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etary record.

검색결과 195건 처리시간 0.03초

충남지역 대학생의 신체활동수준, 에너지소비량 및 에너지섭취량 조사 (A survey on daily physical activity level, energy expenditure and dietary energy intake by university students in Chungnam Province in Korea)

  • 김선효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6권4호
    • /
    • pp.346-356
    • /
    • 2013
  • 본 연구는 충남 K대학교 남녀 학생 269명을 대상으로 24시간 활동일기 작성에 의한 신체활동수준과 간이식으로 체중을 적용해 구한 기초대사량을 공식에 대입해 1일 에너지소비량을 산출한 후, 식사기록법으로 조사한 1일 에너지섭취량과 비교해 에너지 균형을 평가하였고, 이들 요인과 인바디로 측정한 신체조성과의 관계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남녀 모두 19.5세로 같으며, 성별 구성도 남학생 48.3%와 여학생 51.7%로 비슷하였다. 2) 조사대상자의 평균 신장은 남자 $174.4{\pm}5.6cm$, 여자 $161.8{\pm}4.5cm$이며, 평균 체중은 남자 $68.4{\pm}11.1kg$, 여자 $54.5{\pm}6.8kg$이었다. 평균 BMI는 남녀 모두 정상체중 범위에 속하였다. BMI에 의한 체중 분포는 전체대상자의 66.9%가 정상체중에 속했으며, 여자가 남자보다 저체중 비율이 높고 과체중 비율이 낮았다 (p<0.001). 평균 체지방률은 남자 $19.1{\pm}5.4%$, 여자 $28.4{\pm}5.0%$로 정상체중 이상이었다. 3) 하루 활동별 사용시간을 남녀별로 살펴본 결과, 저강도 활동 이하에 속하는 활동에서는 남녀 간에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하루 중 중강도 활동에 속하는 '걸레질' (p<0.05), '에어로빅댄스 빠르게 걷기' (p<0.05)가 차지하는 시간비율은 여자가 남자보다 높은 반면에, 고강도 활동에 속하는 '스키 배구 배드민턴 조깅 등산' (p<0.01), '축구 저항성운동 테니스 스케이팅' (p<0.01), '수영' (p<0.01)이 차지하는 시간비율은 남자가 여자보다 높았다. 4) 24시간 활동일기를 이용해 구한 하루 활동별 사용시간 비율과 해당 기초대사량 배수를 적용해 구한 1일 평균 신체활동수준은 남자 1.55, 여자 1.47이어서, 남녀 모두 '저활동적' 수준에 속하였다. 그리고 체중 이용 공식으로 구한 기초대사량과 1일 신체활동수준에 의해 산출한 1일 평균 에너지소비량은 남자 $2,803.5{\pm}788.9$ kcal/일, 여자 $1,915.4{\pm}510.2$ kcal/일이었다 (p<0.001). 또한 1일 평균 에너지섭취량이 1일 평균 에너지소비량보다 남자는 $-476.5{\pm}955.9$ kcal/일, 여자는 $-113.3{\pm}728.1$ kcal/일 (p<0.01)로 적어 남녀 모두 음의 에너지 균형을 이루었다. 5) 1일 에너지섭취량의 에너지 필요추정량에 대한 평균 비율은 남자 $89.6{\pm}21.5%$, 여자 $85.5{\pm}25.1%$로 기준치에 미달되었다. 단백질, 비타민 A 및 비타민 C의 1일 평균 섭취량은 남녀 모두 권장섭취량을 충족시켰다. 칼슘 섭취량의 권장섭취량에 대한 평균 비율은 남자 $86.0{\pm}32.7%$, 여자 $86.6{\pm}41.1%$로 남녀 모두 권장섭취량에 약간 미달되었다. 철의 1일 평균 섭취량은 남자는 권장섭취량을 충족하였으며 여자는 권장섭취량의 $91.2{\pm}36.3%$로 약간 미달되었다 (p<0.001). 탄수화물 : 단백질 : 지방에 의한 평균 에너지 섭취 비율은 남자 56.0 : 18.4 : 25.6%, 여자 57.7 : 17.4 : 24.9%로 남녀가 같았다. 아침 : 점심 : 저녁 식사에 의한 평균 에너지 섭취 비율은 남녀 모두 세끼 간에 고르게 분포해 있었다. 6) 1일 에너지소비량은 체중 (p<0.01), 체질량지수 (p<0.01), 제지방량률 (p<0.05)과 각각 정의 상관관계가 있으나, 체지방률과는 부의 상관관계 (p<0.01)가 있었다. 이상에서 조사대상자의 평균 BMI는 남녀 모두 정상체중에 속하며, 평균 체지방률은 남녀 모두 정상체중 이상이었다. 조사대상자가 평균적으로 음의 에너지 균형을 이루고 있음에도 이런 결과가 나온 것은 신장 대비 체중은 정상체중이어도 체조성상으로는 체지방이 과다하고 제지방이 부족할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실제로 본 조사에서 조사대상자가 정상체중을 가지려면 남녀 모두 평균적으로 현재체중보다 체지방량을 약 3 kg 감량하고 제지방을 약 3 kg 증량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나 체조성의 조절이 필요하였다. 대학생 시기는 성인기의 생활습관과 건강 기반을 마련하는 시기로서, 성인기동안 나이가 들수록 기초대사량 감소 등으로 에너지소비량이 감소해 비만율이 증가하면서 동반 질병 발생 위험이 높아지는 사실을 놓고 볼 때 대학생 시기에 활기찬 신체활동습관과 함께 올바른 식습관이 몸에 배이도록 영양교육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또한 향후 체중관리를 위한 에너지섭취량과 에너지소비량의 두 축의 중요성을 감안해 이들의 실태파악과 이를 적용한 한국인 에너지 필요추정량 설정과 함께 에너지 소비량을 정확하면서 편리하게 측정할 수 있는 연구도구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본 연구는 공식 대입 방식으로 1일 에너지소비량을 추정하였으며, 이를 위해 필요한 기초대사량은 간이식으로 체중을 적용해 구하고 1일 신체활동수준은 24시간 활동일기로 구해 에너지소비량을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했으며, 조사대상자의 표본 크기도 모집단을 대표하기에는 부족한 한계점을 가지고 있으므로 앞으로 이점을 보완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비만 아동에 대한 설문지의 분석과 재구성 (Revision of a Questionnaire to Assess Health Behaviors in Obese Children)

