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coloration

검색결과 792건 처리시간 0.03초

은의 표면 부식 및 변색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된 Al 희생양극의 전기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황산 농도의 영향 (Effect of concentration of H2SO4 on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equipped Al sacrificial anode to prevent the corrosion and discolor of silver surface)

  • 신병현;정원섭
    • 한국표면공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12-17
    • /
    • 2021
  • Among the various precious metals, silver is used in various fields because of its low price than other precious metals. However, the surface of silver remains after rain in the atmosphere containing sulfur ions and chlorine ions, causing silver corrosion and discoloration. Existing documents have developed a anode to prevent corrosion but that are concentrated on secondary batteries. This study tried to prevent corrosion and discoloration of silver by using an Al sacrificial anode. Sulfuric acid decreased the potential of silver and increased the current density at active polarization and OCP. The amount of corrosion of silver with the Al sacrificial anode was reduced from 0.5 % to 6.5%. When silver is used for decoration outside, corrosion and discoloration of silver can be suppressed by installing an Al anode.

건조, 강우, 저온 환경에서 관상용 억새 원예품종의 생장 반응과 경관의 지속성 (Growth Response and Durability of Landscape of Ornamental Miscanthus sinensis Cultivars to Drought, Rain Fall and Low Temperature Condition)

  • 김기동;김영선;이정호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11-323
    • /
    • 2023
  • Miscanthus sinensis Andersson (Poaceae) cultivars exhibit excellent visual appeal as ornamental grasses and adapt well to diverse environmental conditions. This study focused on assessing the growth response and landscape durability of seven popular Miscanthus cultivars ('Gold Breeze', 'Strictus', 'Morning Light', 'Variegatus', 'Gracillimus', 'Kleine Fontäne', 'Common') under drought, rainfall and low temperature condition. The test cultivars were transplanted and cultivated on research plots in 2013, with data collected from June 2017 to February 2018. Plant material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based on the amount of the water lost; group I ('Kleine Fontäne', 'Variegatus', 'Strictus'), experiencing the most significant water loss; group II ('Common', 'Gracillimus'); and group III ('Gold Breeze', 'Morning Light') where the least water loss occurred. The drought resistance index (DRI) remained low as water shortage conditions persisted. The lodged angle underwent more pronounced changes in reproductive growth stage than in vegetative growth stage, notably decreasing after heading. Discoloration patterns were classified into two types: group I ('Common', 'Gold Breeze', 'Kleine Fontäne', 'Strictus') and group II ('Gracillimus', 'Morning Light', 'Variegatus') based on the periods of peak duration.

숙성 및 가압 방식에 의한 훈제 계란의 제조 공정 최적화 (Optimizatio of Processing Conditions for Smoked Eggs Aging and Pressurizing Techniques)

  • 김진곤;황용일;권상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375-380
    • /
    • 2017
  • 본 연구는 훈제 계란의 제조시간 단축과 진의 생성으로 발생하는 불량 훈제 계란을 감소시키기 위한 공정 조건 설정을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진은 공정과정 중에 염지액의 과열 등으로 발생하는 난각의 얼룩으로 훈제 계란의 난각에 진이 발생할 경우 상품으로 사용할 수 없어 불량 처리하고 있다. 본 실험에 사용된 재료인 계란은 부산 오경농장에서 구입하여 대란만을 사용하였다. 제조 공정은 일반적인 훈제 계란 가공업체의 제조 공정을 참고로 작성하였다. 예비 실험을 통하여 훈제 계란의 최적 염도는 1.67~2.00%이었고, 훈제 계란의 진 발생으로 생성되는 불량 계란은 5%로 최적 염도의 조건과 3% 미만의 불량률을 목표로 하였다. 숙성 공정의 $50^{\circ}C$에서 96시간 숙성한 후, 훈제 계란을 가공하였을 때 진 발생은 0%였다. 순환식 침지방식은 8시간 처리하였을 때 제조한 훈제 계란의 염도는 1.67%였으며, 가압 방식은 $2.07kg/cm^2$의 압력으로 4시간 처리하였을 때 제조한 훈제 계란의 염도는 2.00%였다. 최적 효율의 압력을 찾기 위하여 0.52, 1.55, 1.86, 2.07, 2.38, 2.58, $3.62kg/cm^2$으로 처리하였을 때 $2.07kg/cm^2$의 압력 처리가 최적의 훈제 계란 염도와 2.2%의 진 발생률을 보였다. 숙성 및 가압 방식은 훈제 계란 가공 시 제조시간의 단축과 불량률을 감소시켜 줄 수 있는 기초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전처리와 저장조건이 굴 통조림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etreatment and Storage Condition on the Quality of Canned Boiled Oyster)

