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gital literacy education

검색결과 229건 처리시간 0.032초

우리나라 성인들의 뉴스 리터러시 수준 분석: 디지털 미디어를 기반으로 한 뉴스 이용 행태를 중심으로 (Analysis of Korean Adults' News Literacy Level: Focusing on News Use Behavior Based on Digital Media)

  • 양길석;서수현;옥현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5호
    • /
    • pp.23-30
    • /
    • 2021
  • 디지털 미디어 시대로의 전환에 따라 디지털 미디어를 통한 뉴스의 수용, 생산, 공유 능력(뉴스 리터러시)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지만, 우리나라 성인들의 뉴스 리터러시 수준에 대한 진단과 뉴스 리터러시 향상 방안에 대한 논의는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언론진흥재단의 '2020 언론수용자 조사'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배경변인(도시화 정도, 성별, 연령, 학력)에 따른 우리나라 성인들의 뉴스 리터러시 수준을 분석하고 뉴스 리터러시 관련 활동의 양과 뉴스 리터러시 수준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우리나라 성인들의 뉴스 리터러시 수준은 전반적으로 높지 않았으며 집단 간 차이도 두드러졌다. 또한, 뉴스 리터러시 관련 활동의 양과 뉴스 리터러시 수준 간의 상당한 관련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성인 전반의 뉴스 리터러시 향상을 촉진하기 위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점, 한정된 자원의 효율적 배분을 위해 성인 학습자의 배경변인에 따라 뉴스 리터러시 교육 지원의 우선순위를 결정할 필요가 있다는 점, 우리나라 성인들의 뉴스 리터러시 수준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해 나갈 필요가 있다는 점 등을 제언하였다.

인문학 기반 데이터 리터러시 모형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sign of Data Literacy Model Based on Digital Humanities)

  • 한상우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79-195
    • /
    • 2020
  • 데이터의 중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최근 데이터 리터러시가 중요한 개념으로 등장하였다. 본 연구는 인문학 기반 데이터 리터러시 모형을 설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데이터 리터러시 관련 연구를 분석하여 도출한 데이터 리터러시 세부 역량과 디지털 인문학 교육 프로그램의 주요 내용을 분석하여 인문학의 주요한 교육 내용을 결합하여 데이터 리터러시 모형을 설계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인 데이터 리터러시 모형을 적용하여 대학에서 데이터 리터러시 교과 운영시 적용이 가능할 것이며, 향후 데이터 리터러시의 효과성을 평가하는 후속연구를 제안하고자 한다.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의 자기진단 평가도구 개발 (Development of Self Assessment Tool for Digital Literacy Competence)

  • 양길석;서수현;옥현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7호
    • /
    • pp.1-8
    • /
    • 2020
  • 이 연구에서는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이 현재와 미래사회를 대비한 핵심역량의 하나라는 판단 하에 이를 자가진단하거나 교육용 프로그램에서 효과성 검증의 도구로 활용할 수 있도록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의 자기보고식 평가도구를 개발하였다.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에 대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2개 영역, 8개 구인, 총 45개 문항으로 구성된 도구를 구성하였다. 약 3천 명의 중학생을 대상으로 평가를 실시한 후 적합성 판단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전반적으로 만족할 만한 수준이었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평가도구는 일차적으로 초중등학교 및 성인교육 분야에서 활용 가능하다. 이 도구를 토대로 후속 연구를 통해 누구나 온라인으로 접근 가능하도록 시스템을 개발하고 축적된 데이터를 통해 각 개인의 자기계발에 필요한 교육 정보를 제공한다면 우리 국민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본다.

초등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mpetence for Digital Literacy of an Elementary School Pupils)

  • 김선태;남영호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151-161
    • /
    • 2008
  • ICT 활용은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수준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학생들에게 창의성, 팀워크, 비판적 사고, 독립적 학습 및 학습 동기 개발에 있어서 긍정적 효과를 제공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경상남도 초등학생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을 조사 분석하고, 서울시 초등학생들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경상남도 초등학생들은 사회 문화 리터러시 역량이 가장 높았으며, 정보 기술 리터러시 역량이 가장 낮았다. 경상남도 초등학생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은 서울시 초등학생들의 역량과 차이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The Development of Digital Age Literacy: A Case Study in Indonesia

  • MUJTAHID, Iqbal Miftakhul;BERLIAN, Mery;VEBRIANTO, Rian;THAHIR, Musa;IRAWAN, Dedi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8권2호
    • /
    • pp.1169-1179
    • /
    • 2021
  • This research aims to develop the instrument of feasible and reliable digital-age literacy to be used in the learning process. This needs to be done due to a different region, tribe, and gender involved in this research. The digital-age literacy developed in this research consisting of 8 constructs, including 1) basic literacy, 2) scientific skill, 3) economy skill, 4) information skill, 5) technology skill, 6) visual skill, 7) various cultures skill, and 8) global awareness. As many as 650 respondents were chosen through stratified and random sampling in this survey. Those respondents were students at Universitas Terbuka based on gender and Ethnicity comparison. To see the internal consistency, the data were then analyzed using SPSS 23.00 version for Windows. It was obtained that all questionnaire constructs were valid and reliable, proven by obtaining a high mean reliability value of Cronbach Alpha (0.816 > 0.6), in which each item had a high value (0.778-0.841). Therefore, the number obtained the results proved that this research had produced a quality instrument that can be used to evaluate the students' mastery of the digital-age literacy of the learning process in Universitas Terbukain Asia, especially in Indonesia.