  • 박소은;염혜원;서정완;이혜진;박혜숙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7권2호
    • /
    • pp.215-227
    • /
    • 2004
  • 목적: 소아 비만은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다. 소아 비만의 치료는 행동 수정을 하는 것이 중심이 되므로 생활 습관과 식습관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저자들은 비만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기존에 사용해오던 설문지를 보완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대 목동병원 비만클리닉에 방문한 94명의 소아를 대상으로 기존에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소아용과 부모용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였다. 문항별 무응답률, 부모용과 소아용 설문지의 공통 항목에 대한 일치율(%)을 살펴보았다. 문항 분석을 통하여 추가 및 삭제할 부분을 검토하였다. 결과: 문항별 응답율은 매우 높았다. 부모용과 소아용 설문지의 공통 항목에 대하여 62.8~91.5%까지의 비교적 중등도 이상의 일치율을 보였다. 학교급식의 음식 선호도는 평상시 음식습관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취사선택 할 수 없는 항목으로 판단하여 삭제하였다. 좌식생활 시간을 파악하기 위하여 TV 시청 시간외 컴퓨터나 비디오 게임 시간 항목, 간식의 종류로 인스턴트나 패스트푸드 외에 섬취한 음료의 종류와 양을 기록하는 항목, 어머니의 직장 항목을 추가하였다. 또한 부모와 아동의 답변이 일치하므로 일반적인 생활 습관은 부모가, 집 밖에서의 음식과 운동에 관한 항목은 비만 아동이 기록하도록 설문지를 재구성하였다. 결론: 비만 아동과 부모의 설문지를 분석한 결과 일치도가 높으므로 비슷한 항목을 중복되지 않게 재구성하였다. 비만아동의 습관파악을 위하여 생활습관은 부모가, 집밖에서의 음식섭취와 운동 습관은 아동이 직접 기록하도록 비만 설문지를 재구성하였다.

