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gestion

검색결과 2,539건 처리시간 0.036초

골중납 측정의 시료 전처리 (산분해법과 마이크로웨이브 분해법)와 측정 방법 (유도결합 플라즈마 질량분석법과 흑연로 원자 흡수 분광 광도법)의 비교 (Comparisons of sample preparation (acid digestion and microwave digestion) and measurement (inductively coupled plasma mass spectrometry and graphite furnace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in the determination of bone lead)

  • 윤충식;최인자;박성균;김록호
    • 분석과학
    • /
    • 제16권2호
    • /
    • pp.152-158
    • /
    • 2003
  • 본 연구는 인체의 골중 납 농도를 측정하는데 필요한 시료 전처리법과 기기 분석법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절단한 인간 사체 다리의 뼈를 상온에서의 산 분해법과 마이크로웨이브 분해법 (microwave oven method)을이용하여 납을 추출하였으며, 유도결합 플라즈마 질량분석법 (ICP-MS)과 흑연로 원자 흡수 분광 광도법 (GF-AAS)으로 납 농도를 측정하였다. 표준시료를 이용하여 회수율을 조사한 결과, 산분해 후 ICP-MS로 측정한 경우 높은 회수율을 보였으나, 산분해 후 GF-AAS로 측정한 것은 표준 농도보다 낮은 값을 보였으며, 마이크로웨이브 분해한 경우는 두 측정기기 모두 표준 농도보다 높은 값을 보였다. 뼈 시료의 경우, 산분해 후 ICP-MS로 측정한 납 농도는 GF-AAS의 값과 높은 상관성을 보였으나 (상관계수 = 0.983), GF-AAS가 ICP-MS보다 계통적으로 높은 값을 측정하였다. 마이크로웨이브 분해 역시 두 분석방법이 높은 상관성을 보였으나 (상관계수 = 0.950), 대체로 산분해에 의한 값보다 높은 농도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상온에서 질산으로 분해 후 ICP-MS를 이용하여 측정한 것이 골중 납 농도를 결정하는데 편이성과 정확성 면에서 가장 효율적인 방법으로 보인다.

하수슬러지 처리방법별 환경성 및 경제성 분석에 대한 연구(II) - 경제성 분석 중심으로 - (A Study on Environmental and Economic Analysis for Each Treatment of Sewage Sludge(II) - Results of Economic Analysis -)

  • 이동진;이수영;권영현;조윤아;배지수
    • 유기물자원화
    • /
    • 제24권2호
    • /
    • pp.15-29
    • /
    • 2016
  • 본 연구는 바이오가스화 처리 유 무에 따라 하수슬러지 처리방법별, 즉 소각, 탄화, 건조, 고형화 등에 대한 환경성 및 경제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혐기소화에 대한 B/C분석에 대하여, 하수처리장 시설규모 $270,000m^3/d$ (하수슬러지 처리규모 $1,150m^3/day$)에서 B/C가 1이 되었다. 함수율을 95 %일 경우, B/C 는 하수처리장 규모 $100000m^3/d$ (하수슬러지 처리규모 $400m^3/day$)에서 1이 되었다. 혐기소화 + 고형화가 가장 경제성이 있었으며, 다음으로는 혐기소화 +소각과 혐기소화 + 건조였으며, 혐기소화 + 탄화가 가장 경제성이 약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유기물 분해율을 45 % 까지 증대시킨 경우 혐기소화를 시키지 않는 경우보다 혐기소화를 하여 후처리를 하는 경우가 처리비용이 3,000 - 5,000 원/톤 감소하고, 다만, 고형화로 후처리 하는 경우는 처리비용이 2,000 - 3,000 원/톤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국내 토양오염 공정시험방법중 중금속 관련 오염평가의 문제점과 개선책 (The controversial points and a remedy on evaluation of heavy metal contamination in standard method for examination of soil in Korea.)

  • 오창환;유연희;이평구;박성원;이영엽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6권1호
    • /
    • pp.63-83
    • /
    • 2001
  • 하천, 고속도로 주변, 광산지역으로부터 채취된 시료를 대상으로 용출법과 산분해법, 완전용해법의 세가지 전처리 방법을 적용하여 중금속을 추출하고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전처리방법으로 용출법 사용시 중금속 추출량에 비해 산분해법 사용시의 중금속 추출량이 Cu는 2.0∼221배, Pb는 2.4∼2806배, Cd는 1.3∼121배, Fe는 14.1∼1300885배, Mn은 1.2∼272배, Zn은 1.3∼373배, Cr은 2.2∼1735배 높게 나타났다. 용출법에 의한 중금속 추출량과 산분해법에 의한 중금속 추출량간에 특별한 상관관계가 없다. 이에 반해 산분해법 사용시 중금속 추출량과 완전용해법 사용시 중금속 추출량간에는 다소 상관관계가 있을 가능성이 있다. 국내와 국외의 비농경지 및 공장·산업지역 토양오염 기준치를 비교하여 볼 때 중금속(Cd, Cu, Pb)이 상대적으로 적게 추출되는 용출법을 사용하는 국내의 기준치가 중금속이 상대적으로 많이 추출되는 산분해법을 사용하는 외국의 기준치 보다 낮아야 함에도 불구하고 국내의 기준치가 외국보다 대부분 높게 책정되어있다. 개선책으로 용출법을 계속 적용하되 기준치를 낮추거나 아니면 전처리방법을 산분해법으로 바꾸고 기준치를 재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 PDF

