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thiothreitol (DTT)

검색결과 58건 처리시간 0.026초

Dithiothreitol Attenuates the Pathogenic Interaction Between Pseudomonas aeruginosa and Drosophila melanogaster

  • Lee, Ji-Sun;Kim, Seol-Hee;Cho, You-Hee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4권2호
    • /
    • pp.367-372
    • /
    • 2004
  • Infection of Drosophila melanogaster adults with Pseudomonas aeruginosa (PA14) can kill the flies within 48h. We found that the virulence of PA14 was significantly attenuated when treated with a reducing agent, dithiothreitol (DTT), prior to infection. Infection with DTT-treated PA14 elevated Metchnikowin expression at 22 h post-infection and the virulence of DTT-treated PA14 was not attenuated in Dif and Relish mutan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DTT pre-treatment of PA14 can aggravate certain virulence factors that may be required to paralyze fly immune responses, triggering Metchnikowin expression via Dif and Relish activations.

Reduction of Radiation-induced Chromosome Aberration and Apoptosis by Dithiothreitol

  • Kim, Jeong Hee;Lee, Eun Ju;Hyun, Jin Won;Kim, Sung Ho;Mar, Woongchon;Kim, Jin Kyu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1권6호
    • /
    • pp.683-687
    • /
    • 1998
  • We have examined in vitro and in vivo radioprotective effects of a well-known thiol-containing compound, dithiothreitol (DTT). The treatment of both 0.5 and 1mM of DTT significantly increased clonogenic survival of ${\gamma}$-ray irradiated Chinese hamster (V79-4) cell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ossible radioprotective mechanism of DTT, we measured gamma-ray induced chromosome aberration by micronucleus assay. In the presence of 0.5mM or 1mM DTT, the frequencies of micronuclei were greatly reduced in all dose range examined (1.5-8 GY). Slightly higher reduction in micronucleus formation was observed in 1mM DTT-treated cells than in 0.5mM DTT-treated cells. In addition, incubation with both 0.5 and 1mM of DTT prior to gamma-ray irradiation reduced nucleosomal DNA fragmentation at about same extent, this result suggests that treatment of DTT at concentrations of 0.5 and 1mM reduced radiation-induced apoptosis. In vivo experiments, we also observed that DTT treatment reduced the incidence of apoptotic cells in mouse small intestine crypts. In irradiated control group 4.4${\pm}$0.5 apoptotic cells per crypt were observed. In DTT-administered and irradiated mice, only 2.1${\pm}$0.4 apoptotic cells per crypt was observed. In vitro and in vivo data obtained in this study showed that DTT reduced radiation-induced damages and it seems that the possible radioprotective mechanisms of action of DTT are prevention of chromosome aberration.

  • PDF

Saccharomyces cerevisiae에서 산화환원에 의한 In Vitro 단백질합성의 Thioredoxin에 중재된 조절 (Thioredoxin-Mediated Regulation of Protein Synthesis by Redox in Saccharomyces cerevisiae)

  • 최상기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36-40
    • /
    • 2007
  • Redox signaling은 단백질을 산화환원 시키는 세포의 중요 신호가 전달되어, 그 단백질의 기능이 변화함으로써 세포의 성장 및 사멸을 조절하게 되는 과정이다. 단백질 합성 구성원의 산화, 환원 과정에 의한 단백질 합성 조절을 알아보기 위해 환원제인 DTT 존재 하에 단백질 합성 활성을 관찰한 결과 DTT가 존재하지 않는 것에 비해 단백질합성이 1.4배 정도 증가됨이 관찰되어 redox potential을 보이는 것으로 보아 환원제가 단백질 합성을 좀 더 증진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DTT에 의한 이러한 현상은 산화환원 조절 단백질인 thioredoxin를 첨가한다면 thiol기에 환원력이 전달되어 단백질합성이 더욱 촉진되기 때문에 효모에서 thioredoxin유전자를 cloning하고 이로부터 효모에서 GST-thioredoxin을 분리하였다. DTT 존재 하에 산화환원 조절 단백질인 thioredoxin을 농도별로 첨가하였을 때의 단백질 합성이 어떻게 조절되는지 알아보았다. 반응 액에 DTT를 넣은 것과 넣지 않은 것을 사용하여 thioredoxin을 0ng, 18ng, 90ng, 460ng, 2,300 ng의 농도로 각각 넣어서 반응시켜 보았다. 이렇게 반응시킨 반응물에서 만들어진 단백질 활성을 측정하였는데 thioredoxin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그 활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thioredoxin을 넣은 것이 넣지 않은 것에 비해 활성이 약 4배 이상 높게 나왔다 이 결과는 산화환원 조절 단백질인 thioredoxin이 환원력을 단백질합성구성원에 효율적으로 전달하는데 관여함을 보여주는 것이며, 산화환원이 단백질 합성 시 중요한 신호전달 과정임을 암시한다.

