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turbed regions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25초

Landscape Ecological Studies on Structure and Dynamics of Plant Populations on Vegetation-Landscape Patterns in Rural Regions: I. The Effect of Patch Shape on the Initial Population Structure of Pine and Oaks

  • Rim, Young-Deuk;Hong, Sun-Kee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2권2호
    • /
    • pp.69-77
    • /
    • 1999
  • Secondary vegetation. the holistically integrated system of nature and human being, is the complicated ecosystem that is composed of natural and man-created factors. Understanding the ecological function of secondary vegetation supplies us many important informations for sustainable landscape management and ecological restoration planning. In this research, we tried to examine the shape effect of vegetation patch on early structure of populations of pine and oaks. Moreover. we also tried to clarify the ecological functions of patch edge by exploring the patch effect on germination using patch index. In addition, we present the landscape structure of man -made vegetation of our study area, and setting experimental design of research. Vegetation landscape of study area is typical human disturbed landscape mainly composed of disturbance patches. Vegetation types of graveyard and managed pine forest were controlled by periodically repeated management. However, current seedlings of pine occurred well at both vegetation types. Presence of both saplings were more controlled in managed pine forest (PDM) and graveyard (G) than those of undergrowth (PD) and forest edge (FE) with canopy trees. The number of pine seedlings increased with patch size and patch perimeter. That of oak seedlings was, however, not significantly different. Larger graveyards provided higher light availability for germination of pine seedlings. We think, however, most seedlings of both species in the large sized graveyards without shade will die more easily than that of small sized ones before rainy summer. Relationships between patch shape and germination of two woody species cannot be exactly explained enough yet in these results. More informations on spatial interaction of the total species with differently sized patches are necessary to solve the concept of patch effect on species colonization.

  • PDF

위성영상과 Maxent를 활용한 생태계교란생물 분포지역 예측 : DMZ의 단풍잎돼지풀을 대상으로 (Predicting the Potential Distributions of Invasive Species Using the Landsat Imagery and Maxent : Focused on "Ambrosia trifida L. var. trifida" in Korean Demilitarized Zone)

  • 박현철;임정철;이정환;이관규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12
    • /
    • 2017
  •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for the purpose of predicting the potential habitat sites of invasive alien plants in the DMZ and providing the basic data for decision-making in managing the future DMZ natural environment. From 2007 to 2015, this study collected the data for the advent of Ambrosia trifida var. trifida through fieldwork around the DMZ area, and simulated the potential distribution area of Ambrosia trifida var. trifida using Maxent model among the models of species distributions. As a result, it showed that the potential distribution area of the Ambrosia trifida var. trifida was concentrated in the western DMZ with relatively low altitude and scanty in the central east regions with relatively high elevation and forest cover rate. Because the invasive alien vegetation is a significant threatening factor in the agriculture and restoration of ecology and it costs a lot to restore the area already invaded by invasive alien vegetation, advance precautions are necessary to prevent biological invasions. It is expected that it is possible to predict the disturbed ecosystems through this study for the efficient land use within DMZ in the future and to apply this study in setting up the areas for the development and conservation within the DMZ.

철근콘크리트 코벨 스트럿-타이 모델의 스트럿 유효강도 (Effective Strengths of Concrete Struts in Strut-Tie Models of Reinforced Concrete Corbels)

  • 채현수;윤영묵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4권4호
    • /
    • pp.1081-1094
    • /
    • 2014
  • 스트럿-타이 모델 방법은 철근콘크리트 코벨의 극한강도 해석 및 설계에 매우 효과적이다. 그러나 스트럿-타이 모델 방법을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코벨의 정확한 해석 및 안전한 설계를 위해서는 스트럿의 유효강도를 정확하게 결정하여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여러 연구문헌에서 제안된 철근콘크리트 코벨의 대표적인 세 종류의 스트럿-타이 모델을 활용하기 위하여 철근콘크리트 코벨의 기하학적 형상, 수직 및 수평 하중의 조합 비, 그리고 휨철근 및 수평전단철근 비 등 주요 설계변수들의 영향을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는 스트럿 유효강도 식을 개발, 제안하였다. 현행 여러 설계기준서의 스트럿 유효강도 식과 이 연구에서 제안한 유효강도 식을 이용하여 파괴실험이 수행된 243개 철근콘크리트 코벨의 극한강도를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의 비교분석을 통해 이 연구에서 제안한 스트럿 유효강도 식의 적합성을 평가하였다.

