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rectory server

검색결과 49건 처리시간 0.029초

모바일 환경에서 vCard 서비스를 위한 웹 에이전트의 설계 및 구현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eb Agents for vCard Service in Mobile Enviromnent)

  • 윤세미;조익성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9D권3호
    • /
    • pp.477-486
    • /
    • 2002
  • vCard는 전통적인 명함 기반의 개인 정보 교환을 위한 전자적인 명함이다. vCard의 정보는 단순한 문자 정보뿐 아니라 그림이나, 회사 로고, 웹 주소와 같은 그래픽과 멀티미디어 같은 정보도 포함한다. 본 논문에서는 일상 생활에서 명함을 교환하듯 휴대폰 환경에서 전자 명함인 vCard를 교환하고 다른 사용자의 vCard를 검색할 수 있는 웹 기반의 vCard 에이전트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웹 에이전트 시스템은 인터넷을 통해 vCard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서버에 접속하여 휴대폰의 웹 브라우저로 보여진 vCard 정보를 검색, 편집하고 다른 사용자와 cCard를 교환한다. 또한 휴대폰은 저장 공간이 제한적이라는 점을 고려하여 사용자의 정보를 담고 있는 XML 문서를 웹 서버에 저장하고 cCard를 교환할 때 개인정보나 XMㄴ 문서를 교환하지 않고 XML 문서가 저장되어 있는 암호화된 디렉토리의 이름을 교환하여 잠재적인 보안 문제를 해결하였다.

단일 공유 메모리를 가지는 다중 프로세서 시스템의 원격 캐시 일관성 유지 프로토콜 (A Remote Cache Coherence Protocol for Single Shared Memory in Multiprocessor System)

  • 김성운;김보관
    • 전자공학회논문지CI
    • /
    • 제42권6호
    • /
    • pp.19-28
    • /
    • 2005
  • 다중 프로세서 구조는 컴퓨터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좋은 방법이다. 물리적으로 분산된 메모리를 단일 공유 메모리 공간으로 제공하는 CC-NUMA(Cache Coherent Non-Uniform Memory Access) 시스템은 다중 프로세서 컴퓨터 시스템으로 널리 사용된다. CC-NUMA는 공유 메모리 지원을 위해 풀맵 디렉토리를 가지며, 빠른 원격 메모리 접근을 위해 원격 캐시 메모리를 사용한다. 본 논문은 CC-NUMA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는 프로세싱 노드 구조와 이러한 구조에 적합한 캐시 일관성 유지 프로토콜을 제안하여, 대량의 프로세서를 이용한 다중 프로세서 시스템의 구성을 용이하게 한다. 끝으로 제안된 프로토콜에 따른 시스템 구현 결과도 제시한다.

경량 사물 인터넷 클라우드를 위한 DB 기반 가상 파일 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a DB-Based Virtual File System for Lightweight IoT Clouds)

  • 이형봉;권기현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3권10호
    • /
    • pp.311-322
    • /
    • 2014
  • 사물 인터넷은 개인, 산업, 공공 분야를 망라하여 각 분야의 말단 기기나 센서에 대한 직접 접근을 추구하는 상시 연결 인터넷 개념이다. 사물 인터넷에서는 실시간 데이터 접근이 가능하고, 디바이스의 데이터 포맷과 구성 형태가 다양하다. 또한, 사물 인터넷 환경에서는 기기 제어를 위한 양방향 통신이 이루어지기도 한다. 이런 관점에서, 사물 인터넷은 주로 인간이 사용하는 데스크톱에서 생성된 데이터가 간단하고 일방적인 인터넷 통신을 통해 서버에 집중되는 기존 인터넷과 대비된다. 이러한 사물 인터넷의 클라우드 혹은 포털 서비스를 위해서는 분산된 디바이스들에 대한 체계적인 명명 서비스와 이들의 다양성을 포용할 수 있는 일관된 접근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파일 관리 프레임이 요구된다. 이 연구에서는 사물 인터넷 구성요소의 속성 정보를 유닉스 스타일의 파일 시스템 뷰로 관리하는 DB 기반 가상 파일 시스템을 구현한다. 구현된 가상 쉘에 로그인한 사용자들은 가상 파일 시스템을 항해함으로써 사물 인터넷 구성요소를 탐색할 수 있고, 유닉스 스타일의 파일 입 출력 API를 이용하여 디바이스에 직접 접근할 수 있다. 구현된 DB 기반 가상 파일 시스템은 디렉터리 체계와 분산된 데이터 및 디바이스에 대한 지시자만을 관리하므로 가볍고 유연하다. Mkdir(), chdir() 등 구현된 주요 가상 쉘 프리미티브에 대한 시험 결과, 구현된 가상 파일 시스템의 원활한 기능이 검증되었다. 그리고 구현 파일 시스템에 간단한 디렉터리 캐시 기법을 적용한 경우 윈도우 운영체제 파일 시스템보다 더 우수한 탐색 성능을 보였다.

