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isocyanate

검색결과 309건 처리시간 0.022초

UN GHS 기준에 의한 국내 건강.환경유해성 분류기준 및 분류결과의 통일화 방안 연구 (Study on the Harmonization of Health and Environmental Hazard Classification Criteria and Its Results Based on the UN GHS)

  • 이권섭;이종한;송세욱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40-148
    • /
    • 2012
  •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provide harmonized guidelines on health and environmental classification criteria and its results of chemicals in Korea. Methods: Firstly, The history of GHS implementation in UN and Korea was reviewed. Secondly, the differences in classification criteria on health and environmental hazards among UN GHS and two Korean government agencies, Korea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ur (KMoEL) and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al (KMoE). The classification results were compared between classifications of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KOSHA) based on KMoEL and classifications of Korea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KNIER) based on KMoE. Finally, an inter-agency harmonization on the classification criteria and the results was suggested by comparing the classification results of 5 chemicals; Benzene, carbon disulfide, formaldehyde, toluene-2,4-diisocyanate, and trichloroethylene. Results: KMoEL and KMoE revised regulations on chemical management and published a Notices on GHS classification criteria according to UN GHS document. However, the hazard to the ozone layer contained in the latest edition of UN GHS document published in 2011 was not included yet. The differences in classifications of 5 chemicals between KOSHA and KNIER were 36.2% in health hazards and 23.4% in environmental hazards, respectively. In conclusion, we suggested that a new revision be needed to include newly contained hazard and inter-agency working party be organized to harmonize classification results.

산업안전보건법에 의한 관리대상 유해물질 선정의 타당성 연구 (Study on the Validity of Selection of Hazardous Substances Requiring Management on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Act)

  • 이권섭;조지훈;최진희;신현화;양정선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39-152
    • /
    • 2009
  • According to the third study on the distribution of chemical substances carried out by the Department of Environment in 2006, there were a total of 900 chemical substances whose respective annual usage amount exceeded 1,000 tons and, among them, 90 substances belonged to the 168 hazardous substances requiring management(53.6%). The work-related illnesses caused by hazardous substances requiring management in Korea between $1992{\sim}2005$ can b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chemical substances. These four groups are 23 organic substances including benzene, 12 metals including lead, 3 acids and bases including hydrogen chloride, and 6 gaseous substances including carbon monoxide. These hazardous substances requiring management were again classified depending on the threshold limit values. The chemicals whose TLV was lower than or equal to 0.005 ppm included 4 organic substances including methylene bisphenyl isocyanate and toluene-2,4-diisocyanate (TDI). The chemicals whose TLV was larger than 51 ppm included 22 organic substances including diethyl ether and 1,2-dichloroethylene. When we classified these hazardous substances requiring management according to the categories of GHS health hazards, we found that isobutyl acetate and magnesium oxide didn't belong to the 13 health hazard categories. Among the substances whose TLV is set and whose annual usage amount is more than 0.1 million ton, we recommended 12 chemical species including 4,4'-Methylenedianiline as new hazardous substances requiring management. All the recommended substances were found to be hazardous when we classified their health hazards.

자동차 시트용 폐폴리우레탄의 해중합 (Depolymerization of Waste Polyurethane from Automotive Seats)

  • 민성진;공승대;윤철훈;강안수;엄재열;신판우;이석우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03-110
    • /
    • 2001
  • Resource recovery and recycling of materials and products, including polyurethanes is viewed as a necessity in today's society. Most urethane polymers are made from a polyol and a diisocyanate. these and be chemicals such as water, diamines or diols that react with isocyanate groups and add to the polymer backbone. The problems of recycling polyurethane wastes has major technological, economic and ecological significance because polyurethane itself is relatively expensive and its disposal whether by burning is also costly. In general, the recycling methods for polyurethane could be classified as mechanical, chemical and feedstock. In the chemical recycling method, there are hydrolysis, glycolysis, pyrolysis and aminolysis. This study, the work was carried out glycolysis using sonication ant catalyzed reaction. Different kinds of recycled polyols were produced by current method(glycolysis), catalyzed reaction and sonication as decomposers and the chemical properties were analyzed. The reaction results in the formation of polyester urethane diols, the OH value which is determined by the quantity of diol used for the glycolysis conditions. The glycolysis rates by sonication for the various glycols, increased as fallows: PPG

Polyamide4(PA4)-Polyurethane(PU)-PA4 삼블록 공중합체의 제조 및 특성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olyamide4(PA4)-Polyurethane(PU)-PA4 Triblock Copolymers)

