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ease intensity

검색결과 484건 처리시간 0.036초

확률 및 통계적 개념에 근거한 한국인 표준 뇌 지도 작성 및 기능 영상 분석을 위한 가시화 방법에 관한 연구 (Developing a Korean Standard Brain Atlas on the basis of Statistical and Probabilistic Approach and Visualization tool for Functional image analysis)

  • 구방본;이종민;김준식;이재성;김인영;김재진;이동수;권준수;김선일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162-170
    • /
    • 2003
  • 이 논문에서는 한국인의 뇌 기능 영상 연구에서의 정확한 분석을 위한 한국인 뇌 확률 지도를 제작하였고 이를 실제 기능 영상 연구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뇌 위치 정보 추출 프로그램에 대하여 소개하였다. 한국인의 표준 뇌 확률 지도를 작성하기 위하여 정신과적 병력이 없는 정상인 76개의 뇌 영상을 서울대학교 신경정신과와 핵의학과로부터 수집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표준 뇌 영상을 결정하였다. 결정된 표준 뇌 영상은 숙련된 전문의로부터 89개의 해부학적 영역으로 분할하는 작업이 이루어졌다. 표준 뇌 영상에서 분할된 정보들은 자동 분할 알고리즘에서의 기준으로 사용되어 나머지 75개의 뇌 영상들에 대해서도 해부학적 정보들을 가지도록 하였다. 76개의 뇌 영상들에 생성된 각각의 89개의 해부학적 정보들은 동일 위치에서의 확률정보로서 변환되어 뇌 확률 지도를 생성하였다. 제작된 한국인의 뇌 확률지도는 한국인의 뇌에 대한 편차 정보와 해부학적인 정보를 가지며 이는 한국인의 기능 영상 연구에 있어서 보다 정확한 결과를 제시할 수 있다.

광물성 한약으로 이용되는 양기석, 연옥,음기석의 분광학적 및 자기적 특성 (Spectmscopic and Magnetic Properties of Yanggiseok, Yeonok and Eumgiseok used as Mineral Medicine)

  • 김선옥;박맹언;정율필
    • 자원환경지질
    • /
    • 제35권4호
    • /
    • pp.317-323
    • /
    • 2002
  • 양기와 음기를 보하는 약재로 알려진 양기석과 음기석 및 연옥에 대한 의료적 활용을 파악하고, 광물학적 특성, 분광학적 및 자기적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X선 형광분석, X-선 회절분석, 주사전자현미경, 적외선 분광분석, 핵자기 공명분석 및 감응자기력을 실시하였다. 광물성 한약으로 사용되는 양기석은 양기석으로 확인되었으뗘, 연옥은 투각섬석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음기석은 주로 질석으로 구성되며, 소량의 카올리나이트와 할로이사이트를 함유하였다. 사슬형 규산염 중 각섬석군에 속하는 이들 연옥과 양기석은 유사한 범위의 분광학적 특성을 가지며, 연옥은 4$0^{\circ}C$에서 방사에너지가 큰 반면, 양기석은 15$0^{\circ}C$에서 방사에너지가 크다 음기석은 각섬석군의 광물보다 4$0^{\circ}C$와 15$0^{\circ}C$에서 모두 낮은 방사에너지를 나타내었다. 광물성 한약을 증류수에 20일간 침적한 후에 측정한 NMR분석에서의 선폭은 음기석, 양기석, 연옥의 순으로 감소되나, 80일이 경과한 후의 결과는 음기석, 연옥, 양기석 순으로 감소하였다. 양기석과 음기석은 가열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감응 자기력 값이 대체적으로 증가하고, 연옥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광물별로는 상온과 가열시 모두 음기석, 양기석, 연옥의 순으로 감소하였다.

복합트레이닝이 중년비만여성의 심혈관질환 위험인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mplex Training on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Middle Aged Obese Women)