융복합교육 프로그램을 위한 기반으로서 시각적 문해력(Visual Literacy) 개념 검토 (An Examination on the Concept of Visual Literacy as a Basis for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me)

  • 박건규;김원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2호
    • /
    • pp.397-403
    • /
    • 2016
  • 본 연구는 미술교과를 중심으로 하는 융복합 교육 프로그램을 수행함에 있어 중요한 기반이 되는 시각적 문해력(Visual Literacy)의 개념을 검토한다. 시각적 문해력은 문자에 대한 문해력이 그러하듯이 주체에게 시각적으로 주어지는 정보를 이해하고 적절하게 다룰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청소년층의 생활전반에서 뉴미디어를 통해 접하는 시각정보가 많고 다양한 만큼 시각적 문해력의 필요성이 대두되는 것은 당연하다. 따라서 뉴미디어를 적극 활용하는 융합교육 프로그램의 수행에서 시각적 문해력은 프로그램의 수행을 위한 기반이 된다. 여기에는 뉴미디어를 사용하여 시각정보를 교환하며 서로 소통하는 능력도 포함된다.

디지털 리터러시(Digital Literacy) 교육 연구 동향 분석 (A Study on Research Trends for Digital Literacy in Education)

  • 정재리;이다겸;이소율;이영준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2년도 제66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30권2호
    • /
    • pp.413-416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외 교육에서 필수역량으로 제시하고 있는 '디지털 리터러시'를 주제로 한 연구 문헌들을 분석하여 동향을 살펴보고, 앞으로의 필요한 연구 주제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교육학 분야로 색인한 '디지털 리터러시' 관련 논문들을 찾아 연도별 분포, 연구대상, 연구분야, 연구목적 및 관련 주제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SW교육의 적용과 코로나19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지만, 연구 대상과 주제가 다양하게 분포되어 있지 않으며 디지털 리터러시의 개념과 영역에 대해 명확히 구분되어 있지 않았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디지털 리터러시에 대한 활발한 연구를 위해 교사들을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 정보교과에서의 디지털 리터러시, 타 리터러시와의 명확한 개념과 영역 구분, 리터러시 교수·학습 방법 및 적용 사례, 디지털 리터러시 측정 도구 등의 주제를 제안하였다.

  • PDF

디지털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 연구 (A Study on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of Digital Literacy)

  • 이철승;백혜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5호
    • /
    • pp.351-356
    • /
    • 2022
  • 4차 산업 혁명 시대는 디지털 혁명 위에 구축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 발전을 이해하고 올바르게 활용하기 위해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디지털 리터러시의 구성요소를 알아보고 그에 따른 디지털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교육과정 및 교수 학습 방법 개선안, 교수자 디지털 리터러시 함양 방안을 제시하였다. 교육과정은 디지털 문제 해결력 확대를 통한 개선이 필요하다. 교수 학습 방법 개선안은 쌍방향 플랫폼 구축을 통해, 교수자와 학습자의 소통·협업·공유를 바탕으로 연계 및 융합형 교육모델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교수자 디지털 리터러시 함양 안으로 학습자 중심의 교육모델을 쉽게 설계할 수 있는 교육환경 개선이 매우 중요함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디지털 기술로 연결된 환경에서 디지털 리터러시를 통한, 소통과 협업 기반의 교육환경 조성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했음에 그 의의가 있으며, 향후 본 연구를 기반으로 한 교수·학습 지원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정보과 교육과정에서 컴퓨팅사고력과 연계한 디지털소양 교육과정 프레임워크 개발 (Development of Digital Literacy Curriculum Framework Connected Computational Thinking in the information Education)

  • 신수범;김철;박남제;김갑수;성영훈;정영식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115-126
    • /
    • 2017
  • 이 연구에서는 정보과 교육에서 컴퓨팅사고력과 연계한 디지털소양의 개념과 주요 영역 그리고 학년별 성취목표를 제시해 보았다. 주요 연구 내용으로 디지털소양의 개념 분석, 디지털기술의 변화 트렌드 분석, 주요 조직의 디지털소양 내용 요약, 정보과 교육의 성격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정보과 교육에서 필요한 디지털소양은 소프트웨어교육을 지원하는 내용, 컴퓨팅사고력과 연계된 내용, 정보사회 구성원으로서 필요한 내용으로 구성되어야 하는 점을 시사점으로서 강조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를 바탕으로 총 67개의 성취목표에 대해 16명의 정보교육전문가에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결과 전체적으로 디지털소양 즉 정보생활의 타당도는 기준점을 모두 상회하였으나 일부 합의도가 기준점을 하회하여 패널 토의를 통해 재조정하였다. 이를 통해 정보생활의 성취기준은 초등1-2학년이 5개, 초등3-4학년이 13개, 초등5-6학년이 23개, 중학교 16개로 나타났다.

한국어 교사의 매체 문식성 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Korean Language Teachers on Media Literacy Education)

  • 전형길
    • 한국어교육
    • /
    • 제28권2호
    • /
    • pp.155-184
    • /
    • 2017
  • As the media changes, communication patterns in modern society have been changed as well. This change in the media environment has also transformed the required literacy and it is time to accept this new literac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t this point, this paper inspected the perception of media literacy classes of 73 teachers currently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results show that most teachers are aware of the media literacy which has changed socially, and show strong agreement that this changed literacy should be applied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However, today's media literacy education is passive. Although teachers generally understand the dynamic features of newly emerging digital media, it remains as a tool in class. The teachers pointed out that device problems such as device environment and the spread of media are one of the many reasons for such passive usage. However, the more fundamental problem is that the new communication environment has not been reflected in the curriculum actively. Teachers thought that media literacy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Korean proficiency. Also, they saw that this kind of media literacy will be required for Korean learners in the future with more importanc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is paper argues that Korean language education needs to accept and reflect the changes of media in the curricul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