포피린의 촉매작용에 의한 니트로톨루엔의 환원 및 니트로톨루엔과 황화수소의 동시 제거 (Reduction of Nitrotoluenes and Simultaneous Removal of Hydrogen Sulfide and Nitrotoluenes by Co3+-centered Hematoporphyrin)

  • 조정국;강안수
    • 공업화학
    • /
    • 제5권1호
    • /
    • pp.37-43
    • /
    • 1994
  • 포피린을 촉매로 하고 1, 4-dithiothreitol(DTT)과 황화수소 등 여러 가지 환원제의 존재하에서 니트로톨루엔을 아미노톨루엔으로 환원시켰다. 니트로톨루엔의 환원 결과 생기는 중간체 및 최종 생성물이 확인되었으며, 니트로기의 아미노기로의 환원에 대한 반응경로 및 최적 pH값을 구하였다. 포피린의 촉매로서의 기능이 UV/VIS분광분석에 의해 확인되었으며 또한 반응속도상수를 측정하였다. 환원제 중에서 DTT, sodium hydrosulfite 및 황화수소가 포피린을 촉매로 한 니트로톨루엔의 환원에 대해 탁월한 환원력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특히 황화수소가 환원제로 사용될 때는 기액 반응에 의해 기상의 황화수소와 액상의 니트로톨루엔이 동시에 제거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Effects of Magnetic Pole on Orientation of Bull Sperm Treated by Dithiothreitol or Heparin

  • Pham, Du Ngoc;Shinjo, Akihisa;Kurnianto, Edy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4권2호
    • /
    • pp.155-162
    • /
    • 2001
  • Effect of the north (N) or south pole (S) of a magnet and dithiothreitol (DTT) or heparin sodium (H) on the orientation of bull sperm were studied. Sperm were collected from four Japanese Black bulls of Okinawa Prefectural Livestock Experimental Station were trea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DTT or H during the first and sixth days and were then exposed them to N or S with a magnetic field of 3,000 Gauss for 24 hours.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both N and S significantly increased the perpendicular oriented percentage of bull sperm in most treatments not treated or treated with DTT or H. Anisotropy of magnetic field of bull sperm was the main cause which induced them to orient perpendicular to the magnetic direction.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also showed that, in most cases, the two polarities had the same effect on the orientation of bull sperm. However, in some cases, N exerted a stronger effect on the perpendicular percentage of bull sperm than S, such as with the 20 mM DTT treatment at the first and sixth days and the 100 units H treatment at the sixth day. These cases showed that the perpendicular oriented percentage of bull sperm at 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S. It was only the 100 units heparin treatment at S both at the first and sixth days that upward perpendicular orientation was higher than that at N. This might be due to the fact that protamin-DNA structure of a small number of bull sperm nuclei slightly changed because of heparin action.

