEMS OF THE INTERNATIONAL OLYMPIAD ON ASTRONOMY AND ASTROPHYSICS)

  • 임인성;성현일;한인우;김유제;최승언
    • 천문학논총
    • /
    • 제26권3호
    • /
    • pp.89-101
    • /
    • 2011
  • The International Olympiad on Astronomy and Astrophysics (IOAA) initiated by the Thailand Astronomical Society in 2007 is an annual competition for high school students. One of its aim is to enhance the development of international exchange in the field of school education in astronomy and astrophysics. This paper first provides the overview of the IOAA in terms of key regulations based on its statutes, history and current status. Secondly, the published syllabus of the IOAA is used for content analysis according to subject areas regarding the exam questions of the IOAA in theoretical, observational and data analysis parts from 2007 to 2010. Also, a scientific inquiry framework is applied to the same questions for assessment based on scientific inquiry in the cognitive aspect with two sub-classes of scientific knowledge and scientific reasoning. Among a dozen astronomy subject areas listed on the syllabus, the theoretical part of the IOAA makes more frequent use of the Sun, the solar system, properties of stars, and concept of time. In content knowledge, a factor of scientific knowledge, the IOAA questions, especially in the theoretical part have a lesser degree in difficulty than the IAO (International Astronomy Olympiad) exam questions for the same period whose degree in difficulty is comparable to college level. With regard to scientific reasoning, the IOAA questions tend to involve convergent rather than divergent thinking. Lastly, in light of these findings, discussions are given on the outcome of Korean participation in the previous IOAAs and ways to help better in preparing Korean students for future astronomy Olympiads.

중학교 일반학급과 영재학급의 과학수업에서 교사와 학생사이의 언어적 상호작용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Verbal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for the Gifted and the General Science Class in Middle School)

  • 이지향;김동진;황현숙;박세열;백인환;박국태
    • 영재교육연구
    • /
    • 제20권3호
    • /
    • pp.721-741
    • /
    • 2010
  • 이 연구는 중학교 일반학급과 영재학급의 과학수업을 관찰하여 교사의 발문과 피드백, 학생의 응답에 대한 유형과 빈도 분석을 통해 교사와 학생사이의 언어적 상호작용을 비교 분석한 것이다. 연구 결과, 일반학급의 과학수업에서 교사들은 교과서의 내용을 정리해서 묻거나 그대로 안내하는 발문을 많이 사용하였고, 재진술 형태의 즉각 피드백을 주로 사용하였다. 학생들은 네, 아니오, 와 같은 단순 확인 단답형 응답을 많이 사용하였으며, 언어적 상호작용 모형은 인지 기억적 사고 발문-단답형 응답-즉각 피드백 순서가 가장 많았다. 영재학급의 과학수업에서 교사들은 이유가 뭐에요? 왜 그런 거예요? 와 같은 개방적 발문의 확산적 사고 발문과 평가적 사고 발문을 사용하였고, 설명형 형태의 즉각 피드백을 주로 사용하였다. 일반학급과 비교하여 지연 피드백은 높게 나타났으나 즉각 피드백은 낮게 나타났다. 학생들은 짧은 단어나 간단한 문장 형태의 단답형으로 응답하였으며, 수업참여가 보다 적극적이었다. 언어적 상호작용 모형은 인지 기억적 사고 발문-문장 형태 단답형 응답-지연 피드백 순서가 많았다.

개방적 참탐구 활동에서 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Exploring the Factors Influencing the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through Authentic Open Inquiries)

  • 김미경;김희백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565-578
    • /
    • 2008
  • 이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개방적 참탐구 활동에서 참과학의 인지과정을 경험함에 따라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과학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에게 인식론적으로 참과학의 특성을 반영하는 개방적 참탐구 활동을 수행하도록 하고, 이들 학생들 가운데 과학의 본성에 대한 학습이 이루어지거나 실패한 4명의 학생들을 선정하여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초점 학생들이 탐구를 수행하면서 제기한 질문들과 사전 사후 과학의 본성 검사지(VNOS-C형) 답변을 분석하고 반구조화된 면담을 통해 답변을 정교화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그 결과 개방적 참탐구 활동은 학생들에게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를 돕는 탐구 상황을 제공한다는 것과 학생들의 인지적 특성이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발견하였다. 학생들에게 실험을 설계하고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과학적 방법과 연구의 다양한 형태에 대해 이해하게 되었고, 정해진 답이 없는 실험에서 얻어진 데이터로부터 결론을 도출해내는 과정에서 과학의 추론적 특성을 경험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변칙데이터를 경험하게 됨으로써 과학지식의 형성에서 추론의 역할과 창의성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이러한 탐구 상황에서는 동료들과 논의를 많이 하게 되는데 이때 반성적 사고 특성을 가진 학생은 실험 설계 및 데이터 해석에서의 타당성에 대해 생각하게 됨으로써 추론의 불확실성, 이론의존성에 대한 이해로 발전하였다. 또한 확산적인 사고 특성을 가진 학생은 유추적인 사고로 연결되어 과학의 창의성을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수학적 창의·인성 검사도구 개발 및 타당화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Testing Tool for Mathematical Creativity and Character)

  • 황우형;김동중;김원;이다희;최상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6권1호
    • /
    • pp.41-62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possibility of integrating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and its need in mathematics education by developing and validating a testing tool assessing students' perceptions of mathematical creativity and character. For this purpose, we developed sixty questions in total to extract factors of mathematical creativity and character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Then, questionnaire data were collected for 1258 middle school students. After the collected data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n1=615, n2=643), the first group of data was used for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the second one was employed fo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s a result, 45 problems showing nine factors were extracted. The cognitive components of creativity includes divergent thinking, convergent thinking, imagination/visualization, and reasoning, whereas its affective components are interest, motivation, and openness. The character components contain participation, communication, responsibility, and promise. In addition, it is concluded that the developed testing tool, in which character in the model of this study impacts creativity meaningfully, has a measurement consistency which is not affected by gender and grade differences. These results have implications for a guide to curriculum development promoting creativity and character at school by showing objective and practical foundations of helping how to integrate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