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crete-time survival analysis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3초

비연속시간 생존분석을 적용한 청소년의 최초 가출 발생시점에 대한 영향요인 연구 (Determinants of the Onset of Adolescent Runaway Behavior : An Application of Discrete-Time Survival Analysis)

  • 홍세희;김동기
    • 아동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17-233
    • /
    • 2007
  •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individual, family, school, and community factors on the onset of adolescent runaway behavior. Using the Korean Youth Panel data(n=3,118), discrete-time survival analysis was applied for research purposes. Results showed that the likelihood of onset of adolescent runaway behavior increased sharply during the early middle school years. The variables of self-control, aggression, parents' divorce, paternal abuse, attachment with parents, and number of delinquent peers were associated with the likelihood of runaway behavior. These results suggest that special attention should be paid to adolescents in the early middle school years and that various preventive programs, e.g., aggression and stress management, and peer relations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 PDF

비연속시간 생존분석을 적용한 청소년의 최초 폭력 발생시점에 대한 영향요인 검증 (Applying Discrete-Time Survival Analysis to Testing the Determinants on the Onset of Adolescents' Violence Behavior)

  • 노언경;홍세희
    • 한국조사연구학회지:조사연구
    • /
    • 제11권3호
    • /
    • pp.81-101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최초 폭력 발생시점을 살펴보고, 최초 폭력 발생시점에 대하여 개인, 가족 및 학교체계변수들의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패널조사에서 최초 폭력 발생시점을 회고적으로 응답한 자료에 비연속시간 생존분석(discrete-time survival analysis)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최초의 폭력행동은 초등학교 시기에 발생할 확률은 매우 낮았으나, 중학교 1학년 시기부터 급증하여 고등학교 1학년이 되기까지 계속해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폭력행동의 최초 발생시점에 대한 개인체계요인 중에서는 성별, 자아존중감, 공격성이, 가족체계요인 중에서는 결손가정 여부와 부모의 학대요인이, 학교체계요인 중에서는 비행친구 수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최초 폭력 발생시점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변수들에 초점을 맞추어 청소년의 폭력 발생을 예방하기 위한 적절한 대비책을 찾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 PDF

Discrete-time Survival Analysis of Risk Factors for Early Menarche in Korean Schoolgirls

  • Yong Jin Gil;Jong Hyun Park;Joohon Sung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56권1호
    • /
    • pp.59-66
    • /
    • 2023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body weight status and sleep duration on the discrete-time hazard of menarche in Korean schoolgirls using multiple-point prospective panel data. Methods: The study included 914 girls in the 2010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tudy who were in the elementary first-grader panel from 2010 until 2016. We used a Gompertz regression model to estimate the effects of weight status based on age-specific and sex-specific body mass index (BMI) percentile and sleep duration on an early schoolchild's conditional probability of menarche during a given time interval using general health condition and annual household income as covariates. Results: Gompertz regression of time to menarche data collected from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tudy 2010 suggested that being overweight or sleeping less than the recommended duration was related to an increased hazard of menarche compared to being average weight and sleeping 9 hours to 11 hours, by 1.63 times and 1.38 times, respectively, while other covariates were fixed. In contrast, being underweight was associated with a 66% lower discrete-time hazard of menarche. Conclusions: Weight status based on BMI percentiles and sleep duration in the early school years affect the hazard of menarche.

Application of Statistical Models for Default Probability of Loans in Mortgage Companies

  • Jung, Jin-Whan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7권2호
    • /
    • pp.605-616
    • /
    • 2000
  • Three primary interests frequently raised by mortgage companies are introduced and the corresponding statistical approaches for the default probability in mortgage companies are examined. Statistical models considered in this paper are time series, logistic regression, decision tree, neural network, and discrete time models. Usage of the models is illustrated using an artificially modified data set and the corresponding models are evaluated in appropriate manners.

  • PDF

비연속시간 생존분석을 활용한 청소년의 최초 지위비행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Discrete-Time Survival Analysis of the Determinants of the Onset of Adolescents' Status Delinquency)

  • 윤홍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459-467
    • /
    • 2021
  • 본 연구는 청소년의 최초 지위비행 발생시점을 비연속 생존분석을 통해 규명하고, 최초 지위비행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은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urvey)의 중1패널 5개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분석 대상 학생 수는 2,277명(남학생 1,126명, 여학생 1,151명)이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최조 지위비행 발생에 대한 위험확률은 중2때 16.6%로 가장 높았으며, 중3때는 다소 감소하였으나 전반적으로 학년이 높아지면서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둘째, 우울, 공격성과 같은 청소년의 심리, 정서 요인이 최초 지위비행 시점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다. 셋째, 부모의 부정적 양육방식인 학대는 비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반면 방임은 유의하지 않았다. 넷째, 청소년 주변의 비행친구는 최초 지위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었다. 다섯째, 학교요인 중 학습활동 적응, 학교규칙 적응, 교우관계 적응은 지위비행에 영향을 미친 반면 교사관계 적응은 유의하지 않았다. 청소년의 최초 지위비행에 대한 발생시점과 영향요인을 분석한 결과 청소년의 지위비행 예방을 위해 초기 개입이 중요하며, 따라서 이에 대한 적절한 교육과 지원이 필요하다.