  • PDF

남제주군 학교급식대상 초.중등학생의 음식 기호와 영양소 섭취량의 비교 (Comparisons of Food Preference and Nutrient Intake of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and Middle School Providing School Food Service in Nam Jeju Gun)

  • 박명희;최영선;김연주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8권4호
    • /
    • pp.342-358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ifferences of food preference and nutrient intake of students between elementary school and middle school in the same area and to provide data for better school food service. The subjects were 486 students, third to sixth grade of 3 elementary schools and first to second grade of 1 middle school in Nam jeju gun, Jeju,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during June 1999. Food preference was assessed using questionnaires and 24-hour food intake was assessed using dietary record method. Data of weight and height were obtained from annual physical examination conducted at schools in May 1999. All the variables were compared among 3 groups in each gender: third and fourth grade elementary school(ES3,4), fifth and sixth grade elementary school(ES5,6), and first and second grade middle school(MS1,2).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 average height, weight and BMI for the 3th grade boys in elementary schools met the national averages, but those of the others are below the national averages. Although general pattern of food preference looked similar among groups, food preference scor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groups in 38 kinds foods for boys, and 27 kinds of foods for girls. MS1,2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food preference scores for most of foods as compared to those of ES3,4 and ES5,6 in both genders. Students of higher grade took more starch foods such as instant noodle, stewed rice cake and snacks. Average energy intakes of all the groups except MS1,2 girls were lower than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s(RDA), and average intakes of protein, vitamins B1 and C met RDA, but the other nutrients were taken less than RDA and especially the intakes of iron, calcium and vitamins B2 were poor. Most of nutrients taken by school food service meal provided a major proportion of intakes. In conclusion, students of middle school were more particular about their foods served at school food service and marked lower food preference score than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more conscious about their weight and appearance. These points should be reflected in planning food service menu at middle school.

  • PDF

과체중 및 비만여성의 식습관, 식이섭취실태 및 혈청지질 양상 비교 (Comparison of Food Intakes and Serum Lipid Levels in Overweight and Obese Women by Body Mass Index)

  • 김옥현;정하나;김정희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40-49
    • /
    • 2007
  • This study was done to investigate the health-related habits, dietary intakes and serum lipid levels in overweight and obese women by body mass index(BMI). Subjects were 137 pre-menopausal women aged 19 to 49 years. They were divided by 3 groups, overweight($23{\leqq}BMI<25$), obese($25{\leqq}BMI<30$) and morbidly obese($BMI{\geq}30$) according to their BMI. Body composition was determined by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BIA) method. Dietary intakes were examined by 3-day record method and nutrient intakes were analyzed by the Computer Aided Nutritional analysis program for professionals(CAN-pro 3.1). Serum lipid levels were measured using automatic biochemical analyzer(Selectra E). The average age, height weight and BMI of subjects were 31.7 years old, 159.3cm, 69.4kg, and $27.4kg/m^2$, respectively. Their average consumption of energy were 1712kca1 and 86.4% of estimated energy requirement(EER). Their mom ratio of carbohydrate:protein:fat was 55.2:14.6:30.2. Particularly, the fat consumption of subjects tended to be elevated with increasing BMI.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nutrient intakes among 3 groups. But the mom intakes of Ca, Fe, vitamin C and Na of all the subjects were 70.1%, 81.2%, 75.7% of recommended intake(RI) and 258.9% of adequate intake(AI), respectively, The intakes of vegetables and seaweed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morbidly obese group while the intake of fruits was higher in overweight group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Serum lipid analysis showe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s of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and LDL-cholesterol among the groups. But the serum HDL-cholesterol level of the overweight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 groups. LDL-/HDL-cholesterol ratio and AI index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morbidly obese group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In addition, The systolic blood pressure of morbidly obese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Overall data suggest that morbidly obese women have to more concern about reducing systolic blood pressure and nm lipid levels by decreasing their fat consumption and salt intakes as well as loosing body fat. In addition, all the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have to be careful about their meals and health-related behaviors in order to prevent obesity-related chronic diseases.

