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aster management criteria

검색결과 139건 처리시간 0.032초

교차검증과 SVM을 이용한 도시침수 위험기준 추정 알고리즘 적용성 검토 (Applicability study on urban flooding risk criteria estimation algorithm using cross-validation and SVM)

  • 이한승;조재웅;강호선;황정근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2권12호
    • /
    • pp.963-973
    • /
    • 2019
  • 본 연구는 도시침수 위험기준이 산정되지 않은 지역의 예·경보 기준을 예측하기 위해 유역특성 자료와 피해이력 기반으로 산정된 한계강우량을 활용하여 도시침수 위험기준을 추정하는 모델을 검토하였다. 위험기준 추정모델은 머신러닝 알고리즘의 하나인 Support Vector Machine을 이용하여 설계하였으며, 학습자료는 지역별 한계강우량과 유역특성으로 구성하였다. 학습자료는 정규화 한 후 SVM 알고리즘에 적용하였으며, SVM에 적용시 Leave-One-Out과 K-fold 교차검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절대평균오차와 표준편차를 계산한 후 모델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Leave-One-Out의 경우 표준편차가 작은 모델이 최적모델로 선정되었으며, K-fold의 경우 fold의 개수가 적은 모델이 선정되었다. 선정된 모델의 지속시간별 평균 정확도는 80% 이상으로 나타나 침수 위험기준 추정을 위해 SVM을 활용가능 할 것으로 판단된다.

국내 간호사의 재난간호 역량: 주제범위 문헌고찰 (The Competency in Disaster Nursing of Korean Nurses: Scoping Review)

  • 이은자;양정은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27권2호
    • /
    • pp.153-165
    • /
    • 2021
  • Purpose: The aim of study was to identify ranges of Korean nurses' competency in disaster nursing. Methods: A scoping review was conducted using the Joanna Briggs Institute methodology. The review used information from four databases: RISS, ScienceON, EBSCO Discovery Service, and CINAHL. In this review, key words were 'disaster', 'nurs*', 'competenc*', 'ability' and 'preparedness'.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were identified as strategies to use in this review. The inclusion criteria for this review focused on the following: Korean nurse, articles related to disaster nursing competency, peer-review articles published in the full text in Korean and English. Review articles were excluded. Results: Nineteen studies were eligible for result extraction. A total of 10 categories of disaster nursing competency were identified: Knowledge of disaster nursing, crisis management, disaster preparation, information collection and sharing, nursing record and document management, communication, disaster plan, nursing activities in disaster response, infection management, and chemical, biological, radiation, nuclear, and explosive management.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between Korean nurses' common disaster nursing competency, professional disaster nursing competency, and disaster nursing competency required in nursing practice. Therefore, future research will be needed to explore and describe disaster nursing competency.

재난안전사고 피해특징을 고려한 재난안전사업 투자방향 제시 (Investment Direction of Disaster Safety Projects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Disaster Safety)

  • 허보영;조성은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41-50
    • /
    • 2017
  • Disaster and safety budget can be characterized as a large-scale public asset on which the government has a significant role. It is of a crucial importance to properly allocate the limited national budget to various areas as necessary. Higher investment efficiency of the budget related to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requires distribution criteria based on relevance and efficiency. Currently, the budget related to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is orchestrated through the prior consultation system. However, there is still no clear framework for reviewing the investment direction and setting the priority investment areas by prior consultation. This study analyzes the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projects by damage type and proposes a structured system for prioritization. This framework can be useful in selecting the areas that need priority investments by damage type of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projects, thereby contributing to improving investment efficiency.

복합 유해 가스 센서 기반의 조기 경보 시스템을 위한 재난 전조 감시 기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onitoring Criteria of Disaster Signs for Early-warning System based on Multiple Hazardous Gas Sensor)

  • 한규상;박소순;윤인섭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8-35
    • /
    • 2013
  • 대도시 내에 밀집하여 증가하고 있는 대형 복합 건축물은 그 규모와 복잡성으로 인해 유해가스 관련 사고발생시 대형 재난으로의 확대 가능성이 상존한다. 이에 대한 대응책으로, 다종의 유해가스를 감지하는 복합 가스 센서와 이로부터 수집한 정보를 활용한 조기 경보 시스템이 연구되고 있다. 이와 같은 센서 기반 재난 전조 감시 시스템의 효과적인 적용과 운영을 위해서는 적합한 기준이 먼저 마련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유해가스의 감지와 조기 경보 발령을 위한 경보 기준 농도를 제시하고, 각 경보 단계별로 대응 활동과 정보 전파 등 재난 대응 체계를 제안하였다. 재난 감시 기준을 통해 유해가스 관련사고 발생 시 조기에 위험을 감지하여 사고의 경과에 따라 효과적인 대응을 이끌어 낼 수 있다.