  • 원호삼;양정옥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885-893
    • /
    • 2010
  •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에 거주하고 있는 비만중년여성(체지방률 30% 이상, BMI $25\;kg/m^2$ 이상) 16명을 대상으로 12주간 복합트레이닝 전 후에 나타나는 신체특성, 신체조성, 혈청지질과 심혈관질환 위험인자에 어떠한 변화가 나타나는지 규명하여 그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결과로는: 1) 12주 복합트레이닝 후 신체특성에서 체중, BMI, WHR는 각각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고, 수축기 확장기 혈압이 각각 증가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 12주 복합트레이닝 후 신체조성에서 체지방량, 체지방률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제지방량은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3) 12주 복합트레이닝 후 혈청지질에서 TC, TG, LDL-C는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HDL-C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4) 12주 복합트레이닝 후 심혈관질환 위험인자의 변화는 인슐린, 염증유발 인자인 TNF-$\alpha$가 각각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12주간의 복합트레이닝 적용이 중년비만여성들의 심혈관질환 위험인자의 변화에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으나, 비만으로 인해 나타나는 각종 현대병을 예방하기 위한 운동처방을 하기 위해서는 보다 더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가 계속 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심장 자기공명영상의 에지 분류 및 영역 확장 기법을 통한 자동 좌심실 분할 알고리즘 (Automatic Left Ventricle Segmentation by Edge Classification and Region Growing on Cardiac MRI)

  • 이해연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5B권6호
    • /
    • pp.507-516
    • /
    • 2008
  • 최근 연구 결과에 따르면 여러가지 질환 중에 심장 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임상 실습에서 심장 기능은 좌심실을 수동윤곽검출하여 혈류량이나 심박구출률을 계산하여 분석하지만, 많은 시간과 비용을 필요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심장을 촬영한 단축 자기공명영상을 사용하여 자동 좌심실 분할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코일 위치에 따른 왜곡을 보상하고, 에지 정보를 검출하고 특성에 따라 분류한후에, 영역 확장 기법을 사용하여 좌심실을 분할하였다. 또한 부분 복셀소(voxel)의 영향을 고려하였다. 코넬대학교 IRB의 승인하에 38 명의 심장 자기공명영상을 사용하여 제안한 알고리즘을 수동윤곽검출 및 GE MASS 소프트웨어와 비교하였다. 심장의 이완기와 수축기에 혈류량은 부분 복셀소 영향을 고려하지 않을 경우 각각 $3.3mL{\pm}5.8$(표준편차)와 $3.2mL{\pm}4.3$, 부분 복셀소 영향을 고려한 경우 각각 $19.1mL{\pm}8.8$$10.3mL{\pm}6.1$의 정확도를 보였다. 심박구출률은 부분 복셀소 영향을 고려하지 않은 경우와 고려한 경우에 대해서 각각 $-1.3%{\pm}2.6$$-2.1%{\pm}2.4$의 정확도를 보였다. 이를 통해 제안한 알고리즘이 정확하고 정기적인 임상 실습에 유용함을 확인할 수 있다.

유엔 지속가능발전 목표(SDG)를 위한 수산교육 방향 (Directions to Fisheries Education for Achieving UN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 강버들;장창익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9권2호
    • /
    • pp.453-465
    • /
    • 2017
  • UN adopted the 2030 Agenda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in 2015, a set of 17 objectives with 169 targets expected to guide actions over the next 15 years (2016-2030). One goal expressly focuses on the oceans, that is, SDG 14 'Conserve and sustainably use the oceans, seas and marine resource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More than 30% of fish stocks worldwide were classified by FAO(2016) as overfished. Globally, world capture fisheries are near the ocean's productive capacity with catches on the order of 80 million metric tons. Aquaculture production is increasing rapidly and is expected to continue to increase, but aquaculture encounters some environmental challenges, including potential pollution, competition with wild fishery resources, potential contamination of gene pools, disease problems, and loss of habitat. Accordingly, there have been a variety of world organization and conferences stressing the importance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ecosystem-based fisheries management(EBFM) to overcome these problems. Annual catch of Korean fisheries have shown continuously declining patterns since late 1990s. Most fish stocks are currently known to be over-exploited, and some stocks are depleted due to the increase in fishing intensity and over-capitalization of fishing fleets. Other reasons for the depletion are land reclamations and coastal pollution, which destroy spawning and nursery grounds along the coastal regions. Aquaculture production is also increasing rapidly in Korea. However, several important issues such as gene pool and interaction with capture fisheries should be considered. The EBFM approach should use the best available information coupled with a reasonable application of the precautionary approach. The EBFM has global relevance, and so the real challenge will be to develop and use reliable, robust and cost-effective means of assessing and monitoring the status of ecosystems and their resources, and rapid means of detecting any undesirable and excessive impacts that threaten sustainable use. Future fisheries education should take into account UN's SDGs, which were adopted to achieve the global 2030 agenda. However, there are some difficulties in the current fisheries education system in Korea. First, the current education organizations are limited within the old frame of traditional fisheries sciences. Second, the fisheries education is currently lack of the future-oriented education system and of customized schools or departments. Third, the on-going fisheries education has been based upon few educational policies which are sufficiently relevant to holistic SDGs of the global standard. Accordingly, directions to modern fisheries education for achieving SDGs would be, first, the transition of fisheries education structure into the future-oriented and customized education system. Second, fisheries education needs to shift to the new paradigm, which combines traditional fisheries science education with related fields such as oceanography and environmental sciences to adopt the concept of EBFM. Lastly, fisheries education should accompany relevant policies for effectively achieving SDGs.