  • 박기완;김동현;김형중
    • 폴리머
    • /
    • 제38권1호
    • /
    • pp.9-15
    • /
    • 2014
  • Methylene diphenyl diisocyanate(MDI)와 poly(tetramethylene glycol)(PTMG)로부터 양말단에 isocyanate(NCO) 작용기를 가진 polyurethane(PU) prepolymer를 제조한 다음 이를 개시제로 하고 potassium pyrrolidonate를 촉매로 하여 2-pyrrolidone을 음이온 개환중합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양 끝에 polyamide4(PA4)가 단단한 블록이 되고 PU가 부드러운 블록이 되는 PA4-PU-PA4 형태의 삼블록 공중합체를 합성하였다. 그리고 공중합체내 각각 PA4 블록과 PU 블록의 분자량을 변화시켜 이들의 변화가 여러 가지 성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PA4 블록으로 인해 원래의 PU 탄성체보다 용융온도($T_m$)는 크게 상승하였고 PA4 블록의 분자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 탄성률과 인장강도는 크게 증가하였다. 한편, PU 블록의 분자량이 증가되면 파단신율이 증가하였지만 초기 탄성률과 인장강도는 감소하는 전형적인 블록 공중합체형 탄성체의 성질을 나타냈다.

겔화 반응 시간 조절을 통한 상온에서의 폴리우레탄 폼 합성 (Synthesis of Polyurethane Foam at Room Temperature by Controlling the Gelling Reaction Time)

  • 이호준;오충익;;김소연;한영준;오민석;주형욱;장수호;홍승범
    • 공업화학
    • /
    • 제31권6호
    • /
    • pp.630-634
    • /
    • 2020
  • We developed a processing recipe to synthesize flexible polyurethane foam with a pore size of 335 ± 107 ㎛. The gelling reaction time was varied from 0 to 30 minutes and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foam were evaluated. The gelling reaction where the polypropylene glycol and tolylene 2,4-diisocyanate (TDI) were reacted to form urethane prepolymer, proceeded until a chemical blowing agent, deionized water, was introduced. Fourier transform infrared (FT-IR) spectra showed that the composition of the foam did not change but the foam height reached a peak value when the gelling reaction time was 10 minutes. We found that increasing the gelling time lessened the coalescence and helped the formation of cells. Lastly, the repeatability of polyurethane foam was confirmed by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by synthesizing ten identical polyurethane foams under the same experimental conditions, including the gelling reaction time. Overall, the new time parameter in-between the gelling and blowing reactions will give extra stability in manufacturing identical polyurethane foams and can be applied to various polyurethane foam processes.

Lamb Leather용 Caster Oil 기반 수분산 바이오 폴리우레탄필름의 제조 (Analysis of Properties of Water-Dispersed Bio-Polyurethane Based on Caster Oil for Lamb Leather Surface)

  • 이주엽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61-168
    • /
    • 2022
  • 피마자 기반 수성 폴리우레탄(CPUD)을 얻기 위해 무 변성 피마자유 (CO) 와 투명 필름을 얻기 위해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IPDI)를 사용했다. 유연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폴리프로필렌글리콜(PPG)의 혼합 효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사슬연장제로 에틸렌다이아민(EDA)을 사용했다. 각각 피마자유 함유에 따른 변화와 사슬연장제 변화에 따른 인장강도, 연신율 내마모성을 측정했다. 피마자유 함유가 많은 시료의 인장강도가 1.112kgf/㎟, 연신율 88%로 나타났으며, 사슬연장제 함유가 많은 시료의 인장강도가 3.33kgf/㎟, 연신율 99%로 측정되었다. 표면강도는 SEM을 통해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다양한 접착제로 제조한 단열재용 저밀도섬유판의 특성(II) - 폼알데하이드·총휘발성유기화합물 방출 특성 및 연소 형상 - (Characteristics of Low Density Fiberboards Bonded with Different Adhesives for Thermal Insulation (II) - Formaldehyde·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s Emission Properties and Combustion Shapes -)

