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aster Reconstruction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23초

Automated 3D Model Reconstruction of Disaster Site Using Aerial Imagery Acquired By Drones

  • Kim, Changyoon;Moon, Hyounseok;Lee, Woosik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671-672
    • /
    • 2015
  • Due to harsh conditions of disaster areas, understanding of current feature of collapsed buildings, terrain, and other infrastructures is critical issue for disaster managers. However, because of difficulties in acquiring the geographical information of the disaster site such as large disaster site and limited capability of rescue workers, comprehensive site investigation of current location of survivors buried under the remains of the building is not an easy task for disaster managers. To overcome these circumstances of disaster site, this study makes use of an unmanned aerial vehicle, commonly known as a drone to effectively acquire current image data from the large disaster areas. The framework of 3D model reconstruction of disaster site using aerial imagery acquired by drones was also presented. The proposed methodology is expected to assist rescue workers and disaster managers in achieving a rapid and accurate identification of survivors under the collapsed building.

  • PDF

재난 후 재건사업의 영향요인에 관한 분석 - 재건접근 단계를 중심으로 - (Analysis of Influencing factors Post-Disaster Reconstruction Projects - Focused on the Reconstruction Approach phase -)

  • 김화랑;이광표;전영준;장현승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3권2호
    • /
    • pp.76-84
    • /
    • 2022
  • 최근 자연재해 발생빈도 증가로 막대한 인적 및 물적 피해가 발생함에 따라 재난관리에 관한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발전적 재건 개념에 관한 중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재건설 시 이에 관한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재난 후 재건설의 재건접근 단계 시 고려되어야 하는 영향요인에 관한 도출과 국외 재난 관련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영향요인별 상대적 중요도 평가와 상관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가장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미래 환경변화에 대한 적응성'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재건사업 수행 시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재난지역의 붕괴지형 3차원 형상 모델링을 위한 스테레오 비전 카메라 기반 드론 개발 (Developing Stereo-vision based Drone for 3D Model Reconstruction of Collapsed Structures in Disaster Sites)

  • 김창윤;이우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33-38
    • /
    • 2016
  • 재난 현장의 붕괴된 건물 아래의 매몰자를 탐지하기 위해서는 구조 업무를 수행하는 인력이나 관리자가 현장의 실제 붕괴 정도 및 현재 상태를 신속하게 파악하여야 구조 업무가 순조롭게 진행될 수 있다. 하지만 붕괴 현장의 경우 사람의 접근 시 추가 붕괴의 위험 등으로 사건이 발생한 부분에 접근이 어려워 현장의 정보를 쉽게 파악하기 어렵다. 또한 제한된 인원으로 인하여 붕괴 현장에 매몰된 사람들의 위치를 파악하는 일 역시 힘든 일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하여 스테레오 비전 카메라를 장착한 무인비행장치 혹은 드론을 활용하여 붕괴지형의 정보를 파악하고자 한다. 스테레오 비전 카메라를 장착한 무인비행장치 제작을 위한 필요 기술 도출 및 제작 방법론 설명을 통해 붕괴지형 정보 획득을 위한 하드웨어 관련 기술을 제시하고자 한다. 다음으로 무인비행장치를 활용하여 획득한 자료를 바탕으로 붕괴지형을 3차원으로 모델링하는 과정을 통하여 본 연구에서 개발한 기기의 활용 가능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Long-Term Wildfire Reconstruction: In Need of Focused and Dedicated Pre-Planning Efforts

  • Harris, William S.;Choi, Jin Ouk;Lim, Jaewon;Lee, Yong-Cheol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9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923-928
    • /
    • 2022
  • Wildfire disasters in the United States impact lives and livelihoods by destroying private homes, businesses, community facilities, and infrastructure. Disaster victims suffer from damaged houses, inadequate shelters, inoperable civil infrastructure, and homelessness coupled with long-term recovery and reconstruction processes. Cities and their neighboring communities require an enormous commitment for a full recovery for as long as disaster recovery processes last. State, county, and municipal governments inherently have the responsibility to establish and provide governance and public services for the benefit and well being of community members. Municipal governments' comprehensive and emergency response plans are the artifacts of planning efforts that guide accomplishing those duties. Typically these plans include preparation and response to natural disasters, including wildfires. The standard wildfire planning includes and outlines (1) a wildfire hazard assessment, (2) response approaches to prevent human injury and minimize damage to physical property, and (3) near- and long-term recovery and reconstruction efforts. There is often a high level of detail in the assessment section, but the level of detail and specificity significantly lessons to general approaches in the long-term recovery subsection. This paper aims to document the extent of wildfire preparedness at the county level in general, focusing on the long-term recovery subsections of municipal plans. Based on the identified challenges, the researchers provide recommendations for better longer-term recovery and reconstruction opportunities: 1) building permit requirements, 2) exploration of the use of modular construction, 3) address through relief from legislative requirements, and 4) early, simple, funding, and the aid application process.