치과위생사의 근무환경과 직업병의 연관성에 대한 조사연구 (A research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work environments to occupational diseases in dental hygienists)

  • 남영신;장재연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581-593
    • /
    • 2011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the work environments of dental hygienists to their occupational diseases in a bid to provide some information on their health care, health promotion and the prevention of occupational diseases. Methods :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00 dental hygienists who worked in Seoul, urban communities involving large cities and rural areas. One-on-one interviews and a self-administered survey were implemented with their consent. Results :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60 percent of the dental hygienists investigated replied that they had occupation-related physical symptoms. By the length of service, the dental hygienists who worked for six to 10 years had the most symptoms. 2. Out of the occupation-related symptoms, the most prevalent symptom was a pain in the shoulders and neck(41%), followed by a pain in the lower back, a pain in the legs, a pain in the wrists and skin diseases. The most painful parts of the body were hands and arms. 3. In regar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 intensity of pain, the highest group of the dental hygienists in Seoul replied that they had a severe pain, and the lowest number of those in the large cities gave the same answer. 4. Concerning the cause of occupational diseases, 65.7 percent cited the wrong posture. 5. As to relationship betwee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regular hospital-visit experiences for the prevention of pain during work hours, many of the dental hygienists who were in their 40s and 50s visited hospitals from time to time, and many of those in their 20s never did that. 6. In regard to links betwee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an opinion on the necessity of regular education, many of the respondents from Seoul and urban regions involving large cities considered it necessary to receive education on a regular basis. By daily work hours, the highest number of those who worked for eight hours or less considered that necessary, and lots of those who worked for 11 hours didn't consent to that. The gaps between them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p<0.05). Conclusions : Given the findings of the study, daily work hours and length of service were two integral factors to affect the regular hospital-visit experiences and pain, and the wrong posture was identified as the most common cause of occupational diseases. To ensure the successful prevention of occupational diseases, dental hygiene students should be taught the importance of occupational disease before they start to work, and supplementary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for dental hygienists to work in the right posture.

Clinical outcome of proton therapy for patients with chordomas

  • Youn, Sang Hee;Cho, Kwan Ho;Kim, Joo-Young;Ha, Boram;Lim, Young Kyung;Jeong, Jong Hwi;Lee, Sang Hyun;Yoo, Heon;Gwak, Ho-Shin;Shin, Sang Hoon;Hong, Eun Kyung;Kim, Han Kyu;Hong, Je Beom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36권3호
    • /
    • pp.182-191
    • /
    • 2018
  • Purpose: To investigate the clinical outcome of proton therapy (PT) in patients with chordoma. Materials and Methods: Fifty-eight patients with chordoma treated with PT between June 2007 and December 2015 at the National Cancer Center, Korea,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median total dose was 69.6 cobalt gray equivalent (CGE; range, 64.8 to 79.2 CGE). Local progression-free survival (LPFS), distant metastasis-free survival (DMFS), overall survival (OS), and disease-specific survival (DSS) rates were calculated by the Kaplan-Meier method. Results: With the median follow-up of 42.8 months (range, 4 to 174 months), the 5-year LPFS, DMFS, OS, and DSS rates were 87.9%, 86.7%, 88.3%, and 92.9%, respectively. The tumor location was associated with the patterns of failure: the LPFS rates were lower for cervical tumors (57.1%) than for non-cervical tumors (93.1%) (p = 0.02), and the DMFS rates were lower for sacral tumors (53.5%) than for non-sacral tumors (100%) (p = 0.001). The total dose was associated with both the LPFS rate and DMFS rate. The initial tumor size was associated with the DMFS rate, but was not associated with the LPFS rate. Three patients had grade 3 late toxicity with none ≥grade 4. Conclusion: PT is an effective and safe treatment in patients with chordomas. The tumor location was associated with the patterns of failure: local failure was common in cervical tumors, and distant failure was common in sacral tumors. Further refinement of PT, such as the utilization of intensity modulated PT for cervical tumors, is warranted to improve the outcome.