충남지역 초등학생의 채소와 과일 섭취 행동 변화 단계에 따른 비타민과 무기질 섭취상태 비교 (Comparison of Mineral and Vitamin Intakes According to the Stage of Change in Fruit and Vegetable Intak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Chungnam Province)

  • 서윤석;정영진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1권7호
    • /
    • pp.658-666
    • /
    • 2008
  • 본 연구는 충남지역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채소와 과일섭취 증진을 위한 행동 변화 단계별 비타민과 무기질 섭취 상태를 비교해 보고자 2007년 4월 19일부터 5월 1일까지 충남 연기군 1개 초등학교 4, 5, 6학년 남자 122명, 여자 134명, 총 256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조사대상 아동의 채소와 과일 섭취 행동 변화 단계의 구분은 설문에 의해 현재보다 더 먹으려고 생각하는가, 계획하는가, 실천하는가를 순차적으로 예나 아니오로 답하게 하여 고려전, 고려 및 준비, 행동의 3단계로 분류하였다. 1) 자신의 건강상태에 대해 좋다, 보통이다, 나쁘다로 답하게 하였을 때 고려 및 준비 단계에 있는 아동에서 건강상태가 '좋다'는 응답이 35.9%로 다른 단계에 비해 높았다. 영양제를 '항상 섭취 한다'고 답한 대상자가 고려전 단계에 있는 아동의 45.8%로 다른 두 군보다 높았다. 2) BMI 85백분위수 미만에서는 남아가 여아에 비해 고려전 단계에 속한 비율이 높고 고려 및 준비단계 이상에 속한 비율이 낮았다. 3) 영양소 섭취량의 차이는 행동 단계의 아동에서 비타민 C 섭취량 (p < 0.05)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4) 여아에서는 행동 변화 단계가 진전됨에 따라 평균필요량 미만 섭취자의 비율이 비타민 B2 (p < 0.05)와 비타민 C 섭취 (p < 0.05)에서 낮게 나타났으나 남아에서는 행동 변화단계간에 섭취부족자의 비율에 차이를 내는 영양소가 없었다. 5) 행동 변화 단계에 따른 식품 섭취 상태는 채소류 (p < 0.01)와 김치 (p < 0.05)섭취량이 행동 단계의 대상자에서 다른 단계보다 높았고, 난류에서도 행동 변화 단계의 진전에 따라 섭취량이 점차 높아졌다. 본 연구 결과 행동 변화 단계에 따라서 김치와 채소류의 섭취량이 행동전 단계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행동단계에서 증가하였고, 비타민 C의 섭취량도 행동단계에서 확실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다른 비타민과 무기질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므로 아동들의 비타민과 무기질 섭취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채소와 과일섭취 행동변화단계를 높일수 있는 방안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A Study of the Food and Nutrient Intakes of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their Frequencies of Eating Out