A Method for Direct Application of Human Plasmin on a Dithiothreitol-containing Agarose Stacking Gel System

  • Choi, Nack-Shick;Chung, Dong-Min;Yoon, Kab-Seog;Maeng, Pil-Jae;Kim, Seung-Ho
    • BMB Reports
    • /
    • 제38권6호
    • /
    • pp.763-765
    • /
    • 2005
  • A new simplified procedure for identifying human plasmin was developed using a DTT copolymerized agarose stacking gel (ASG) system. Agarose (1%) was used for the stacking gel because DTT inhibits the polymerization of acrylamide. Human plasmin showed the lowest activity at pH 9.0. There was a similar catalytically active pattern observed under acidic conditions (pH 3.0) to that observed under alkaline conditions (pH 10.0 or 11.0). Using the ASG system, the primary structure of the heavy chain could be established at pH 3.0. This protein was found to consist of three fragments, 45 kDa, 23 kDa, and 13 kDa.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heavy chain has a similar structure to the autolysed plasmin (Wu et al., 1987b) but there is a different start amino acid sequence of the N-termini.

Chemical Agent를 이용한 추가 활성화 처리가 돼지 단위발생란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 (Development of Porcine Parthenogenetic Oocytes Activated with Different Combination of Chemicals)

  • 서진성;황인선;김세웅;박효숙;김동훈;양병철;공일근;양보석;임기순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제30권1호
    • /
    • pp.1-5
    • /
    • 2006
  • 핵이식 방법을 이용하여 성공적인 복제를 이루기 위해서 인위적인 활성화 처리는 필수적인 요소이다. 본 연구는 전기자극에 의해 활성화된 난자를 chemical agent를 이용하여 추가적인 활성화 처리를 하였을 때 돼지 단위발생란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체외에서 $40{\sim}44$시간 동안 배양된 난자를 전기자극(E)으로 활성화 처리한 후 Thimerasol + Dithiothreitol(Thi+DTT), 6-Dimethylaminopurine(6-DMAP) 및 Cycloheximide(CH)를 사용하여 추가 활성화 처리를 하였다. 활성화 방법(E, E+Thi+DTT, E+6-DMAP 및 E+CH)에 따른 단위발생란의 배반포까지의 발달율을 조사한 결과, chemical agent에 의해 추가 활성화된 단위발생란이 전기자극만으로 처리된 구의 단위발생란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발달율을 보였다($21.5{\sim}28.1%$ vs. 18.0%, P<0.05). 특히, E+Thi+DTT를 이용하였을 때 발달율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28.1%, P<0.05). 활성화 처리별 전핵 형성율을 조사한 결과, chemical agent에 의해 추가 활성화 처리된 구에서 하나의 극체(1PN) 형성률은 처리별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59.9{\sim}64.7%)$, 2PN 형성율은 추가 활성화 처리구에서 전기자극만을 사용하였을 때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7.2{\sim}9.7%$ vs. 4.3%, P<0.05). 이상의 결과를 살펴볼 때, 전기자극 후 chemical agent를 이용한 추가 활성화는 단위발생란의 배반포까지의 발달능력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수은에 의한 급성호흡손상시 산화물질의 억제효과 (Protection of Mercury induced Acute Respiratory Injury by Inhaled Oxidizing Agent)

  • 황태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59-265
    • /
    • 2001
  • Mercury vapor inhalation-induced acute respiratory failure(ARF) has been reported to be fatal. This study was designed to observe the possible mechanism of inhaled mercury vapor poisoning in the respiratory system. Sixty percent of rats(12/20) exposed to mercury vapor were dead within 72 hours of exposure whereas all the rats(20/20) exposed to mercury vapor combined with dithiothreitol(DTT) vapor survived. The histological observation showed that ARF was a direct cause of the death induced by mercury vapor inhalation, which was significantly circumvented by DTT vapor. Cyclic AMP mediated chloride secretion was inhibited by luminal side but not serosal side sulfhydryl blocking agents (Hf$^{2+}$ $\rho$-chloromercuribenzoic acid or $\rho$-chloromercuriphenyl sulfonic acid) in a dose-dependent manner in a primary cultured rat airway monolayer. The inhibitory component of cAMP induced chloride secretion was completely restored by luminal side DTT(0.5mM).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oxidized form(Hg$^{2+}$) of mercury vapor(Hg0) contribute to ARF and subsequent death. The finding is important as it can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regarding emergency manipulation of ARF patients suffering from by mercury vapor poisoning.ing.

