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gital detector

검색결과 553건 처리시간 0.031초

유방조직등가 팬텀을 이용한 Screen-Film과 Digital Mammography에서의 평균 유선선량 (Comparison of Average Glandular Dose in Screen-Film and Digital Mammography Using Breast Tissue-Equivalent Phantom)

  • 신귀순;김정민;김유현;최종학;김창균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0권1호
    • /
    • pp.13-23
    • /
    • 2007
  • 유방촬영장치가 screen-film system에서 최근에는 빠른 속도로 digital system으로 교체되고 있는 추세이다. Digital system이 screen-film system에 비해 여러 가지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 중의 하나가 digital detector가 screen-film보다 X선 흡수효율이 더 높으며, digital system 중에서도 direct digital detector가 indirect digital detector보다 흡수효율이 높다. 이에 입각하면 촬영 시 적은 선량을 주어도 되기 때문에 환자피폭선량이 감소한다. 그러나 임상 방사선사들이 느끼는 바는 달랐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는 screen-film mammography system, computed mammography system, indirect digital mammography system, direct digital mammography system에서 glandularity가 30%, 50% 및 70%인 세 종류의 유방조직 등가팬텀을 이용하여 평균유선선량(AGD)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Screen-film보다 digital detector가 X선 흡수효율이 높지만, glandularity가 30%인 경우의 AGD는 오히려 SFM에서 가장 낮았고, 그다음 CM, IDM, DDM 순으로 증가되었다. 자동노출장치로 설정하였지만 두께나 glandularity에 따라 target/filter의 조합이 바뀌지 않고 Mo/Mo으로 계속 사용된 SFM에서는 AGD가 급격히 증가되었다. 따라서 높은 glandularity를 가진 두꺼운 팬텀을 위한 고에너지 촬영에서는 SFM에서 AGD값이 가장 높았고, 저에너지 촬영에서는 DDM에서 AGD값이 가장 높았다. 그러나 target/filter의 조합이 다양하게 바뀐 CM에서는 두께나 glandularity에 따른 AGD의 곡선이 가장 완만하게 증가하였으며, AGD값이 가장 낮았다. 이와 같이 두께와 glandularity가 증가함에 따라 target/filter의 조합이 Mo/Mo에서 Mo/Rh으로 더 증가하면 Rh/Rh으로 바뀌는 것이 AGD의 증가량이 적어 환자의 피폭선량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따라서 유방촬영에서 환자의 피폭선량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검출효율 외에도 여러 가지 촬영 변수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 PDF

화생방 보호의 성능평가를 위한 무선 실시간 가스 검출기 개발 (Development of Wireless Real-Time Gas Detector System for Chemical Protection Performance Test of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 가동하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94-301
    • /
    • 2020
  • Man-In-Simulant Test(MIST) provides a test method to evaluate chemical protective equipments such as protective garments, gloves, footwear and gas mask. The MIST chamber is built to control concentration of chemical vapor that has a activity space for two persons. Non-toxic methyl-salicylate(MeS) is used to simulate chemical agent vapor. We carried out to measure inward leakage MeS vapors by using passive adsorbent dosimeter(PAD) which are placed on the skin at specific locations of the body while man is activity according to the standard procedure in MIST chamber. But more time is required for PADs and there is concern of contamination in PADs by recovering after experiment. Therefore detector for measuring in real time is necessary. In order to analyze in real time the contamination of the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inside the chemical environment, we have developed a wireless real-time gas detector. The detector consists of 8 gas-sensors and 1 control-board. The control-board includes a CPU for processing a signal, a power supply unit for biasing the sensor and Bluetooth-chipset for transmission of signals to external PC. All signals from gas-sensors are converted into digital signals simultaneously in the control-board. These digital signals are stored in external PC via Bluetooth wireless communication. The experiment is performed by using protective equipment worn on manikin. The detector is mounted inside protective equipment which is capable of providing a real-time monitoring inward leakage MeS vapor. Developed detector is demonstrated the feasibility as real-time detector for MIST.

Novel Fast Peak Detector for Single- or Three-phase Unsymmetrical Voltage Sags

  • Lee, Sang-Hoey;Cha, Han-Ju
    • Journal of Electrical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6권5호
    • /
    • pp.658-665
    • /
    • 2011
  • In the present paper, a novel fast peak detector for single- or three-phase unsymmetrical voltage sags is proposed. The proposed detector is modified from a single-phase digital phase-locked loop based on a d-q transformation using an all-pass filter (APF). APF generates a virtual phase with $90^{\circ}$ phase delay. However, this virtual phase cannot reflect a sudden change of the grid voltage in the moment of voltage sag, which causes a peak value to be significantly distorted and to settle down slowly. Specifically, the settling time of the peak value is too long when voltage sag occurs around a zero crossing, such as phase $0^{\circ}$ and $180^{\circ}$. This paper describes 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APF problem and proposes a modified all-pass filter (MAPF) to mitigate the inherent APF problem. In addition, a new fast peak detector using MAPF is proposed. The proposed detector is able to calculate a peak value within 0.5 ms, even when voltage sag occurs around zero crossing. The proposed fast peak detector i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detector using APF.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detector has faster detection time in the whole phase range. Furthermore, the proposed fast peak detector can be effectively applied to unsymmetrical three-phase voltage sags. Simulation and experimental results verify the advantages of the proposed detector and MAPF.