  • PDF

재난복구의 유형과 사전 계획에 대한 이론적 고찰: 미국의 재난복구를 중심으로 (What's the Disaster Recovery? Types and Preimpact Plan of Recovery)

  • 이재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10호
    • /
    • pp.267-273
    • /
    • 2011
  • 이 논문은 재난 복구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재난 복구의 유형화와 사전 복구 계획의 설계에 관한 주요 내용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복구는 재난 발생 직후부터 피해 지역이 재난 발생 이전 상태로 회복 될 때까지의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활동이다. 그리고 복구 단계는 비상대책 기간, 복원 기간, 재건 기간, 개발 재건 기간으로 구분할 수 있다. 복구 대책 또한 구호와 재활 활동으로 이루어지는 단기 복구 대책과 재건 활동으로 이루어지는 장기 복구 대책으로 구분하여 실시하는 것이 요구된다. 그리고 사전 복구 계획을 설계하는 경우, 재난 복구 조직의 명확한 설정과 주요 이해관계자의 확인, 임시 주거지의 위치 선정, 중요한 과업 수행 방식의 사전 결정, 피해자들이 이용당하지 않도록 계약자 허가 부여와 모니터링, 소매가격의 통제, 역사적 유물 유적이 있는 장소에서의 복구 작업 수행 방안, 그리고 복구 기간 동안 재난 피해 완화를 위한 법률 제정의 목표 구현 인식이 요구된다.

동일본대지진과 재해부흥의 공간적 쟁점 -미야기 현(宮城県) 세 도시를 중심으로- (The Spatial Issues of Tsunami Recovery: Case from the Great East Japan Earthquake)

  • 조아라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7권5호
    • /
    • pp.700-717
    • /
    • 2012
  • 이 글은 동일본대지진 피해지의 부흥계획 속에서 제기된 공간쟁점을 분석하여, 그 현황과 전망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지진해일 피해를 입은 시가지 재생에 초점을 두고, 지방도시가 지닌 지역개발의 과제가 이번 진재를 통해 어떻게 전개되는지 고찰하였다. 연구지역에서는 고밀도 도시, 어촌의 집약화, 지속가능한 도시 담론이 재해부흥을 위한 이상적인 방안으로 등장하였다. 그러나 현실적 한계로 인해 공간재편은 장벽에 부딪쳤으며, 재건이 늦어지면서 지역에서는 공동화 현상이 심각해지고 있다. 이는 재해 이후 거의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지역의 쇠퇴를 방지하기 위해서, 응급 복구뿐 아니라 장기적인 부흥을 시야에 넣고 재해연구의 영역이 확대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PDF

포항 지진과 일본 지진관리 업무 비교·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Earthquake Management in Pohang and Japan)

  • 김수란;김혜원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22권3호
    • /
    • pp.193-199
    • /
    • 2018
  • This study aims to create a disaster management system after an earthquake. Japan's earthquake disaster management system, including the Disaster Countermeasures Basic Act, addresses all of the disaster phases of prevention, mitigation, preparedness and emergency response as well as recovery and reconstruction with roles and responsibilities among the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s clearly defined. Korea's earthquake disaster management system are including the Disaster Countermeasures Basic, but when the 9.12 earthquake occurred, problems such as insufficient early response, study on the earthquake lack were revealed. This study conducted a field survey and analyzed coping process after Po Hang earthquake. Therefore, this study have found that Disaster Management Headquarters are operated rapidly. They are coped with urgent safety inspection for damage facilities and soil liquefaction with advanced equipment. And The headquarters interviewed with victims. So they found out What the victims needed. However, when carrying out relief activities, Research of temporary housing and allocation of donations was not rapid. Further, this study have found that earthquake specialists were lack and disaster information transfer was not working. This study will be utilized as fundamental data in planning disaster management system after an earthquake.

재난 지역 다수 조난자 구조를 위한 최적 경로 계획 알고리즘 연구 (A Study on the Optimal Routing Planning Algorithm for Rescue of Multiple Victims in Disaster Area)

  • 김기태;조성진;전건욱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7-23
    • /
    • 2010
  • The large-scale disasters occur to unexpected accidents such as natural disasters(earthquake, typhoon, tsunami, etc.), and human-caused accidents(fire, collapse, terror etc.). Rescue teams perform rescue activities to save many lives in large-scale disaster area.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ose a optimal routing planning for rescue of multiple victims in disaster area. A realistic routing planning with rescue limit time which considers rehabilitation and reconstruction will be suggested in this study. A mathematical programming model and a hybrid genetic algorithm will be suggested to minimize the total spending time. By comparing the result, the suggested algorithm gives a better solution than existing algorithms.

학교 지진피해 최소화를 위한 방재대책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saster Prevention Plan to minimize the School Damage in the Earthquake Disaster)

  • 이병호;조원철
    • 한국재난관리표준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67-73
    • /
    • 2010
  • 학교는 지진재해시 학생 및 교직원의 안전을 확보하고 지역주민의 대피소로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방재교육과 대피소에 필요한 방재기능 및 내진성능을 확보해야 한다. 학생 및 교직원의 지진방재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도덕, 과학, 체육 등 교과과목에 지진방재에 관한 내용을 수록하여 지도하고, 지역주민과 교직원이 학교 방재시설 및 대피소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방재계획과 매뉴얼 개발이 필요하다. 학교시설 내진화 및 내진보강은 내진설계가 적용되지 않은 건축물을 우선적으로 선정하여 철골브레이스와 내진벽체 공법 중심으로 추진하되, 사회적 합의를 위해 노후시설의 개축 등 교육환경 개선사업과 병행해야 한다. 또한, 학교시설을 대피소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필요한 방재시설을 갖추고 방재기능 개선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