WebSHArk 1.0: A Benchmark Collection for Malicious Web Shell Detection

  • Kim, Jinsuk;Yoo, Dong-Hoon;Jang, Heejin;Jeong, Kimoon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11권2호
    • /
    • pp.229-238
    • /
    • 2015
  • Web shells are programs that are written for a specific purpose in Web scripting languages, such as PHP, ASP, ASP.NET, JSP, PERL-CGI, etc. Web shells provide a means to communicate with the server's operating system via the interpreter of the web scripting languages. Hence, web shells can execute OS specific commands over HTTP. Usually, web attacks by malicious users are made by uploading one of these web shells to compromise the target web servers. Though there have been several approaches to detect such malicious web shells, no standard dataset has been built to compare various web shell detection techniques. In this paper, we present a collection of web shell files, WebSHArk 1.0, as a standard dataset for current and future studies in malicious web shell detection. To provide baseline results for future studies and for the improvement of current tools, we also present some benchmark results by scanning the WebSHArk dataset directory with three web shell scanning tools that are publicly available on the Internet. The WebSHArk 1.0 dataset is only available upon request via email to one of the authors, due to security and legal issues.

모바일 에드 혹 네트워크 상의 신뢰성 있는 P2P 파일 공유를 위한 BU-Chord 메커니즘 (BU-Chord Mechanism for Reliable P2P File Sharing over MANET)

  • 정홍종;송점기;김동균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1권4B호
    • /
    • pp.333-343
    • /
    • 2006
  • MANET과 P2P응용 모두 고정된 인프라에 의존하지 않고, 각 노드들의 동작만으로 전체 네트워크를 유지한다. 이러한 공통적인 특징을 바탕으로, P2P 응용을 MANET상의 대표적인 응용의 사례로 볼 수 있다. 여러 P2P 구조들 중에서 중앙의 인덱스 서버를 사용하는 방식의 경우 신뢰성 있는 노드가 필요한데 MANET의 특성상 신뢰성있는 노드를 찾을 수 없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완전 분산형의 신뢰성 높은 P2P 검색을 위해 DHT기반의 P2P 색인 프로토콜인 Chord를 사용한 P2P 파일 공유 응용을 설계하였다. Chord는 공유할 파일의 key들을 네트워크 전체에 분산하여 저장하고 이를 검색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하지만 Chord 색인 프로토콜을 노드들의 가입과 탈퇴가 빈번히 발생하는 MANET환경에 적용할 경우 노드가 탈퇴할 때 그 노드가 저장하고 있던 key들이 손실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임의의 네트워크를 떠나는 노드가 네트워크가 떠나는 상황을 인식하고, 그 노드가 저장하고 있던 key들을 복구하여 지속적인 P2P 색인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하는 BU-Chord 메커니즘을 제안한다.

Open Source GIS를 이용한 고해상도 영상의 Tile Map Service 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ile Map Service of High Spatial Resolution Image Using Open Source GIS)

  • 정명훈;서용철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67-174
    • /
    • 2009
  • Tile Map Service는 정적인 이미지들을 모아둔 저장소를 이용하여 매우 빠르게 지도 서비스를 수행하는 서비스이다. 지도 이미지 저장소는 특정 축척별로 지도 영역을 Tile 이미지로 저장한 디렉토리 구조이다. 따라서 디렉토리 구조로부터 이미지를 불러오는 것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서 지도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직접 생성하는 것보다 훨씬 시간 단축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Tile Map Service를 이용하면 사용자가 복잡한 지도를 생성할 때 획기적으로 지도 생성 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와 성능 향상을 위한 제반 노력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논문은 Open Source GIS를 사용하여 고해상도 영상의 Tile Map Service 시스템을 구축하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Open Source GIS중 GDAL(Geospatial Data Abstraction Library)을 사용하여 Tile Map Image를 생성하였으며, OpenLayers를 이용하여 웹브라우저를 통한 서비스를 구축하였다. 또한 Tile Map Service 시스템을 구축 한 후 전통적인 방식으로 지도 렌더링을 수행하는 시스템과 성능테스트를 수행하여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수행 결과 본 연구를 통하여 제안된 방법으로 고해상도의 영상 데이터를 상용소프트웨어의 도입 없이 고가용성의 Tile Map Service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었다.

  • PDF

적응형 사용자 프로파일기법과 검색 결과에 대한 실시간 필터링을 이용한 개인화 정보검색 시스템 (PIRS : Personalized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using Adaptive User Profiling and Real-time Filtering for Search Results)