  • 장재혁;이민;강은창;이상민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5호
    • /
    • pp.580-587
    • /
    • 2017
  • 목섬유 단열재는 친환경 고단열성에 기인하여 저에너지 및 쾌적하고 안전한 주거 공간 형성을 위한 핵심 건축재료로 고려된다. 본 연구에서는 서로 다른 접착제로 제조한 단열재용 저밀도섬유판의 폼알데하이드(HCHO) 총휘발성유기화합물(TVOC) 방출 및 화염에 의한 연소 형상을 조사하였다. 멜라민 요소 폼알데하이드(MUF), 페놀 폼알데하이드(PF), emulsified methylene diphenyl diisocyanate (eMDI) 및 라텍스 수지 접착제 등으로 제조한 저밀도섬유판 4종의 HCHO TVOC 방출 특성 및 연소 형상은 각각 챔버법과 화염실험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MUF, eMDI, 라텍스 수지 접착제로 제조한 저밀도섬유판들은 Super $E_0$급의 우수한 HCHO 저방출 성능을 나타냈다. 반면 PF 수지로 제조된 저밀도섬유판은 $E_0$급 성능을 나타내었다. TVOC 방출량은 모든 저밀도섬유판이 국내 실내공기질 기준(이하 $400{\mu}g/m^2{\cdot}h$)을 만족하였으며, 기존 석유계 합성원료 기반의 단열재보다 낮은 수치를 나타냈다. 그중에서도 특히 eMDI 수지 접착제로 제조한 경우에서는 HCHO 및 TVOC 방출량이 각각 $0.14mg/{\ell}$, $12{\mu}g/m^2{\cdot}h$로 가장 낮게 측정되었다. 그러나 eMDI로 제조한 저밀도섬유판에서 방출된 VOC의 성분을 조사한 결과, 톨루엔 성분($3{\mu}g/m^2{\cdot}h$)이 소량 검출되었다. 화염에 의한 연소시험에서는 MUF 수지 접착제로 제조한 저밀도섬유판이 다른 경우에 비하여 연소 후 비교적 가장 양호한 형상을 나타내었다. HCHO 및 TVOC 방출 특성, 연소 형상을 고려하였을 때 단열재용 저밀도섬유판은 MUF 수지 접착제가 가장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금속코팅용 광경화 코팅필름의 물성에 대한 아크릴산(Acrylic acid)의 영향 (Effect of Acrylic Acid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UV-cured Coating Films for Metal Coating)

  • 서종철;최준석;장의성;서광원;한학수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9권1호
    • /
    • pp.75-82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스테인레스 스틸(stainless steel)의 표면 코팅용 광경화 필름 개발을 위하여 isophorone diisocyanate (IPDI), polycaprolactone triol(PCLT), 2-hydroxyethyl acrylate(HEA), 그리고, 희석제로서 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 (TMPTA)와 acrylic acid(AA)의 첨가비율을 달리한 광경화형 poly(urethane acrylate-co-acrylic acid)(PU-co-AA) 필름을 성공적으로 제조하였으며, 제조한 PU-co-AA 필름의 모폴로지, 접착특성, 기계적 특성, 전기적 특성 등에 대한 AA 첨가량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모든 PU-co-AA 필름은 비정형 구조를 나타내었으나, AA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분자 규칙 및 패킹밀도는 감소하였다. 접착특성은 AA 함량 50% 이상에서는 접착력 5B 수준으로 스테인레스 스틸에 대한 우수한 접착특성을 나타내었으며, AA 함유량이 0%에서 66%까지 증가함에 따라 Pull-off strength법 접착력은 6~31 $kg_f/cm^2$ 로 선형적으로 증가하였다. 광경화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의 접착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유연한 사슬구조와 2관능기를 가진 AA의 도입은 다관능기의 TMPTA의 높은 가교밀도를 줄임으로써 효과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AA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접촉각의 감소와 젖음성의 향상을 확인하였다. 한편, 유연한 사슬 및 곁사슬 -COOH를 가진 AA의 도입은 규칙성 및 패킹밀도의 감소를 나타내며, 이는 PU-co-AA 필름의 경도 저하를 나타내며, 또한 AA의 분자 내의 작용기 -COOH는 고분자 필름 내의 분극현상을 증가시킴으로써 유전상수의 증가 경향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PU-co-AA 필름의 물리적 특성은 첨가한 AA의 함량에 크게 의존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광경화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에 아크릴산 AA의 도입은 사슬의 유연성 증가와 가교밀도의 감소 영향으로 스테인레스 스틸과의 접착력을 향상시키는데 매우 효과적인 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카보네이트형 폴리우레탄막을 이용한 에탄올 수용액의 투과증발분리 II. 음이온성기에 의한 영향 (Pervaporation Separation of Ethanol Aqueous Solution through Carbonate-type Polyurethane Membrane II. The Effect of Pendent Anionic Group)