소형 및 실규모 급경사지 실험을 통한 계측관리기준 개발을 위한 실험적 연구: 모관흡수력을 기준으로 (Experimental Study on Establishing Measurement Management Criteria for Soil Slope Failure by Using Reduction-Scale and Full-Scale Slope Experiments: Based on Matric Suction)

  • 송효성;이영학;이승재;김재정
    • 지질공학
    • /
    • 제33권4호
    • /
    • pp.555-571
    • /
    • 2023
  • 우리나라는 연평균 강수량의 70%에 달하는 여름철 강우로 인해 산사태가 자주 발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피해 완화를 위해서는 정확한 예측기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화강암 풍화토를 이용하여 소형 및 실규모 실험을 통한 계측관리기준 수립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실험은 모관흡수력을 중점으로 강우 침투로 인한 지반 특성 변화와 사면붕괴 패턴을 분석하였으며, 이 결과를 기초로 불포화 무한사면 안정성 해석을 수행하였다. 안전율이 1 미만으로 떨어지는 조건에서 붕괴도달 시간을 산정한 결과, 소형 실험의 경우 약 17분 전, 실규모 실험의 경우 약 6.5시간 전으로 산사태 예측이 가능한 경향을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화강암 풍화토의 특성을 고려한 계측관리기준을 확립하는데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도시방재성능에 따른 방재성능목표 강우량 산정 연구 (Estimation of Disaster Prevention Target Rainfall according to Urban Disaster Prevention Performance)

  • 정민수;옥영석;이영근;이영섭;박미리;이철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101-110
    • /
    • 2017
  • 소방방재청(현 국민안전처)은 지역별 방재성능목표 설정 기준을 마련하여 방재성능목표 강우량을 제시하고 있으며, 자치단체별 10년 주기로 방재성능목표를 설정하고 있다. 반면에 10년 단위 목표 강우량 재산정은 기후변화에 따른 현재 상태의 강우량 변동을 반영하는데 있어 다소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최신 강우량 자료를 이용한 충남지역 및 대전지역의 확률강우량도를 작성하고 목표 강우량 산정 기준인 도시 특성을 반영한 사회 경제적 기준에 따른 가중치 적용과 상향된 확률강우량 적용 기준에 따른 목표 강우량 산정 및 기존 목표 강우량과 비교 검토를 수행하였다. 확률강우량 산정을 위한 입력자료는 충청남도와 대전 지역 기상청 산하 강우관측소에 위치한 6개 지점을 선택하여 적용하였다. 산정결과 상향된 확률강우량 적용시 일부 유사지역이 나타나는 반면에 상향 또는 하향되는 경우가 적지 않게 발생하였으며, 그 차이도 10mm 미만에서 다소 큰 차이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기후변화에 따른 강우 변동성 및 불확실성을 고려하는 경우 기존 목표 강우량이 현재 상태를 적절히 반영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강우 변동성 및 불확실성 등을 고려한 방재성능 목표 강우량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이와 함께 장래 목표 강우량의 산정기준의 적합성 검토와 함께 설계자를 위한 명확한 기준제시를 통해 현재상태를 반영한 목표 강우량 산정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토사비탈면 표층붕괴 위험 예측을 위한 체적함수비 증가 특성 연구 (Characterization of Increases in Volumetric Water Content in Soil Slopes to Predict the Risk of Shallow Failure)