  • Yu, Choon-Hie;Lee, Jung-Sug
    • Nutritional Sciences
    • /
    • 제6권1호
    • /
    • pp.3-11
    • /
    • 2003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od and nutrient intake status and eating-out practices of college students. A dietary survey of 361 subjects living in urban areas was conducted by using a 3-day diet record method. The average ages of the male and female subjects were 22.0 and 20.6 years old, respectively. Monthly personal expenses of the male and female students were 316,517 won and 296,888 won, respectively. 43.1% of the male and 50.8% of the female students used between one-quarter and one-half of their monthly personal expenses for eating out. Sixty-five percent of the total subjects ate out more than five times a week The average daily total food intake was 1630.7g in the males and 1453.9g in the females. The average percentage of total food intake from eating out (by weight) was 60.6% in the males and 56.2% in the females; foods eaten out were mainly potatoes, meats, processed foods, and beverages. It was found that 40-65% of daily total nutrient intake came from food eaten out. When they ate out, the male students ate slightly higher amounts of protein, fat and vitamin B1, while the female students ate relatively higher amounts of animal protein, fat, vitamin A and cholesterol. The more the subjects ate out, the more the quantity of total food intake increased. This increase resulted from high intakes of beverages and processed foods in the males, while the increase was from total plant foods, mushrooms, beverages, and milk and dairy products, in the females. The dietary variety score (DV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female subjects when they ate out more than once a day; otherwise, the DV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any of the male and female groups. The intakes of energy, and of many nutrients such as protein, fat, carbohydrates, calcium, phosphorus, iron, potassium and cholesterol, were increased when the female subjects ate out more than twice a day. The mean adequacy ratio (MAR) was at its highest level of 0.65 in the males when they ate out less than once a day, and at its highest level of 0.67 in the females when they ate out more than twice a day.

체질량지수에 따른 여대생의 식이섭취 실태와 혈액성상에 관한 연구 (Food Intake and Clinical Blood Indices of Female College Students by Body Mass Index)

  • 김옥현;김정희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307-316
    • /
    • 200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body composition, dietary intake, and clinical blood indices in college students by body mass index (BMI). Their body compositions were determined by means of BIA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method. Their dietary intake was determined using a 3-day record method and their hematological indices were determined by semi-automated microcell counter (Sysmex F-520). Their serum lipid levels were measured using biochemical analyzer (Spotchem). Subjects were classified as underweight, normal or over-weight groups according to their BMI. The subjects were 69 healthy college students aged 20 to 26 years. The average age, height, weight, and BMI was 21.3 years, 162.6 cm, 54.4 kg, and $20.6cm/m^2$, respectively. Their average consumption of energy was 1693 kcal, 84.7% of RDA and their mean ratio of carbohydrate: protein: fat were 54.5 : 16.4 : 29.0.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nutrient intake among the groups except ${\beta}$-carotene and vitamin C. The ${\beta}$-carotene intak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underweight group. Vitamin C intak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overweight group. The mean intakes of Ca, Fe, Zn and folate of subjects were 74.8% to 83.2% of RDA. Especially, intakes of Ca, Fe, Zn and folate were lower in the abnormal weight groups. The overall mean values of the hematological indices in female college students were within the normal range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groups. However, anemic subjects with hemoglobin (< 12 g/dl) and hematocrit (< 36 g/dl) accounted for about 11% of the subjects. The everall mean values of the serum lipid levels were within the normal range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groups. But serum HDL-cholesterol level of the overweight group was lower than that of the other groups. LDL-/HDL-cholesterol ratio and AI index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overweight group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Based upon this study, it is necessary for college women to be educated regarding consuming more Ca, Fe, Zn, folate and less fat and cholesterol in order to have better health promotion.

일상식이를 섭취하는 일부 농촌 성인 남녀의 식이, 혈액 및 뇨중의 납, 철분, 구리 수준 (The Dietary, Blood and Urinary Levels of Lead, Iron and Copper in Self Selected Dietary Rural People)