디지털 유방촬영장비에 관한 공간선량율 평가 (The Evaluation of Space Dose Distribution for Digital Mammography Equipment)

  • 정홍문;정재은;현혜진;원도연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61-65
    • /
    • 2015
  • 유방촬영장비는 여성의 조기 유방의 병변을 진단하기 위하여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장비이다. 계속적인 디지털 유방촬영장치가 보급되어짐에 따라 현재에는 대부분의 의료기관에서 디지털 유방촬영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디지털장비인 CR 또는 DR 유방촬영술의 무분별한 사용으로 여성 환자의 평균유효선량이 증가되고 있다. 이번 연구는 여성환자에게 사용되는 디지털 유방촬영장비의 공간선량율을 평가하여 방사선유효선량 과다 피폭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방사선 2차 피해을 인식시키고자 하였으며, 더 나아가 디지털 유방촬영장치에서 발생되는 공간선량율 측정함으로써 환자에게 직접 촬영을 하는 방사선사 안전의식을 인식시키고자 한다. 결론적으로 디지털 유방촬영장비의 공간선량은 촬영장비를 기준으로 수평으로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고려한다면 디지털 유방촬영장비의 설치시에 수평 방향을 피하여 방사선사의 조작위치를 변경하거나 디지털 유방촬영 장비로부터 수평으로 되는 부위에 납유리차폐의 보완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고정식 초점형 격자가 적용된 비정절 실리콘 평판형 검출기에서 초점-격자와 두부 팬텀의 중심 변위에 의한 화질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f Image Characteristics due to Focus-Grid and Head Phantom Decentering from the Armorphos Silicon Thin Film Transistor Detector the Fixed Focus-Grid is Applied)

  • 최준구;김병기;차선화;김경수
    • 대한디지털의료영상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7-15
    • /
    • 2007
  • 고정식 초점형 격자가 적용된 비정질 실리콘 평판형 검출기에서 초점-격자간 중심변위와 두부 팬텀의 검출기내 위치 변위가 영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디지털 의료영상 장비의 올바른 사용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고정식 초점형 격자를 적용한 비정질 실리콘 평판형 검출기에서 두부 팬텀을 사용하여 초점-격자간 중심 변위와 두부 팬텀의 위치 변위에 따라 영상을 획득 하였다. 획득된 영상을 NIH(Image J) 영상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동일 영역에서의 픽셀값(Pixel value), 히스토그램(Histogram), 도면형상(plot profile), 표면도(Surface plot)등을 분석하고, 표준 촬영 영상과 비교 하였다. 초점-격자간 측 방향 중심 변위와 초점-격자와 두부 팬텀의 이중 변위는 수평, 대각선으로 증가할수록 픽셀의 평균값과 표준편차값이 비례적으로 감소하였다. 또한 높은 픽셀값의 빈도수가 상당히 감소하여 영상의 대조도를 저하시켰고, 변위가 증가할수록 영상 왜곡현상도 증가하였다. 다음으로 두부 팬텀 위치 변위의 픽셀 평균값은 큰 변화가 없었으나 수평, 대각선으로 증가할수록 높은 픽셀값의 빈도수가 감소하는 양상을 보여 영상의 대조도가 저하 되었다. 디지털 검출기의 넓은 관용도와 후처리 능력은 영상의 화소 잡음이 증가하여도 방사선사들이 인지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방사선사는 격자가 장착된 디지털 검출기에서 화소 잡음을 증가시키는 촬영 요인들을 정확히 인지하여 검사에 임해야 할 것이다.

  • PDF

방사선 디텍터의 Noise Power Spectrum: I. 영상의 평균을 사용한 측정 (Noise Power Spectrum of Radiography Detectors: I. Measurement Using the Averages of Images)

  • 김동식;이은애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3권12호
    • /
    • pp.120-127
    • /
    • 2016
  • 디지털 x선 영상을 획득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DR(digital radiography) 기술에 근거한 방사선 디텍터의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방사성 디텍터의 잡음 특성은, 균일한 노출에서 획득한 영상을 사용하여 NNPS(normalized noise power spectrum)를 측정하여 관찰한다. 이때 고정형태잡음(fixed pattern noise)을 제거하기위하여 두 장의 영상 차를 사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보다 정확한 NNPS를 측정하기 위하여, 먼저 여러 장의 영상을 획득하여 두 장의 평균영상을 구하고 그의 차를 사용하여 NNPS를 구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때 여러 장의 영상들의 평균으로 인하여 NNPS 값이 실제 값보다 작아지는데, 이러한 NNPS의 보정을 위하여, 평균할 때 사용한 영상 개수의 함수인 보정 상수도 함께 제안하였다. 또한 평균영상의 비를 사용하여 NNPS를 구하는 방법도 제안하였다. 실제 방사선 디텍터에서 획득한 영상을 사용하여 NNPS를 측정하는 실험을 통하여, 제안한 방법으로 NNPS 보다 정확하게 구할 수 있음을 관찰하였다.