강진만 해역복원사업에 대한 지역주민 인식분석 (Analysis of Local Resident's Consciousness on Coastal Restoration Project in Gangjin Bay)

  • 홍선기;김경완;김재은;이경아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07-127
    • /
    • 2010
  • 본 연구는 준설과 모래채취가 시행된 강진만 해역복원사업 이후 강진만의 생태계 변화에 대한 주민들의 인식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주민 모니터링을 실시한 것이다. 과거 주요 바지락 생산지였던 강진만의 갯벌생태계는 해역복원사업(모래채취 및 준설)으로 인하여 생태계가 교란되어 어패류를 생산할 수 없게 되었다. 아직도 부분적으로 고막과 석화 등이 채취되나 점차 그 생산량은 줄어들고 있다. 이로 인해 지역주민들의 삶도 크게 변화되고 있다. 농어촌의 특성상 인구가 급격히 줄어드는 특징은 여느 농어촌과 비슷하지만, 해역의 훼손과 오염으로 인해 어패류가 급감되자 생계에 직접적인 타격을 받은 어민들로 인해 더욱 심각한 인구감소가 나타나고 있다. 지역주민 인식분석 결과 강진만의 오염과 어패류의 급감은 해역복원사업과 장흥댐 건설로 인한 담수 공급 어려움에 의한 것으로 요약된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갯벌에 대한 생태계 조사뿐 아니라 이곳에 의존하는 어촌주민들에 대한 장기적인 사회경제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철근콘크리트 깊은 보의 현행 스트럿-타이 설계기준에 대한 비교 및 평가 (Comparison and Evaluation of Current Strut-and-Tie Design Provisions for Reinforced Concrete Deep Beams)

  • 김진우;홍성걸;이영학;김희철;김대진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27권4호
    • /
    • pp.305-312
    • /
    • 2014
  • 콘크리트 깊은 보의 전단강도 산정을 위해 현행 미국콘크리트학회(ACI) 및 캐나다표준규격협회(CSA), 유럽콘크리트위원회(CEB-FIP)의 설계기준은 스트럿-타이 모델을 이용할 것을 제안하고 있지만 설계의 품질이 설계자가 구성한 트러스 모델 적합성에 크게 좌우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내부 트러스 모델에 따른 현행 ACI, CSA 및 CEB-FIP의 콘크리트 깊은 보 설계기준의 타당성을 홍성걸 등에 의해 제안된 콘크리트 소성학에 근거한 전단강도식의 예측치와 비교함으로써 평가한다. 비교 결과 ACI, CSA 및 CEB-FIP의 스트럿-타이 모델에 의해 설계된 깊은 보의 경우 내부 트러스 모델이 전단강도 예측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CEB-FIP의 경우 가장 높은 스트럿 강도 예측치를 보였다.

Tabebuia impertiginosa Martius ex DC(Taheebo)의 혈소판 응집 억제활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antiplatelet activity of Tabebuia impertiginosa Martius ex DC(Taheebo))

  • 서범석;고관영;박영현;박병수;장성근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53-257
    • /
    • 2004
  • Platelet aggregation is a complex phenomenon that probably involves several intracellular biochemical pathways. When activated, platelets change shape, aggregate and release the contents of their intracellular granules. The interactions between platelets and blood vessel walls are important in the development of thrombosis and cardiovascular diseases. When blood vessels are damaged, platelet aggregation occurs rapidly to form haemostatic Plugs or arterial thrombi at the sites of vessel injury or in regions where blood flow is disturbed. These thrombi are the source of thromboembolic complications of atherosclerosis, heart attacks, stroke, and peripheral vascular disease. Therefore, the inhibition of platelet function represents a promising approach for the prevention of thrombosis. Plants constitute a rich source of bioactive chemicals such as phenolics, terpenoids and alkaloids. Plant extracts may be an alternative to currently used medicinal source because they constitute a rich source of bioactive chemical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antiplatelet activity of extract of Tabebuia impetiginosa Martius ex DC (Taheebo) and find out which fractions to this activity in rabbit platelet. Taheebo was methanol extracted and solvent fractionated in to five fractions (hexane, chloroform, ethylacetate, butanol and water). And each fractions were investigated inhibitory effects on platelet aggregation induced by various agonists using washed rabbit platelets in vitro.