  • 승정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716-723
    • /
    • 1993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stimate intake level of Pb, Fe, Cu in rural area of Korea(12 males and 18 females). Analyses for the nutritional status of the record, duplicated diet collections, 24-hour urine collections, and venous blood sampling before measuring of blood pressure. The mean age and blood pressure of the subjects were 45.8$\pm$11.1years and 117.5$\pm$22.2/80.8$\pm$15.6mmHe in males, and 41.9$\pm$11.0years, 110.0$\pm$ 11.9/73.9$\pm$8.5mmHg in females, respectively. In respect to both males and females, mean BMI were 22.0$\pm$2.3, 23.1$\pm$3.0, mean Rohrer index were 131.8$\pm$14.8, 142.4$\pm$20.2 and mean skinfold thickness were 12.4$\pm$5.9mm, 25.3$\pm$7.4mm, respectively. The daily mean intakes of Pb, Fe, and Cu estimated for 3 days were 277.2$\pm$111.2$\mu\textrm{g}$/day, 12.7$\mu\textrm{g}$ 7.6mg/day, and 3.0$\pm$1.4mg/day in males and 192.0$\pm$72.4$\mu\textrm{g}$/day, 13.3$\pm$5.8mg/day, and 3.7 $\pm$1.7mg/day in females, respectively. The mean concentrations of serum Pb, Fe, Cu were 11.0$\pm$2.0$\mu\textrm{g}$/dl, 131.1$\pm$42.6$\mu\textrm{g}$/dl, 120.3$\pm$25.7$\mu\textrm{g}$/dl in males and 9.0$\pm$1.2$\mu\textrm{g}$/dl, 112.2$\pm$ 35.9$\mu\textrm{g}$/dl, 117.3$\pm$17.9$\mu\textrm{g}$/dl in females, respectively. The mean levels of Hb and Hct were 15.1$\pm$1.1g/dl, 45.2$\pm$3.3% in males and 13.1$\pm$0.8g/dl, 39.8$\pm$2.6% in females, respectively. The 24-hour urinary excretions of Pb, Fe, Cu were 35.5$\pm$10.0$\mu\textrm{g}$/day, 0.16$\pm$0.12mg/day, 60.12$\pm$0.02$\mu\textrm{g}$/day in males, and 25.3$\pm$11.0$\mu\textrm{g}$/day, 0.24$\pm$0.20mg/day, 70.07$\pm$0.03$\mu\textrm{g}$/day in females, respectively. In conclusion, the Pb intake in self selected diet of this subjects was not in the level that antagonized to Fe and Cu metabolism seriously.

  • PDF

인터넷 영양교육 참여 전국 대학생의 지역별 신체계측, 식행동 및 영양소 섭취상태에 관한 연구 (Anthropometric Measurement, Dietary Behavior and Nutrient Intake of the Nation-Wide College Students Attending a Nutrition Education via Internet)