  • PDF

Saccharomyces cerevisiae에서 얻은 Purine Nucleoside Phosphorylase의 반응기작과 효소에 대한 Sulfhydryl Reagent의 영향 (Reaction Mechanism of Purine Nucleoside Phosphorylase and Effects of Reactive Agents for SH Group on the Enzyme in Saccharomyces cerevisiae)

  • 최혜선
    • 미생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22-231
    • /
    • 1994
  • Saccharomyces cerevisiae에서 얻은 purine nucleoside phosphorylase (PNP)의 반응 기작을 밝히기 위해 반응속도론적 분석이 수행되어졌다. 반응기작에 PNP${\cdot}$phosphate와 PNP${\cdot}$ribose 1-phosphate의 binary complex가 형성되는 것으로 추정되어진다. Initial velocity와 product inhibition study의 결과는 반응이 ordered bi, bi reaction으로 일어난다는 것과 일치하고 있다. 두 개의 기질중 무기인산이 효소에 먼저 붙고, 그 다음에 nucleoside, 그리고 base가 효소를 떠나는 첫 번째 생성물이고 마지막으로 ribose 1-phosphate가 생성되고 효소는 원래의 상태로 돌아간다. 반응속도론적 분석에 이해 제안된 작용기작은 sulfhydryl reagents인 p-chloromercuribenzoate(PCMB) and 5,5'-dithiobisnitrobenzoate (DTNB)에 의한 효소의 불활성화에 대한 기질으 보호작용의 결과와 일치하고 있다. PNP는 ribose 1-phosphate와 phosphate에 의해 보호되지만 nucleoside나 base에 의해서는 아무런 효과과 없다는 사실은 반응 순서가 효소에 무기인산이 먼저 붙는 ordered bi, bi 기작이라는 것을 지지하고 있다. PCMB 나 DTNB에 의해 불활성화된 PNP는 dithiothreitol(DTT)에 의해서는 활성이 완전히 회복되고 2-mercaptoethanol에 의해서는 77%의 활성이 회복된다는 사실은 효소의 불활성화가 가역적이라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PCMB에 의해 불활성화된 효소는 inosine이 변화하는 기질일때 정상효소보다 높은 $K_m$과 낮은 $V_m$ 값을 보여주고 이런 현상은 DTT 처리시 원래의 상태로 돌아온다. DTNB에 의해 불활성화된 효소는 PCMB 처리시와 비슷하게 정상효소보다 높은 $V_m$ 값을 보이지만 $V_m$ 값은 큰 변화가 없다. S. cerevisiae PNP에서 발견되는 높은 무기인산의 농도에서의 하위단위체간의 음성적 협동성이 PCMB나 DTNB를 처리한 PNP에서는 보이지 않았다.

  • PDF

Bacillus 속 세균을 검출하기 위한 Fluorescent In Situ Hybridization 방법의 개발 (Development of FISH Methods for Detection of Genus Bacillus)

  • 홍선희;김옥선;송홍규;이동훈;안태석
    • 미생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04-208
    • /
    • 2001
  • Bacillus속에 속하는 세균을 FISH 방법으로 검출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을 개발하였다. LGC353b, S-G-Bacill-0597-a-A-22와 S-G-Bacill-0597-a-S-22 등 3개의 probe를 22종의 Bacillus속 세균의 혼합배양액에 적용한 결과 S-G-Bacill-0597-a-A-22의 probe가 DAPI로 검출된 세균 중 95%가 FISH로도 측정되어 가장 효율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Hybrillization 과정 전에 Bacillus의 영양세포와 포자의 세포벽을 파괴하기 위하여 SDS/DTT (dithiothreitol)와 lysozyme를 순차적으로 전처리하는 방법과 lysozyme용액으로만 전처리 하는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Bacillus를 검출하기 위해서는 영양세포의 경우에는 lysozyme용액으로만 전처리 하는 방법이 가장 좋았으며, 포자는 FISH로 검출되지 않았다. 따라서 토양, 하수 처리장등의 생태계에서 Bacillus를 검출할 경우에는 영양세포는 lysozyme으로 전처리 하여 FISH로 검출하고 포자는 따로 포자염색으로 검출하는 두가지 방법을 병행하여야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