견관절 Superoinferior axial 검사 시 Tiltable standing detector의 유용성에 관한 고찰 (Study of the Usefulness of Tiltable standing detector in Testing Shoulder Joint Superoinferior axial)

  • 이동희;김병기;김기정;김민현;이민우;김순배;김경수
    • 대한디지털의료영상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27-33
    • /
    • 2009
  •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alteration of test positions according to various test equipments when testing shoulder joint superoinferior axial to estimate the clinical usefulness of tiltable standing detector. Our objectives were patients who visited our hospital. Among them we chose patients who were prescribed to get a shoulder axial test, again we selected 30 patients whose abduction is more than 90 degree.(2008. Nov.$\sim$2009 Jan.) With the patients cooperation, we used CR(Agfa, Belgium), fixed-detector(Canon, japan), Tiltable-detector(Philips, Netherlands). Tested with only one equipment(tiltable detector), and posed with the other two. We surveyed 5 inspectors and 30 patients, asking them to rate the convenience of test position. Also, we checked how long it takes to have the image appear on screen after testing with the equipment We provided a standard for an assessment of the image to an expert in bone radiology, an orthopedist and a radiologist with 5 years experience. When the patients were asked about the convenience of the equipments, 15 people(50%) answered CR is convenient and 14 people(46.7%) answered the Tilting detector is convenient, showing not much difference. However, when the inspectors were asked the same question, 4people(80%) out of 5 answered that the Tilting detector is more convenient The time test showed that CR takes 2 minutes and 50 seconds, the Fixed detector 1minute and 48 seconds andor had no distortion showing the shoulder joint space. However, even though the Fixed detector showed ac the Tilting detector takes 1 minute and 43 seconds to bring the image to the screen after the position. The results of the value of image taken by each equipment, CR and the Tilting detectromion, coracoid process, due to the unstable pose, they were quite distorted and scored poor in observing glenoid fossa. By this study, we can see that testing the shoulder joint superoinferior axial projection with a detector that has a tilting device would be more convenient than testing it with a CR.

  • PDF

주파수 판별기 구조 및 잡음 성능 분석 (Architecture and Noise Analysis of Frequency Discriminators)

  • 박성경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248-253
    • /
    • 2013
  • 주파수 판별기는 주파수를 디지털 비트 신호로 변환해주는 회로로서 변조기, 동기화 회로 등에 쓰인다. 본 논문에서는 여러 종류의 일차, 이차 주파수 판별기의 구조를 모델링하고 양자화 잡음 성능을 분석하며, 새로운 구조의 델타-시그마 주파수 판별기 구조를 제안한다. 이론적 분석과 유도된 수식으로부터 출구 잡음을 구하고 모의실험으로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제안된 주파수 판별기는 전 디지털 회로로서 전 디지털 위상 잠금 루프의 궤환 경로에 적용될 수 있다.

무선광 차동검출기에서 디지털가변저항을 이용한 잡음광의 감소 (Optical Noise Reduction using a Digital Potentiometer in a Wireless Optical Differential Detector)

  • 이성호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599-604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편광기를 부착한 차동검출기의 부하저항으로 디지털가변저항을 사용하여 잡음소거 능력을 개선하였다. 이 구조에서는 차동검출기를 구성하는 2개의 포토다이오드에서 검출된 잡음전압의 크기가 항상 동일한 값이 되도록 디지털 가변저항의 크기를 제어하여 잡음광을 소거한다. 이 방식에서는 고정된 부하저항을 사용한 구조에 비하여 신호대잡음비가 약 23 dB 더 향상되었다.

비정질 평판형 측정기를 이용한 디지털 흉부 방사선 영상에서의 효과적인 관전압 선택 (The Effect of X-ray Tube Potential on the Image Quality of Digital Chest Radiography with an Amorphus Silicon Flat Panel Detectors)

  • 김정민;임은경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28권4호
    • /
    • pp.273-277
    • /
    • 2005
  • 디지털 의료 영상의 빠른 발전은 새로운 기술-비정질 평판형 측정기-에 대한 최적의 기술이 동행되지 못했다. 이번 실험으로 비정질 평판형 측정기를 사용한 흉부 방사선 영상의 대한 환자선량과 영상의 화질에 대하여 비교하였다. 모든 실험은 비정질 평판형 측정기를 사용하였다. 흉부 팬텀을 사용한 흉부 방사선영상은 관전압 $60{\sim}150\;kVp$에서 획득하였다. 이번 실험을 통하여 획득된 비정질 평판형 측정기를 사용한 X-선 에너지에 대한 영상의 질과 환자선량에 관련된 정보들을 보고한다. 이 정보는 비정질 평판형 측정기를 사용한 시스템에서 최적의 관전압의 선정에 효과적인 정보를 제공하며, 특히 일반적인 흉부 검사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