POSTERIOR COMPUTATION OF SURVIVAL MODEL WITH DISCRETE APPROXIMATION

  • Lee, Jae-Yong;Kwon, Yong-Chan
    • Journal of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 /
    • 제36권2호
    • /
    • pp.321-333
    • /
    • 2007
  • In the proportional hazard model with the beta process prior, the posterior computation with the discrete approximation is considered. The time period of interest is partitioned by small intervals. On each partitioning interval, the likelihood is approximated by that of a binomial experiment and the beta process prior is by a beta distribution. Consequently, the posterior is approximated by that of many independent binomial model with beta priors. The analysis of the leukemia remission data is given as an example. It is illustrated that the length of the partitioning interval affects the posterior and one needs to be careful in choosing it.

왜 결혼이 늦어지는가? (Why have Marriages been Delayed?)

  • 김성준
    • 노동경제논집
    • /
    • 제38권4호
    • /
    • pp.57-81
    • /
    • 2015
  • 본 연구는 한국노동패널 자료를 이용하여 미혼자들이 초혼까지 걸리는 시간에 어떤 요인이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분석함으로써, 최근 우리나라의 만혼 현상을 설명한다. 분석 결과, 교육수준과 관련하여, 여자 대졸자는 고졸 이하에 비해 결혼하지 않을 확률 대비 결혼할 확률(Odds)이 0.91배, 약 8.5% 낮아지고, 여자 석 박사 졸업자는 여자 대졸자에 비해 결혼하지 않을 확률 대비 결혼할 확률이 0.40배(59.6%)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력과 관련하여, 남자 취업자의 경우 미취업자에 비해 결혼하지 않을 확률 대비 결혼할 확률이 1.65배 높아지며, 직업이 상시직이면 상시직이 아닌 경우에 비해 결혼하지 않을 확률 대비 결혼할 확률이 1.60배 높아진다. 또한, 만 14세 때의 가정 형편이 평균 이하인 경우 평균 이상인 경우에 비해 결혼할 확률이 0.65배 낮아진다. 이러한 점을 종합해볼 때, 최근 우리나라의 만혼 현상은 여성의 교육수준 향상뿐만 아니라 경제력을 갖춘 남성 청년층의 감소에 상당 부분 그 원인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상업젠트리피케이션에 따른 기존 상인의 이탈: 후기 진입 상인과의 생존율 변화 비교 (Displacement of Early Business Entrants in a Gentrified Commercial Area: Survival Rates Compared to Those of Late Arrivers)

  • 천상현;김지은
    • 토지주택연구
    • /
    • 제13권2호
    • /
    • pp.91-115
    • /
    • 2022
  • 본 연구는 상업 젠트리피케이션 지역에서 기존 상인(초기진입상인)과 후기진입상인간의 생존율 차이에 대해 비교·분석하였다. 2000년 무렵부터 젠트리피케이션이 진행되어온 홍대 일대 상업지역을 실험군 지역으로 정하고 마포구 내 그 외 상업지역을 대조군 지역으로 설정하여 초기 및 후기진입 상인 간의 생존율 차이를 업종별로 검토하였다. 아울러, 프랜차이즈업과 비프랜차이즈업의 소유구조에 따라 실험군과 대조군 지역에서 생존율의 차이 유무에 대해서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홍대 젠트리피케이션 지역에서는 요식업, 카페및베이커리업, 유흥업 전반에 걸쳐 기존 상인의 생존율이 후기진입상인에 비해 낮은 것으로 밝혀져 '기존상인 이탈현상' 가설을 증명하였다. 반면 대조군 지역에서는 두 그룹간 생존율 차이는 크지 않았으며 근린상업의 경우 기존 상인의 생존율이 후기진입상인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되어, 젠트리피케이션 상권과는 확실하게 대별되었다. 프랜차이즈점의 경우 홍대 앞 상권이나 대조군 상권에서 모두 비프랜차이즈 업체보다 생존율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프랜차이즈점만을 비교할 경우 영업 3년차까지는 홍대 앞 상권에 위치한 프랜차이즈점이 생존확률이 더 높았지만, 영업 3년 이후에는 대조군 상권에 위치한 프랜차이즈점의 생존확률이 더 높은 결과를 보인다. 이는 프랜차이즈의 이점이 시장 변화가 급속한 젠트리피케이션 환경에서 오랫동안 유지될 수 없음을 암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젠트리피케이션 지역에서 기존 상인의 이탈과 생존환경의 불리함에 대한 다양한 가설 및 일화적 스토리를 보다 체계적이고 정량적으로 검증하였다.