  • 노낙현;성대환;양한섭;변대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30-138
    • /
    • 1981
  • 굴 보일드 통조림의 저장중 품질저하에 영향을 미치는 변색과 영양가의 손실이 전저리와 저장조건을 달리함으로써 억제가 가능한지를 검토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착수하였으며 실험에서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첨가제의 처리는 밀봉직전에 첨가제 용액을 직접 주입하거나 자숙후 첨가제 용액에 침지하는 것이 효과적이었다. 2. 클로로필과 카로티노이드는 산성보다는 알칼리성에서 더 안정했으며, 아미노태질소와 유효성 lysine은 반대현상을 보였다. 3. 자숙굴의 육과 내장에 대한 클로로필의 분배비는 1/55, 카로티노이드의 분배비는 1/68이였으며 5개월 후에는 각각 $1/14\sim1/40$$1/4\sim1/20$으로서 카로티노이드가 클로로필에 비하여 훨씬 이행속도가 빨랐다. 4. $Na_{2}EDTA$의 처리는 변색과 영양가 손실의 억제에 상당한 효과가 있었으며, sodium-polyphosphate의 처리는 육의 연화 또는 붕괴를 촉진시키는 역효과를 보였다. 5. 굴통조림 저장중 아미노태질소와 유효성 lysine은 저장초기에 빨리 감소하였으며, 2개월 일 때는 전감소율의 $50\%$에 달하였다. 6. $4^{\circ},\;20^{\circ}C,\;55^{\circ}C$의 각 온도별로 저장한 굴 통조림의 변색과 영양가의 손실은 온도가 다른 요인에 비해 훨씬 큰 영향을 끼쳤으며 온도가 낮을수록 그 손실이 적었다. 7. 관능검사 결과$Na_{2}EDTA$로 처리하여 $4^{\circ}C$에서 저장한 시료가 가장 품질이 우수하였으며, sodium-polyphosphate로 처리하여 $55^{\circ}C$에서 저장한 시료가 품질이 가장 나빴다.

  • PDF

OSP 표면처리된 PCB 볼 패드용 CIELAB 색좌표 기반 검사 시스템 (Inspection System using CIELAB Color Space for the PCB Ball Pad with OSP Surface Finish)

  • 이한주;김창석
    • 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5-19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OSP (organic solderability preservative) 표면처리된 PCB (printed circuit board) Cu 볼 패드의 변색을 검사하는 측정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PCB 표면처리 중에서 OSP는 친환경적, 낮은 생산 비용 등의 장점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으나 온도공정에 따른 변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어서 접합 신뢰성 불량의 한 원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변색 불량을 장치 비의존적 CIELAB 색좌표를 도입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PCB 샘플을 검사하기 위해 적합한 측정 시스템을 표준 조명과 CCD 카메라를 이용하여 제작하고, 랩뷰 (labview)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Cu 볼 패드의 변색을 검사하기 위한 이미지를 얻는 알고리즘을 제작하였다. 전체 PCB 이미지에서 이진화 (binarization) 및 외곽영역 추적 (edge detection) 영상처리 과정을 통하여 Cu 볼 패드만의 이미지를 획득하고, 장치 의존적인 RGB 색좌표에서 $3{\times}3$ 변환 행렬을 이용하여 CIELAB 색좌표로 변환하는 과정을 거친다. 본 측정 시스템을 이용하여 변색이 발생한 PCB 샘플을 분석한 결과 Cu 볼 패드 만의 이미지를 대상으로 분석하면 연산에 소요되는 시간이 감소하고 측정 시스템의 오인식률을 감소 시킬 수 있음을 실험적으로 증명하였다. 또한 CIELAB 색좌표 중 $L^*$ (밝음-어두움의 정도), $b^*$ (노랑-파랑의 정도)의 두 가지 기준의 조합이 Cu 볼 패드의 변색 검사에 적합한 색좌표로 분석되었다.