  • 한인기;오부근;이영무;노시태
    • 공업화학
    • /
    • 제3권4호
    • /
    • pp.595-604
    • /
    • 1992
  • 음이온기를 갖는 카보네이트형 폴리우레탄을 NCO-말단 프레폴리머법으로 제조하여 이를 제막하고 에탄올수용액분리 성능을 검토하였다. 우레탄수지의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카보네이트형 폴리올(PTMCG)을 사용하였고, 친수성 향상에는 사슬연장제로 ${\alpha}^{\prime},{\alpha}^{{\prime}{\prime}}$-dimethylpropionic acid를 이용하였으며, trimethylamine으로 우레탄 사슬내의 카르복실기를 이온화시켰다. 우레탄 사슬내의 음이온기 형성을 확인하기 위해 모델반응을 실시하여 IR 분광분석을 행하였으며, 합성한 우레탄수지의 IR 스펙트럼과 비교하였다. 사슬연장제와 폴리올의 반응몰비율이 3:1에서 5:1인 범위에서는 hard segment의 농도, 수소결합 등이 우레탄수지의 물성을 기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DSC에 의한 열분석결과 카르복실기를 함유한 카보네이트형 폴리우레탄수지(PU)는 $Tg-25^{\circ}C$ 및 Tm $45^{\circ}C$의 값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이온화하여 사슬내에 음이온성기를 갖게한 카보네이트형 폴리우레탄수지(APU)의 경우 PU 수지보다 $8{\sim}10^{\circ}C$ 정도씩 낮은 온도 영역으로 전이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PU 및 APU 수지를 용매로 N, N-dimethylformamide(DMF), 가교제로 hexamethylene diisocyanate(HMDI)를 사용하여 캐스팅법으로 투과증발막을 제조하였다. 팽윤도 측정결과 혼합물중 에탄올농도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가교를 통하여 막의 팽윤도를 조절하였으며, 이를 투과증발에 응용한 결과 선택도 2.3~9.8, 투과유량 $27{\sim}79.5g/m^2hr$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폴리올의 분자량을 2,000에서 1,000으로 줄임으로 분리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 PDF

플라스틱 안경렌즈용 초고굴절 모노머 합성 및 이를 이용한 안경렌즈 제조 (Synthesis of Ultra High Refractive Index Monomer for Plastic Optical Lens and Its Ophthalmic Lens Preparation)

  • 장동규;김종효;이수민;노수균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6
    • /
    • 2008
  • 목적: 플라스틱 안경렌즈용 모노머 소재는 거의 전량이 선진국으로부터 국내안경관련 업체가 수입해오고 있는 실정이며 FTA 대비 및 침체되어 가고 있는 안경관련 산업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플라스틱 안경렌즈 관련 재료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안경렌즈용 소재의 수입대체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새로운 플라스틱 안경렌즈의 모노머 소재 개발이 절실히 필요하다. 본 연구는 새로운 우레탄계 초고굴절률 플라스틱 안경렌즈 모노머 수지를 합성하고 이를 이용한 안경렌즈 제조한 후, 안경렌즈의 특성을 연구하고자 한다. 방법: 초고굴절용으로 사용가능한 안경렌즈 수지인 ETS-4(2-(2-mercaptoethylthio)-3-{2-[3-mercapto-2-(2-mercaptoethylthio) propylthio]ethylthio}propane-1-thiol)를 합성하고, 이 물질의 확인 및 특성을 연구하기 위해 원소분석, EI-MS, TGA, FT-IR 분광기, ^1H$$^{13}C$ NMR 분광기 등을 이용하였고 모노머 수지와 디이소시아네이트를 혼합하여 균일하게 섞은 후, 안경몰드에 케스팅하고 가열경화하여 얻은 안경렌즈의 광학적인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굴절률 및 아베수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합성하고자 하는 소재는 원소분석, EI-MS, TGA, FT-IR 분광기, ^1H$$^{13}C$ NMR 분광기 등의 측정에서 얻은 결과에 의하면 합성되었다는 확인하였고, 합성물질은 세 가지의 이성질체의 존재를 $^{13}C$ NMR 분광법으로 확인 할 수 있다. 아베굴절계로 측정한 액상 상태의 모노머 굴절률은 1.647이었다. ETS-4 모노머 및 디이소시아네이트 종을 이용하여 제조한 안경렌지의 생지는 무색투명하며, 생지의 굴절률은 1.656~1.680 이었다. 결론: 새로운 초고굴절용 플라스틱 안경렌즈의 모노머를 합성하고, 그 물질의 구조 및 특성을 연구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플라스틱 안경렌즈는 무색투명하며 특성이 우수하여 상업화가 가능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