지역 특성과 친구의 흡연이 청소년의 습관적 흡연 시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Neighborhood Characteristics and Friends' Smoking Status on the Habitual Smoking Onset in Adolescents)

  • 최유정;김광숙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54-67
    • /
    • 2021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hreefold, to longitudinally examine the risk of habitual smoking onset in adolescents, to delineate the effects of neighborhood characteristics and friends' smoking status on the habitual smoking onset, and to investigate whether the association between friends' smoking status and habitual smoking onset was moderated by neighborhood characteristics. Methods: This study conducted multilevel discrete-time survival analysis, using cohort data from the 3rd to 6th waves of the Korean Child and Youth Panel Survey, which excluded habitual smokers, matched with 2010 census data on respondents' residence. Results: Habitual smoking onset risk increased from the 8th to the 11th grade, and then slightly decreased from the 11th to the 12th grade. Friends' smoking status (B = 0.60, p < .001), smoking rate (B = 0.06, p = .038), and the number of tobacco outlets in the respondents' neighborhood (B = 0.51, p = .003)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habitual smoking onset risk. Furthermore, the association between friends' smoking status and habitual smoking onset risk was moderated by the number of tobacco outlets in the neighborhood. Specifically, the association was stronger in neighborhoods with more tobacco outlets (B = 0.58, p = .048). Conclusion: Friends' smoking status and living in neighborhoods that are more susceptible to smoking increase the risk of habitual smoking. The number of tobacco outlets in the neighborhood enhances the peer effect of adolescent's smoking behavior. Therefore, policies or interventions designed to reduce youth's tobacco use should focus on not only on reducing peer smoking, but also restricting smoking by adults and the number of neighborhood tobacco outlets.

기술기반창업기업의 기업활동이 기업성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echnology-Based Entrepreneurship(TBE) Activities on Firms Growth)

  • 이명종;주영진
    • 벤처창업연구
    • /
    • 제14권6호
    • /
    • pp.59-76
    • /
    • 2019
  • 대부분의 기술기반창업기업이 죽음의 계곡(VoD: valley of death)을 극복하지 못하고 쇠퇴하거나 소멸하는 과정을 겪게 된다. 본 연구는 기술기반창업기업의 성장차원을 구분하고, 기술기반창업기업의 기업활동이 기업성장에 미치는 영향력의 시간 흐름에 따른 변화를 확인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다수의 성장지표에 대한 탐색적요인분석(EFA: exploratory factor analysis)을 통해 규모와 수익으로 구분된 2차원의 성장차원을 확인하였으며, 규모와 수익으로 구분된 4가지 상태와 폐업을 포함한 5가지 상태의 이산적 기업성장상태를 정의하였다. 기술기반창업기업의 기업활동이 기업성장에 미치는 영향은 고용활동, 마케팅활동, 연구개발활동, 재무활동, 일반관리활동 등 5가지 대표적인 기업활동을 독립변수로 하고, 이산적 기업성장상태(규모×수익, 폐업)를 종속변수로 한 다항로짓모형(MNL: multi-nomial logit model)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시간 흐름에 따른 기술기반창업기업의 성장단계는 창업생존율이 급격하게 저하되는 주요 기간을 고려하여 창업초기, 창업중기, 창업후기 등의 3단계로 업력을 범주화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자료는 정부·공공기관의 창업지원기업에 대한 2차자료를 바탕으로 하였으며, 분석대상은 업력 10년 이내의 기술기반창업기업으로 하였다. 분석결과 기술기반창업기업의 고용활동과 마케팅활동은 창업초기와 중기의 활동이 기업성장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용활동은 긍정적 영향과 부정적 영향을 함께 미치는 반면, 마케팅활동은 규모와 수익 성장에 긍정적 영향만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연구개발활동, 재무활동, 일반관리활동은 기업성장 전 과정에서 기업성장상태에 긍정적 영향과 부정적 영향을 함께 미치는 기업활동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기업의 고유특성인 창업자 창업당시 연령, 기업의 업종 및 소재지역은 성장단계에 따라 기업성장상태에 차별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