  • 석재욱;강효섭;최선규;정향선;송효성
    • 지질공학
    • /
    • 제30권4호
    • /
    • pp.485-496
    • /
    • 2020
  • 이 연구에서는 집중호우로 인해 발생하는 토사비탈면의 표층붕괴 징후를 파악하기 위해 체적함수비의 변화특성을 분석하였다. 붕괴가 발생한 조건과 발생하지 않은 조건에서의 체적함수비 변화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실내토조실험과 테스트베드에서 확보한 체적함수비 계측자료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서 확보한 282개의 체적함수비 계측자료를 분석한 결과, 붕괴가 발생한 경우의 체적함수비 증가기울기는 0.072~0.309 범위에 분포하고 붕괴가 발생하지 않은 테스트베드의 경우에는 0.01~0.32의 값을 가져 특정값을 기준으로 붕괴 유무가 구분되지는 않았다. 그러나 체적함수비 증가기울기 값이 높아질수록 붕괴가 발생하는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이를 이용하여 4단계의 경보기준을 제시하였다.

강풍 피해에 따른 피해비용의 효율적인 산정을 위한 분류체계 개발 (Development of Categorization System for Efficient Calculation of Damage Cost according to Strong Wind)

  • 송창영;이종훈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27-132
    • /
    • 2016
  • In this study, the plan to construct a disaster information categorization system that can be objectively and efficiently performed was suggested in order to perform disaster management task systematically. Recently, the damage of natural disasters is gradually growing larger and faster, increasing the economic loss. Especially, as for the domestic storm damage, the damage from strong wind was found to be greater than the damage from torrential rain. Also, strong wind was found to be inflicting a great damage on human life, property and agricultural crops, so the necessity to study damage restoration from strong wind is increasing. Nevertheless, the damage items categorized in the domestic disaster year book are often comprehensive or unclear in criteria, and thus fail to reflect items or matters due to actual disaster damage. It is difficult to aggregate damage accurately such that it does not correspond to the national compensation scope or the damage amount is calculated according to subjective judgment of the investigator in charge. As such, if the disaster information management is inadequate by not applying accurate categorization criteria from damage amount calculation, there can be an issue with fairness when paying the damage support aid.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a categorization plan for objective and efficient execution of disaster information management task in order to resolve such issues. It is expected that quick and efficient execution would be possible in disaster information management and task procedure domestically by constructing systematic categorization system related to disaster information.

업무연속성관리체계(BCMS)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ISO 22301 Plan의 '조직의 이해'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Criteria in the Business Continuity Management System(Focusing on the 'Understanding the organization' in Plan of the ISO 22301) )

  • 정용균;정종수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9권2호
    • /
    • pp.363-371
    • /
    • 2023
  • 연구목적: 본 연구는 BCMS의 정량적 평가체계 도입을 위해 BCMS 분야의 국제표준인 ISO 22301 (2019)의 PDCA(Plan-Do-Check-Act) 요구항목 중 Plan- '조직의 이해' part의 평가지표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20명의 BCMS 분야 전문가 그룹에 수정 델파이 기법을 활용하여 ISO 22301의 Plan- '조직의 이해'의 세부요건의 타당성을 검토하고, 평가지표의 상대적 중요도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효과적인 BCMS 역량평가가 가능하도록 상대적 중요도가 포함된 12개의 평가지표를 개발하여 제안하였다. 결론: BCMS의 정량적인 평가체계 도입을 위해서는 효과적인 평가가 가능하도록 상대적 중요도가 포함된 평가지표를 선별하여야 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재난재해 교육, 대응훈련 모델과 화산재 대비 훈련 시나리오 (Modelsfor Disaster Prevention Education and Training and Scenario for Training on Volcanic Ash Fall)

  • 장은미;박용재;박 경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97-113
    • /
    • 2018
  • Low-frequency geological natural disaster events such as Pohang earthquake have been occurred. As a results, there's a growing recognition on the importance of education and training for low frequency geological disasters in Korea. In spite of many years of scientific researches on volcanic disaster prevention and preparedness on Baekdusan volcano, the results do not provide the proper scenario for the training for volcanic ash event. Fall 3D volcanic ash diffusion model was run based on wind field data for the last five year, assuming Aso Mountain's explosion with volcanic explosion index 5 for seventy two hours. The management criteria values for proper actions in the previous studies were applied to make a scenario for thirteen groups of the disaster response teams such as train transportation, water supply, electrical facilities and human health. The model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 and training for disaster prevention and response were suggested to fulfill the scientific and practical training at local lev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