Evaluation of the Digestibility of Korean Hanwoo Beef Cuts Using the in vitro Physicochemical Upper Gastrointestinal System

  • Jeon, Ji-Hye;Yoo, Michelle;Jung, Tae-Hwan;Jeon, Woo-Min;Han, Kyoung-Sik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682-689
    • /
    • 2017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gestibility of different Korean Hanwoo beef cuts using an in vitro digestion model, in vitro physicochemical upper gastrointestinal system (IPUGS). The four most commonly consumed cuts - tenderloin, sirloin, brisket and flank, and bottom round - were chosen for this study. Beef samples (75 g) were cooked and ingested into IPUGS, which was composed of mouth, esophagus, and stomach, thereby simulating the digestion conditions of humans. Digested samples were collected every 15 min for 4 h of simulation and their pH monitored. Samples were visualized under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to examine changes in the smoothness of the surface after digestion. Analysis of the amino acid composition and molecular weight (MW) of peptides was performed using reverse-phase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and sodium dodecyl sulfate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respectively. Following proteolysis by the gastric pepsin, beef proteins were digested into peptides. The amount of peptides with higher MW decreased over the course of digestion. SEM results revealed that the surface of the digested samples became visibly smoother. Total indispensable and dispensable amino acids were the highest for the bottom round cut prior to digestion simulation. However, the total amount of indispensable amino acids were maximum for the tenderloin cut after digestion. These results may provide guidelines for the elderly population to choose easily digestible meat cuts and products to improve their nutritional and health status.

Comparison of In Vitro Digestion Kinetics of Cup-Plant and Alfalfa

  • Han, K.J.;Albrecht, K.A.;Mertens, D.R.;Kim, D.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3권5호
    • /
    • pp.641-644
    • /
    • 2000
  • In vitro true digestibility of cup-plant (Silphium perfoliatum L.) is higher than other alternative forages and comparative to alfalfa (Medicago sativa L.) even at the high neutral detergent fiber (NDF) concentr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the digestion kinetic parameters of cup-plant could explain high in vitro true digestibility of cup-plant at the several NDF levels. Cup-plant and alfalfa were both collected in Arlington and Lancaster, Wisconsin to meet the NDF content within 40 to 50% range. The collected samples were incubated with rumen juice to investigate the digestion kinetics at 3, 6, 9, 14, 20, 28, 36, 48, and 72 h. Kinetics was estimated by the model $R=D_0\;e-k(t-L)+U$ where R is residue remaining at time t, and $D_0$ is digestible fraction, k is digestion rate constant, L is discrete lag time, and U is indigestible fraction. Parameters of the model were estimated by the direct nonlinear least squares (DNLS) method. Digestion rate and potential extent of digestion we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in either forage. However, alfalfa had shorter lag time (p<0.05). The indigestible fraction increased with maturation in alfalfa and in cup-plant (p<0.05). The ratio of indigestible fraction to acid detergent lignin (ADL) was higher in cup-plant than in alfalfa (p<0.05). From the results, alfalfa is probably digested more rapidly than cup-plant, however, cup-plant maintains higher digestibility with maturation due to a relatively slower increase of indigestible fraction in NDF.

음식물찌꺼기 산발효산물과 하수슬러지의 혼합비 및 유기물부하가 병합처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ixing Ratio and Organic Loading Rate of Acid Fermented Food Wastes and Sewage Sludge on the Anaerobic Digestion Process)

  • 안철우;박진식;장성호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47-256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실험실 규모의 혐기성 소화 실험을 통하여 고온산발효를 거친 음식물찌꺼기 산발효액과 하수슬러지의 적정 혼합비와 유기물 부하율에 따른 반응조 운전특성을 분석하여 실제 플랜트에 적용가능성을 검토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음식물지꺼기 고온 산발효액과 하수슬러지를 혼합하여 반연속식으로 혐기성 소화실험을 실시한 결과 유기물 부하율 3.3 gVS/L.d(혼합비 1:1)에서 최적인 것으로 평가되었는데, 이때 SCOD 제거효율은 평균 74.2%, VS 제거효율은 73.6%, 주입된 VS당 생성된 가스량은 $0.440{\ell}/g\;Vs_{add}.d$였으며 평균 메탄 함량은 66.5%로 나타났다. 이는 기존에 음식물찌꺼기를 하수처리장의 중온 소화조에서 처리할 때의 유기물 부하보다 높아 효율성, 경제성에서 유리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UASB를 이용한 음폐수의 Biogas 자원화 (Biogas Resource from Foodwaste Leachate Using UASB(Upflow Anaerobic Sludge Blanket))