  • PDF

콘크리트 구조부재의 설계를 위한 격자 스트럿-타이 모델 방법 (Grid Strut-Tie Model Approach for Structural Concrete Design)

  • 윤영묵;김병헌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6권4A호
    • /
    • pp.621-637
    • /
    • 2006
  • 스트럿-타이 모델 방법은 응력교란영역을 갖는 콘크리트 구조부재의 설계에 효과적인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하중이나 기하학적 조건이 복잡한 경우 현행 설계기준의 스트럿-타이 모델 방법은 스트럿-타이 모델의 선정, 스트럿-타이 모델의 구조형식, 그리고 구성요소의 유효강도 측면에서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콘크리트 구조부재의 합리적인 설계가 어려운 부분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불확실성을 개선하기 위해 콘크리트 구조부재의 기하학적 형상을 바탕으로 초기격자모델을 구성하고 간단한 최적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스트럿과 철근 타이의 하중전달능력을 결정함으로써 다양한 하중조건에 적합한 스트럿-타이 모델의 선정과 동시에 일관된 설계를 수행할 수 있는 격자 스트럿-타이 모델 방법을 제안하였다. 철근콘크리트 깊은 보의 극한강도평가와 개구부를 가지는 벽체의 설계를 통해 제안한 방법의 타당성과 효율성을 검증하였다.

방글라데시의 생물다양성 보전 및 세계자연유산 (Biodiversity Conservation & World Natural Heritage in Bangladesh)

  • ;이상돈
    • 환경영향평가
    • /
    • 제26권5호
    • /
    • pp.376-384
    • /
    • 2017
  • 방글라데시는 인도히말라야와 인도차이나 경계에 위치한 아열대 몬순기후지역이며 생물다양성 핫스팟으로 알려져 있다. 식생은 활엽수림, 침엽수 및 혼효림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습지와 망그로브로 이루어져 있다. 자연경관은 많은 강과 해안선 및 언덕과 농업 산림으로 이루어진 수려한 경관이다. 전 세계적인 선라반이라 불리는 망그로브가 있으며, 이 지역은 방글라데시와 인도 중간에 위치하고 있으며, 1999년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지역이다. 망그로브의 62%가 방글라데시에 위치하고 있으며, 많은 동식물이 존재한다. 그러나 많은 사람으로 인해 자연환경이 변화고 있으며, 벌채림이 증가하고, 자연서식자가 감소된다. 이런 이유로 많은 종이 멸종에 처하게 되고 사라진 종도 많다. 이 지역 사람들은 직간접적으로 자연자원에 이익을 얻게 되며, 현재 생태관광이 주 수입원이다. 자연자원의 보호를 위해 정부는 각종 법령을 제정하고 있으며 많은 NGO가 생물다양성과 생태계 보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접경지역을 통한 오염물질과 자연재해는 방글라데시의 큰 위협요인이다.

산사태(山沙汰)로 인한 인명재해(人命災害) 예방대책(豫防對策)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Countermeasures for Preventing Loss of Human Life Caused by Landslides)