고 에너지 방사선에 기인된 방사선치료실 내 평균 오존 농도의 변화 (Variation of Indoor Average Ozone Concentration within the Radiation Therapy Room by High Energy Radiation)

  • 이진국;이효영;임인철;유윤식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171-180
    • /
    • 2016
  • 본 연구는 고 에너지 방사선 조사에 기인된 방사선치료실 내 오존 농도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치료실 주변 대기 중 오존 농도와 치료실 내 배경 오존 농도를 분석하여 고 에너지 방사선 조사에 기인된 치료실 내 평균 오존 농도를 비교하였다. 치료실 내 배경 오존 농도는 평균 $17.4{\pm}7.9ppb$로 방사선치료실 주변의 대기 중 오존 농도(평균 $36.8{\pm}22.3ppb$)보다 약 50% 정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p<0.05). 고 에너지 방사선 조사에 기인된 치료실 내 오존 농도는 방사선이 조사됨과 동시에 배경 오존 농도의 약 2배 수준으로 급격하게 증가되었으며 조사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기울기가 일정한 증가 추이를 보이다가 약 130초에서 180초 부근에서 최대 오존 농도를 이루고 점차 포화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배경 오존 농도로 감소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약 10분 이상이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고 에너지 방사선 조사에 기인된 방사선치료실 내 오존 농도는 후각을 자극하는 오존의 특이한 냄새를 맡거나 순간적인 호흡 곤란과 마른기침으로 가슴 통증 등의 신체적 증상이 나타날 수 있는 수준으로 밀폐된 방사선치료실에서 고농도 오존에 장시간 노출될 경우 폐 질환을 악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중년여성의 수중재활운동이 신체적성과 혈중지질에 미치는 융합연구 (Convergence Study on Effects of Underwater Rehabilitation Exercise on Physical Fitness and Blood Lipids in Middle Aged Women)

  • 백순기;김도진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8호
    • /
    • pp.260-267
    • /
    • 2019
  • 본 연구는 10주간의 수중재활운동이 중년여성의 신체적성과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에 거주하는 중년 여성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중재활운동 프로그램은 10주간 주 3 회 실시하였고, 운동 시간은 준비운동, 정리운동, 본 운동을 포함하여 60분간 실시하였다. 운동 강도는 운동 전 검사를 통해 심박수를 기준으로 60-70%로 설정하였다. 자료처리는 각 측정 항목에 대한 기술 통계를 제시하고 그룹 간에 상호 작용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2-way RGRM ANOVA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신체적성(유연성, 심폐지구력, 근지구력) 및 혈중지질(TG, TC, HLD-C, LDL-C)에서 의미 있는 상호작용효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를 통해 중년 여성의 10주간의 수중재활운동 프로그램이 신체적성 수준은 높이고 혈중지질은 감소 및 증가 시키는 것으로 나타내, 심혈관 질환 예방 및 위험을 낮추는 효과적이며 융합적인 프로그램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경두개 자기자극 시 운동신경 유발응답 측정을 위한 근전도 측정 시스템 구축 (Establishing EMG Measurement System for Measurement of Motor Nerve Response in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 이근용;김수환;조재현;윤세진;이상식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413-418
    • /
    • 2019
  • 뇌와 관련된 질병(치매, 조현병, 우울증, 파킨슨병 등)을 가진 환자의 치료 및 재활 정도의 진행을 확인하고자 하는 연구가 현재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 중에서 경두개 자기 자극법(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TMS)은 뇌 질환이 있는 환자에게 비 침습적으로 뇌 신경 조절에 사용되는 기법이기 때문에 치료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경두개 자기 자극 시 정상인의 근피로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경두개 자기 자극 시에 운동 신경 유발 응답 측정을 위한 근전도 측정 시스템을 구축하여 피실험자의 Raw Data를 RMS 기법으로 분석하고, RMS 그래프의 경향을 통해 운동 신경 유발 응답 측정 시스템을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 목표이다. 실험 방법으로는 피실험자의 위팔두갈래근의 수축과 이완 운동을 통해 피로한 상황까지 도달하게 한 후, 표면 근전도 기기를 통해 받아들인 원신호를 RMS 기법으로 분석한다. 실험 결과, RMS 그래프가 상승하는 경향을 확인 하였고, 이를 통해 구축된 근전도 측정 시스템으로 운동 신경 유발 응답을 측정한 데이터를 고려하여 개개인에 맞는 자기자극 강도 결정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