  • 민부기;이창현;김재용
    • 공업화학
    • /
    • 제23권1호
    • /
    • pp.28-34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UASB 반응조를 이용하여 음폐수 탈리액을 원료로 하여 중온소화($35{\pm}0.5^{\circ}C$)와 고온소화($55{\pm}0.5^{\circ}C$)법을 통한 운전을 실시하였다. 20일 동안은 중온소화로 운전을 하면서 5일 간격으로 유출수 재순환 비를 단계적으로 변화시켰다. 고온소화 역시 중온소화와 마찬가지 조건으로 운전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중온소화 시 유기물제거율은 90% 이상, 메탄수율은 약 66~70%로 나타났다. 고온소화 시 유기물제거율은 80% 이상, 메탄수율은 약 62~68%로 나타났다. 또한, 유출수 반송을 3Q 이상으로 반송하여 운전할 경우 경제적이며 안정적인 운전을 할 수 있었다.

베타-카로텐 탑재 하이드로 젤 농도와 저작에 따른 지방소화율과 생체접근율의 변화 (Influence of Starch Concentration and Mastication on the Lipid Digestion and Bioaccessibility of β-carotene loaded in Filled Hydrogels)

  • 문세훈;김용노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81-189
    • /
    • 2017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starch concentration of filled hydrogel and the addition of ${\alpha}-amylase$ and simulated mastication processing in an oral phase on lipid digestion and ${\beta}-carotene$ bioaccessibility of filled hydrogels. Methods: Lipid digestion and ${\beta}-carotene$ bioaccessibility of the filled hydrogels were measured after the samples were passed through an in vitro gastrointestinal tract model consisting of oral, gastric, and small intestinal phases. Results: The initial rate and final extent of lipid digestion were higher in the filled hydrogels than in the emulsion when the filled hydrogels were treated in an oral phase without simulated mastication processing and addition of ${\alpha}-amylase$, regardless of starch concentration. However, when the filled hydrogels were minced using mortar and pestle for 2 min and were exposed to ${\alpha}-amylase$, the filled hydrogel fabricated with 5% starch showed the lowest lipid digestion rate and extent compared to the emulsion and other filled hydrogels. Bioaccessibility of ${\beta}-carotene$ was higher in the filled hydrogels than in the emulsion, regardless of the digestion method performed in an oral phase and starch concentration. However, there were appreciable differences in bioaccessibility of the filled hydrogels depending on whether or not simulated mastication and addition of ${\alpha}-amylase$ were employed.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rheological properties of initial filled hydrogels and simulated mastication processing in an oral phase plays an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the lipid digestion and ${\beta}-carotene$ bioacccessibility entrapped within filled hydrogels.

실리콘 웨이퍼 중의 금속 불순물 분석을 위한 시료 전처리 (Sample Pretreatment for the Determination of Metal Impurities in Silicon Wafer)

  • 정혜영;김영훈;유학도;이상학
    • 대한화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412-417
    • /
    • 1999
  • 실리콘 웨이퍼 중의 금속 불순물을 유도결합플라스마-질량분석기(ICP-MS)로 분석하기 위한 시료의 전처리 방법으로 마이크로파 분해법과 산분해법을 비교하였다 $HNO_3$-HF 혼합용액을 실리콘 웨이퍼 시료에 가하고 마이크로파 분해법과 산분해법으로 용해시킨 후, 용액의 실리콘 매트릭스는 증발 용기 안에서 Si-F의 형태로 증발시켜 분석하였다. 실제 시료에 spike한 Ni, Cr 및 Fe의 회수율은 두 전처리 방법에서 95∼106%였다. Cu의 경우는 산분해법이 회수율이 더 좋았고, Zn의 경우는 마이크로파 분해법으로 전처리 한 경우의 회수율이 더 좋았다. Spin coater로 Fe를 오염시킨 실리콘 웨이퍼를 산분해법과 마이크로파 분해법으로 전처리하여 ICP-MS로 분석한 결과, Fe의 농도는 위의 두 전처리 방법에서 거의 차이가 없었다.

  • PDF

농업부산물과 우분의 병합 소화를 통한 메탄 생산 (Methane Production from the Co-digestion of Cattle Manure and Agricultural Residues)

  • 김재경;허정민;조흠;홍진경;조은혜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427-434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볏짚과 토마토와 같은 농업부산물이 우분의 혐기성 소화를 통한 메탄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각 기질을 단독 소화한 것과 혼합 소화한 것을 비교하였다. 우분의 경우 토마토와 병합 소화했을 때 우분 단독 소화 시보다 메탄 생성량이 증가하였고, 혼합 기질 내 토마토 함량이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농업부산물을 활용한 분뇨의 바이오가스화 향상 가능성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