  • 우보명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8권2호
    • /
    • pp.228-241
    • /
    • 1989
  • 1987년(年) 7월(月) 21일(日)에서 23일(日)까지 3일간(日間) 우리나라 중부지방(中部地方)에서 호우재해(豪雨災害)가 막심(莫甚)하였는데, 그중에서 충남(忠南) 부여(扶餘), 서천(舒川), 공주(公州), 보령(保寧), 청야지방(靑陽地方)에서 산사태(山沙汰)-토석유(土石流) 재해(災害)로 인명피해(人命被害)가 큰 곳을 조사(調査)하여 산사태재해(山沙汰災害)의 특성(特性)을 분석(分析)하고 또 재해대책면(災害對策面)에서의 예방대책(豫防對策)을 수립(樹立)함에 필요(必要)한 자료(資料)를 도출해 보고저 이 연구(硏究)를 수행하였다. 인명피해(人命被害)가 발생(發生)한 산사태(山沙汰)는 주로 7월(月)22일(日) 아침 6~8시 사이에 많이 발생(發生)되었는데, 그 주원인(主原因)은 집중호우(集中豪雨)(지역내(地域內) 3일(日) 연속강우량(連續降雨量) 300~673mm 정도)에 기인되었다. 산지(山地) 사면붕괴(斜面崩壞)를 방지(防止)하기 위해서는 지형적(地形的)으로 산지사면상부(山地斜面上部)의 곡두(谷頭)hollow 위치(位置)에 대한 붕괴억지대책(崩壞抑止對策)이 필요(必要)할 것이며, 위택(位宅)뒷산에서의 밤나무조성작업(造成作業)과 같은 토지이용변경목적(土地利用變更目的)에는 특히 사면배수계통(斜面排水系統)의 교란이 없도록 유의해야 될 것이다. 산사태재해예방(山沙汰災害豫防) 및 피난(避難)등에 대한 주민의식수준(住民認識水準)에서는 문제점이 많이 나타났음으로 민방위교육이나 반상회 등을 통하여 보다 몸에 닿는 풍수해예방대책홍보교육(風水害豫防對策弘報敎育)을 실시해야 될 것이다. 산사태재해대책상(山沙汰災害對策上)으로도 도로(各道) 치산사업소(治山事業所)를 축소하거나 사방전문직(砂防專門職) 기술인력자원(技術人力資源)을 감축해서는 아니될 것이며, 산림청(山林廳)의 "산사태위험지(山沙汰危險地)" 지정기준(指定基準) 및 조사방법(調査方法)에 대한 사방공학적(砂防工學的) 측면(側面)에서의 근본적인 연구(硏究) 검토(檢討)가 요망(要望)된다.

  • PDF

한반도 특산식물 꼬리말발도리 개체군 구조 및 서식지 특성 (Population Structure and Habitat Characteristics of Deutzia paniculata Nakai, as an Endemic Plant Species in Korea)

  • 정지영;피정훈;박정근;정미진;김은혜;서강욱;이철호;손성원
    • 생태와환경
    • /
    • 제49권1호
    • /
    • pp.31-41
    • /
    • 2016
  • 꼬리말발도리는 한반도 특산식물임에도 불구하고 종의 분포, 개체군 및 자생지 특성, 그리고 이것에 기초한 종 보전 연구를 찾아보기 어렵다. 본 연구는 꼬리말발도리를 대상으로 종 분포 및 생태 특성을 분석하였다. 꼬리말발도리의 분포 특성은 문헌, 표본 및 현장 조사 자료를 참고하였다. 현장 조사는 6개 지역에서 11개의 대방형구 ($15{\times}15m$)와 33개 소방형구 ($5{\times}5m$)의 자생 집단을 대상으로 2014년 5월부터 10월까지 실시하였다. 개체군 특성으로 풍부성(밀도, 피도), demographic 속성 (개화율 및 결실율)이 조사되었으며, 자생지 특성으로 식생 (구조 및 종조성), 임내광량 (광량, 수관열림도) 및 토양 (온 습도, 이화학 속성) 특성을 분석하였다. 꼬리말발도리는 경상도 (강원도 태백 포함)가 분포 중심이었으며, 넓은 해발 분포 범위 (평균 493 m, 및 해발 290~959 m 범위)를 나타내었다. 꼬리말발도리 자생지의 평균 사면경사는 $16^{\circ}$ ($7{\sim}35^{\circ}$ 범위)이었으며, 주로 너덜 계곡 입지 및 그곳과 접한 사면하부에 분포하였다. 꼬리말발도리 개체군의 소방형구 ($5m{\times}5m$) 내에서 평균 12.5개체가 출현하였고, $m^2$당 평균밀도는 0.5를 보였다. 평균 개화율은 15%로 낮은 개화율을 보이며 영양생식에 의한 번식이 빈번히 이루어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꼬리말발도리 자생지의 조사구 수준 식물상은 138분류군이었다. 꼬리말발도리 자생지의 식생은 너덜 입지환경을 잘 반영하는 층층나무 (중요치 25.5%) 및 물푸레나무 (중요치 15.8%)가 우점하는 서식지로 나타났다. 층층나무 유형은 급경사 지역, 그리고 물푸레나무 유형은 주로 높은 해발고도에 분포하는 특성이 관찰되었다. 연구 결과, 꼬리말발도리는 인간 활동보다는 범람과 같은 자연 교란, 기후변화 및 진화 생태학적인 요인에 의해 개체수의 변동이 예상되는 종으로 판단되며, 개체군 및 자생지의 지속성을 위협하는 뚜렷한 증거는 찾아볼 수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