영천 신월동삼층석탑의 재질특성과 훼손도 정량평가 (Material Characteristics and Quantitative Deterioration Assessment of the Sinwoldong Three-storied Stone Pagoda in Yeongcheon, Korea)

  • 이정은;이찬희;채성태;정영동
    • 보존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49-360
    • /
    • 2010
  • 영천 신월동삼층석탑(보물 제465호)은 주로 담회색의 정동질 알칼리화강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요 구성광물은 흑운모, 석영, 각섬석, 정장석 및 사장석이다. 이 탑은 기단부의 팔부중상을 중심으로 황갈색 및 흑색 변색이 심하며, 옥개석은 조각된 부분을 중심으로 탈락된 암편 등을 시멘트 몰탈로 보수한 흔적이 많다. 이 석탑의 전면에 걸쳐 적외선열화상분석을 실시한 결과, 미세균열과 박리 및 박락 현상은 심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면 변색 부위에 대한 휴대용 XRF 측정 결과, 변색 지점을 중심으로 Fe(평균 5,599ppm)와 S(평균 3,270ppm) 농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흑색 오염물로 피복된 부위는 Mn 함량(평균 2,155ppm)이 높게 검출되었다. 이는 암석 성분의 유리에 의한 무기오염물과 생물체의 고사에 의한 유기오염물이 공존하는 것이다. 전체적인 물리적 풍화는 북면(42.6%)과 남면(40.5%)에서 높게 나타나며 서면(30.6%)와 동면(34.0%)은 비슷한 훼손 양상을 보였다. 또한 변색 및 생물학적 풍화는 각각 북면(31.8%)과 동면(11.8%)이 가장 심하였다. 따라서 이 석탑은 생물 오염에 대한 세정과 약화된 재질에 대한 보존처리 및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1년 남부지방 차나무 저온 피해 조사 (A Survey Low Temperature Damage of Tea Tree at South Korea in 2011)

  • 황정규;김용덕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46-253
    • /
    • 2012
  • 수분부족과 지속적인 저온현상으로 우리나라 주요 차 생산 지역에 막대한 피해를 입혔는데, 이번 동해는 체내 수분부족으로 잎이 건조되어 퇴색된 녹색을 띄다가 고사하는 청고현상이 먼저 발견되었고, 대부분의 차(茶)재배지역에 피해를 입혔다. 이기간 동안 평균기온은 $0.2^{\circ}C$로 전년대비 $-2.7^{\circ}C$ 낮았고 2011년 01월과 02월의 최저기온의 평균기온은 $-5.6^{\circ}C$로 전년대비 $-4.5^{\circ}C$ 낮았으며, 가장 낮은 기온이 관측된 날은 01월 18일 06시 55분으로 $-11.8^{\circ}C$로 관측되었으며 전년 최저기온 보다 $-5.5^{\circ}C$ 낮게 관측되었다. 2010년 12월부터 2011년 02월까지 월동기간 동안 강우량은 104mm 밖에 되지 않아 전년보다 306mm 적게 내렸다. 색도 측정에서는 모든 지역에서 2012년에 비해 2011년도에서 L, a, b값 모두 높게 나왔고 수분함량 또한 2012년보다 2011년 잎의 수분함량이 낮게 나타났으며, Trypan blue분석에서는 저온 스트레스를 받지 않는 정상 차나무 잎에서는 세포사멸 현상이 거의 관찰되지 않았으나 저온 스트레스를 받은 청고피해 잎은 부분 세포사멸이 되어 부분 염색이 일어났으며, 적고피해 잎에서는 대부분 세포사멸이 일어나 대부분 염색이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Polyethylene Glycol에 의한 수록한지(手漉韓紙)의 광(光) 변색(變色) 억제(抑制) (Control of the Photo-induced Discoloration of the Handmade Korean Paper with Polyethylene Glycol)

  • 전철;박수안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9권2호
    • /
    • pp.161-166
    • /
    • 2000
  • 지류문화재의 소재로 주로 사용되어온 수록한지를 네 종류로 구분하고 이를 PEG 분자량과 농도별에 따른 광 변색 억제 효과를 태양의 분광분포와 거의 흡사한 xenon arc 등(燈)을 조사(照射)해 시험한 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었다. 1) Polyethylene glycol을 분산제로 사용한 미 표백 한지는 광 조사 이후 PEG 분자량과는 관계없이 10시간까지는 백색도가 급속히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그 이후부터는 점진적으로 향상되는 경향을 나타내 광 변색 억제의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2) 약품 표백을 실시한 한지는 20시간 이후부터 백색도가 증가하는 현상이 나타나 시간이 지체될 뿐 변색 억제의 효과는 있음을 알 수 있었다. 3) 황단규근(黃團葵根)을 분산제로 사용해 초지(秒紙)한 한지(韓紙)는 PEG 400-20%에 침지했을 때 백색도가 가장 낮았으나 광 조사 후는 백색도 차가 가장 적어 광 변색 억제효과가 가장 컸음을 알 수 있었다. 4) 광 열화에 의한 표면현상으로 제일 먼저 나타나는 황변(黃變) 현상을 PEG 침지로써 억제할 수 있음을 b*+값이 감소하는 것으로 알 수 있었고 명도 저하 역시 L* 값의 증가로 상당량 억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Type II 상아질형성부전증의 임상 증례 (TYPE II DENTINOGENESIS IMPERFECTA : CASE REPORT)