  • 전호철;최중민
    • 지능정보연구
    • /
    • 제16권4호
    • /
    • pp.21-41
    • /
    • 2010
  • 본 논문은 다양한 사용자의 개인적 검색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기존 검색시스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의 묵시적 피드백을 이용한 적응형 사용자 기호정보 기반의 개인화 검색을 실현하고, 검색결과에 대한 실시간 필터링을 통해 사용자에게 적합한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기존의 검색 시스템들은 검색의도의 불확실성 때문에 사용자의 검색실패율이 높다. 검색 의도의 불확실성은 동일한 사용자가 "java"와 같은 다의어에 대해 동일한 질의어를 사용하더라도 다른 검색 결과를 원할 수 있다는 것이며, 단어의 수가 적을수록 불확실성은 가중될 것이다. 실시간 필터링은 사용자의 도메인 지정여부에 따라 주어진 도메인에 해당하는 웹문서들만 추출하거나, 적절한 도메인을 추론하고 해당하는 웹문서들만 검색 결과로 보여주는 것으로, 일반적인 디렉토리 검색과 유사하지만 모든 웹문서에 대해 이루어진다는 것과 실시간으로 분류된다는 것이 다르다. 실시간 필터링을 개인화에 활용함으로써 검색 결과의 수를 줄이고 검색만족도를 개선했다. 본 논문에서 생성한 기호정보파일은 계층적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황정보의 반영이 가능하기 때문에 의도의 불확실성을 해결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도메인별 웹문서 검색 동작을 효과적으로 추적(track) 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기호 변화를 적절하게 알아낼 수 있다. 각 사용자 식별을 위해 IP address를 사용했으며, 기호정보파일은 사용자의 검색 행동에 대한 관찰을 기반으로 지속적으로 갱신된다. 또한 사용자의 검색결과에 대한 행동 관찰을 통해, 사용자 기호를 인지하고, 기호정보를 동적으로 반영했으며, 검색결과에 대한 만족도를 측정했다. 기호정보파일과 반영비율은 사용자가 검색을 수행할 때 시스템에 의해 생성되거나 갱신된다. 실험결과 적응형 사용자 기호정보파일과 실시간 필터링을 함께 사용함으로써, 상위 10개의 검색결과 중 평균 4.7개의 결과들에 대해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구글의 결과에 비해 약 23.2% 향상된 만족도를 나타내었다.

비콘과 딥러닝 기술을 활용한 전자출입명부 자동등록시스템 (An Automatic Access Registration System using Beacon and Deep Learning Technology)

  • 허지원;엄성용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4호
    • /
    • pp.807-812
    • /
    • 2020
  • 전 세계적으로 감염이 확산되고 있는 코로나19 바이러스의 확산 방지 및 효과적인 추적 관리를 위해 정부에서는 공공시설에 대한 전자출입명부 시스템 도입을 의무화하고 있다. 초기에는 수기로 명부를 작성하는 불편함이 컸으나, 최근에는 QR 코드를 활용한 전자출입명부 작성 시스템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QR 코드 생성을 위한 절차가 다소 번거로운 측면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QR 코드 생성이 불필요한 새로운 방식의 전자출입명부 작성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에서는 딥러닝 기술로 구현된 마스크 착용 판별기와 비접촉 온도계를 활용하여 감염 의심 방문자를 효과적으로 통제한다. 또한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인 비콘과 방문자의 스마트폰 앱을 연동하여 시설 출입자의 기본 정보를 서버를 통해 질병관리청에 자동 등록되도록 한다. 한편,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서버에 등록된 방문자 출입 정보는 암호화되어 보관되며, 최대 4주 후 자동 폐기된다. 제안된 시스템은 전 세계적으로 높은 확산세를 기록하고 있는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한 대응은 물론 기타 신종감염병 확산 방지 및 대응에도 매우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ENUM 디렉터리 서비스 설계 및 성능 평가 (Design and Performance Analysis of EU Directory Service)

  • 이혜원;윤미연;신용태;신성우;송관우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정보통신
    • /
    • 제30권4호
    • /
    • pp.559-571
    • /
    • 2003
  •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과 IP Network의 연동을 제공하는 새로운 프로토콜 ENUM(tElephone Numbering Mapping)은 전 세계적으로 유일성을 가지는 전화번호를 DNS 기반의 구조에서 사용되는 F.Q.D.N.(Fully Qualified Domain Name)으로 변환함으로써 E.164 번호를 사용하여 PSTN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와 IP 네트워크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동시에 사용 가능케 하는 새로운 인터넷 주소체계이다. 본 논문에서는 미국과 유럽에서 활발히 진행중인 ENUM 모델 표준화 연구 및 개발에 발맞추어 ENUM 기반의 서비스를 사용할 때 ENUM resolution 성능 향상을 위한 Tier 2 네임서버 관리기법을 제시한다. ENUM 위임구조에서 Tier 2 네임서버 제공업자가 지역번호 별로 ENUM 등록 대행업 및 NAPTR RR(Naming Authority PoinTeR 리소스 레코드)을 제공함으로써 ENUM resolution의 성능이 향상됨을 증명하기 위해 ENUM 기반의 네트워크 모델링을 사용하였다. ENUM 프로토콜이 IP 네트워크 사용자와 PST리 사용자에게 유연성 및 편의성을 제공하는 반면 사용자가 ENUM을 사용할 때 지불해야할 인내력을 측정할 척도가 없는 현재 이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사용자의 ENUM 서비스 선택 결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ENUM Tier 2 네임서버 관리를 위한 정책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