  • 정선희;장경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565-571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을 통한 영양교육 강의를 수강하는 전국남녀 대학생의 지역별 신체계측, 식행동, 식품섭취빈도 및 영양섭취실태를 비교하고자 설문조사를 실시였으며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자의 연령은 남학생 평균 23.6세, 여학생 평균 21.0세로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높지만 지역별 차이는 없었다. 남학생의 평균신장과 체중은 제7차 한국인 영양권장량에 제시되어 있는 $20{\sim}29$세 남녀 성인의 표준신장과 체중에 비하여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고, 여학생은 평균신장은 다소 높은 반면, 평균체중은 낮은 경향을 보였다. 식사의 규칙성에 관해 남학생의 경우 서울 48.0%, 인천 52.1%, 충청지역 59.1%, 경상지역 66.7%가 불규칙한 것으로 나타나 지역별 차이를 보였다. 여학생은 녹황색 채소류의 섭취를 일주일에 적어도 $6{\sim}7$회 섭취한다고 응답한 경우가 서울 23.2%, 인천 23.8%, 충청지역 15.8%, 경상지역 12.1%로 서울, 인천지역의 섭취빈도가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전반적으로 녹황색 채소류 섭취빈도가 매우 낮음을 알 수 있었다. 남학생의 경우 비타민 $B_1$ 섭취가 충청지역, 경상지역 대학생이 다른 지역에 비해 유의적으로 가장 높게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나이아신의 경우 서울지역이 인천지역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전반적으로 보았을 때 남학생들의 나이아신 섭취량은 지역에 상관없이 모두 권장량보다 낮게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학생의 경우 비타민 $B_2$의 경우 충청지역 대학생들이 다른 지역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섭취를 보였으며 특히 충청지역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의 섭취량은 권장량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칼슘 섭취에 있어 인천지역 대학생들이 다른 지역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섭취를 보였으나 모든 지역 여학생들의 칼슘 뿐 아니라 철분 섭취량은 권장량의 70%수준으로 매우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인터넷을 통해 영양교육 강의를 수강하는 전국의 대학생들의 식품 섭취빈도 및 영양섭취실태는 지역별 차이를 보였으나 대부분의 대학생들이 지역에 상관없이 불규칙적인 식습관을 보이고 있으며 에너지, 비타민 $B_1$, 비타민 $B_2$, 철분 및 칼슘 등의 영양소에 있어 한국인 영양권장량보다 낮게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대학생 시기의 올바른 식습관의 확립 및 영양밀도가 높은 식품섭취를 통한 건강증진 및 중 장년기 질병예방을 위하여 지속적으로 체계적인 영양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부산 및 경상남도 일부 지역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성별에 따른 주중과 주말의 식품 및 영양소 섭취 실태 비교 (Comparison of food and nutrient intake between weekday and weekend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by gender in Busan and some parts of Kyungsangnamdo)

  • 김미정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6권4호
    • /
    • pp.332-345
    • /
    • 2013
  • 부산 및 경남 일부 지역의 남녀 초등학생 (4~6학년)과 중학생 (2~3학년)을 대상으로, 24시간 회상법과 식사기록법을 이용하여 수집한 식품섭취조사 내용을 분석하였고, 연령과 성별에 따른 네 군 (ME, FE, MM, FM)의 식행동과 영양소 섭취 실태가 주중과 주말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지 살펴보았다.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부모와 함께 식사한 횟수, 혼자 저녁을 먹은 횟수, 친구와 외식한 횟수, 건강에 유익한 식품 및 건강에 유익하지 않은 식품의 섭취 수준, 간식구매 비용 등을 고려해볼 때 FE가 중학생 (MM, FM)에 비해 바람직한 식행동을 나타내었다. 2) 식품군별 섭취량은 주중에 비해 주말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러한 현상은 중학생에 비해 초등학생에서 더 뚜렷하였다. 특히 초등학생의 우유 및 유제품과 채소류의 주말 섭취량은 주중에 비해 현저히 감소하였다. 3) ME는 총에너지를 비롯한 대부분의 영양소 섭취량이 주말에 감소하였고, FE와 MM은 칼슘, 인, 아연, 나이아신, 비타민 $B_6$ 섭취량이 주말에 감소하였다. FM은 에너지 및 영양소 섭취 수준이 가장 낮았던 반면에 주중과 주말의 차이도 적었다. 4) MM이 초등학생 (ME, FE)에 비해 주중의 에너지, 단백질, 칼슘, 식이섬유, 아연, 비타민 A, 비타민 $B_1$, 나이아신, 비타민 $B_6$의 %KDRIs가 유의하게 낮았다. 또한 MM이 FE에 비하여 주말의 에너지, 칼슘, 아연, 비타민 $B_1$, 비타민 $B_2$, 나이아신, 비타민 $B_6$에 대한 %KDRIs가 유의하게 낮았다. 모든 군에서 칼슘의 섭취 부족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6) 종합해보면 식행동과 식품 및 영양소 섭취에 있어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연령과 성별에 따른 차이가 드러났으며 MM은 식행동과 식품 및 영양소 섭취가 가장 불량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초등학생과 중학생을 위한 영양교육 현장에서는 연령과 성별에 따른 식행동의 상이성, 주중과 주말의 차이 등을 고려함으로써 효과적인 영양중재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