  • 김지현;이제호;최병재;이종갑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654-660
    • /
    • 2001
  • 상아질형성부전증은 유전적인 상아질의 결함으로 치아 발육과정 중 조직분화기에 발생되며 유치와 영구치 모두에서 나타난다. Shields등은 상아질형성부전증을 type I, II, III로 분류하였으며, Witkop에 따르면 1/8000명의 빈도로 이러한 유전적 소인을 갖게 되며, 남녀간의 차이는 뚜렷하지 않다고 한다. 이환받은 치아는 적갈색의 변색과 함께 심한 마모현상으로 인해 구치부 교합면과 전치의 절단면의 법랑질이 파괴되고 그후 급속도로 상아질의 파괴가 뒤따른다. 방사선학적으로 가느다란 치근과 구근상치관, 치경부 협착, 작거나 결손된 치수강이 관찰되고, 유치열에서 치근단병소나 다발성 치근파절이 관찰되기도 한다. 본 증례의 4세 남자환아는 치아색이 이상하다는 것을 주소로 연세대학교 치과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하였다. 치아는 전반적으로 황갈색의 변색과 중등도의 마모도를 보였으며, 방사선 검사 소견에서 치아의 치수강 폐쇄, 구근상치관, 짧은 치근들이 관찰되었다. 가족력상 각 세대마다 환아와 같은 치아변색과 마모의 유전양상이 관찰되었으며, 10세된 환아의누나는 영구치열에 전체적으로 회갈색의 변색과 경도의 마모도를 보였다. 임상 및, 방사선학적 검사소견상 상아질형성부전증으로 판단되어 환아의 손상된 치아에 대해 구치부는 기성금관 수복을, open-faced stainless steel crown으로 치근파절로 인해 발거된 상악 좌측 유중절치를 포함한 손상된 전치부를 수복해 기능적, 심미적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어 이에 보고를 하는 바이다.

  • PDF

치수재혈관화 술식에서 다양한 상아질 접착제가 치아 변색과 칼슘 실리케이트 시멘트의 밀폐 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험실적 연구 (An in Vitro Study of the Effects of Different Dentin Bonding Agents on the Prevention of Tooth Discoloration and the Sealing Ability of Calcium Silicate-Based Cement in Regenerative Endodontic Procedures)

  • 한지은;김기민;이제식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277-291
    • /
    • 2023
  • 본 연구는 치수 재혈관화 과정 중 상아질 접착제 도포 유무 및 종류가 치아 변색과 미세 누출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시편은 사람의 발거된 소구치 120개로 제작하였으며, 상아질 접착제 종류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하였다. Group I. No bonding; Group II. One-Step; Group III. Clearfil SE Bond; Group IV. Single Bond Universal. 각 그룹은 칼슘 규산염계 시멘트인 Endocem MTA® Premixed Regular와 Biodentine의 사용에 따라 Subgroup a와 Subgroup b로 나뉘어 총 8개의 그룹으로 분류되었다. 치관변색 평가를 위해 초진(S0), 항생제 도포 1주(S1), 2주(S2), 4주 경과(S3)와 칼슘 규산염계 시멘트 적용 2주 경과(S4) 각 시점에서 사진을 촬영해 CIE L*a*b*를 측정하였다. 모든 시편은 2% 메틸렌 블루 용액에 침적 후 30배율로 관찰하여 미세누출을 평가하였다. 상아질 접착제 도포는 치관 변색을 감소시켰고, Biodentine은 상아질 접착제의 도포 유무 및 종류와 상관없이 최소한의 변색을 보였다. 또한 상아질 접착제 도포는 미세 누출을 증가시키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